• 제목/요약/키워드: LB Technique

검색결과 138건 처리시간 0.029초

수정진동자에 의한 지방산계 LB막의 누적평가 (Evaluation of Fatty Acid System LB Films by using a Quartz Crystal)

  • 박만철;최용성;장상목;권영수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2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A
    • /
    • pp.498-500
    • /
    • 1992
  • In this paper, we described a evaluating technique of deposition status of LB films by quartz crystal. As a deposited material for this experiments, arachidic acid and stearic acid were used. We observed the deposition status of LB films on the surface of quartz crystal.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Y type H films are deposited according to frequency shift, deposition ratio, and SEM photographs etc.

  • PDF

PAHPV LB막의 제작 및 그 발광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Preparation of PAHPV LB Films and Their Luminescent Characterisrics)

  • 황장환;추정우;김영관;손병청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71-79
    • /
    • 1997
  • Ultra-thin films of poly[2-[4-(9-(10-phenyl)anthracenyl)phenoxy)hexyloxy]]-1,4-phenylenevinyleylene(PAHPV) were prepare-d on the hydrophilic ITO substrate by Langmuir-Blodgett(LB) technique. ${\lambda}_{max}$ in the photoluminescence spectrum of these films was 458nm at the excitation wavelength of 365nm before thermal treatment, which comes from diphenylanthracene side chain of PAHPV. It was also confirmed with UV-Vis spectrometer that ultra-thin LB films of PAHPV precursor polymer were prepared well. After thermal treatment for conjugation of PAHPV precursor polymer, ${\lambda}_{max}$ in the photoluminescence spectrum of these films changed to 365nm, which means that the conjugation of these PAHPV films was completed.

양친매성 스쿠아릴리움색소 초박막의 전기적 특성 (Electrical Properties of Amphiphillic Squarylium Dye Ultra Thin Films)

  • 정순욱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77-181
    • /
    • 2003
  • Ultra-thin films of amphiphillic squarylium dye were prepared on the hydrophillic substrate by Langmuir-Blodgett(LB) technique. In this study, the photoelectric properties of a amphiphillic squarylium dye LB film was investigated. The visible light(${\lambda}$ = 684nm ) of xenon lamp was illuminated on the amphiphillic squarylium dye LB films and light absorptivity and photoconductivity were observed. The photoconductivity was nearly constant regardless of nominal layer number. The photoelectric properties of the amphiphillic squarylium dye LB films with bottom electrode showed better than that top electrode.

N-docosyl pyridinium(TCNQ) LB막의 NO$_2$가스탐지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NO$_2$Gas Detect Properties of N-docosyl pyridinium(TCNQ) LB Film)

  • 유병호;조형근;김형석;이창희;김정수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5-78
    • /
    • 1994
  • Organic ultra thin films about 500${\AA}$ in thickness are fabricated by LB(Langmuir-Blodgett) technique and their gas detect properties are investigated. The LB films deposited are made of the specimen named as N-docosyl pyridinium(TCNQ) and the deposition is verified by capacitance conductivity measurement. From the study of gas detect properties with I-V characteristics and UV spectrum we have found that their conductivities were increased about 3 times of magnitude and peaks of UV spectrum were decreased.

  • PDF

마찰대전 기반의 에너지 하베스팅에서 다층박막적층법의 응용 (Application of Layer-by-Layer Assembly in Triboelectric Energy Harvesting)

  • 합타무 게베예후 멩게;박용태
    • Composites Research
    • /
    • 제35권6호
    • /
    • pp.371-377
    • /
    • 2022
  • 마찰대전 나노발전기(triboelectric nanogenerator, TENG) 장치는 최근 몇 십여년 동안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주변에서 버려지는 에너지 중 기계적 에너지를 수확하는 기술 중 하나인 TENG 기술은 정전기 유도 및 마찰 대전의 이중 효과로 얻어진다. 특히, 나노 로봇이나 마이크로 전자기계 장치와 같은 초소형 전자 장치의 급속한 발전으로 초박막 장치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했다. TENG 기술의 급속한 성장과 함께 높은 전기 출력 성능과 저렴한 제조 기술을 갖춘 적절한 마찰대전 재료를 선택하는 것은 지속 가능한 나노발전기 작동에 필수적이다. 최근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다층박막적층법 (혹은 층상자기조립법, layer-by-layer (LbL)self-assembly technique)이 고려되고 있다. 이 LbL 자기조립 기술은 TENG의 성능 향상 및 응용 분야에서 두께 문제를 성공적으로 극복할 뿐만 아니라 저비용, 친환경 공정을 제시했으며 대규모 생산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리뷰에서는 TENG 장치를 위한 LbL 기반의 소재 개발에 있어 최근의 연구들을 검토하였으며, 현재까지 검토된 에너지 수확 장치 분야에서의 잠재력을 살펴보았다. LbL 기술을 적용하여 제작한 TENG 장치의 이점에 대해 논의하고, 마지막으로 다양한 초박형 TENG 구현을 위한 본 제작 기술의 방향과 관점을 간략하게 제시하였다.

신기능성 LB 단분자막을 이용한 분자소자의 전기화학적 연구 (Electrochemical Study of Molecular Devices Using Functional LB Monomolecular Layer Compounds)

  • 박수길
    • 공업화학
    • /
    • 제2권4호
    • /
    • pp.311-329
    • /
    • 1991
  • 산화주석전극 위에 LB 법에 의해 단분자층상으로 흡착된 양친매성 Os 착체의 전기화학적 거동을 살펴보았다. 또한 단분자막형태로 흡착된 redox 종의 전극반응의 이론식을 가역, 비가역, 준가역파에 대하여 검토하였고, 이들막이 진공증착된 $SnO_2$ 전극 위로 전이될 때, 그 전극에서 흐른 전체 전하를 cyclic voltammogram 의 그림적분법에 의해 구하였다. 그리고 이들 단분자막을 이용한 전자이동 중개반응의 응용면도 $Fe^{2+}$, TEMPOL 등을 이용해 해석하였다. 이들 측정된 cyclic voltammogram을 이론식으로부터 유도하여 분자들간의 상호작용 parameter를 고려해서 simultation 하였다. 이들로부터 구해진 parameter 들은 측정된 cyclic voltammogram 과 거의 일치함을 확인할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LB 법을 이용한 최근의 연구동향 및 응용분야를 소개하였다.

  • PDF

지방산과 폴리아미드산 혼합물의 광이성질화 현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hotoisomerization of Fatty Acid and Polyamic Acid Mixture)

  • 박근호;박태곤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695-701
    • /
    • 2002
  • Maxwell displacement current (MDC) measuring technique has been applied on the study of monolayers of fatty acid and polyamic acid mixture. The displacement current was generated from monolayers on the water surface by monolayer compression and expansion. Displacement current was generated when the area per molecule was about 132 $^2$and 115 $^2$just before the initial rise of the surface pressure during the 1st and 2nd mixed monolayer compressions cycle, respectively. Maxwell displacement currents were investigated in connection with mixed monolayer compression cycles. It was found that the maximum of MDC appeared at the molecular area just before the initial rise of surface pressure in compression cycles. Ultra thin film of fatty acid and polyamic acid mixture was prepared on the hydrophilic quartz plate by Langmuir-Blodgett (LB) method. The precursor LB film was heated in a vacuum dry oven at 12$0^{\circ}C$ in order to convert it into the LB film of polyimide. The absorption spectra of LB films were also induced photoisomerization by UV and visible light irradiation.

Eicosanoic Acid Langmuir-Blodgett(LB) 박막을 이용한 분자 다이오드의 전기적 특성 (Electrical Properties of Molecular Diode Using Eicosanoic Acid Langmuir-Blodgett(LB) Monolayer Film)

  • 구자룡;이호식;권혁주;손병청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48-153
    • /
    • 2003
  • Electron transfer through an Langmuir-Blodgett(LB) monolayer film sandwiched between metal electrodes. We used an eicosanoic acid material and the material was very famous as a thin film insulating material. Eicosanoic acid monolayer was deposited by Langmuir-Blodgett(LB) technique and a subphase was a $CdCl_2$ solution as a 2${\times}10^{-4}$ mol/L. Also we used a bottom electrode as an Al/$Al_2O_3$ and a top electrode as a Al and Ti/Al. Here, the $Al_2O_3$ on the bottom electrode was deposited by thermal evaporation method. The $Al_2O_3$ layer was acted on a tunneling barrier and insulating layer in tunnel diode. It was found that the proper transfer surface pressure for film deposition was 25 mN/m and the limiting area per molecule was about 24 ${\AA}^2$/molecule. When the positive and negative bias applied to the molecular device, the behavior shows that a tunnel switching characteristics. This result were analyzed regarding various mechanisms.

LBS를 위한 위치 데이터 관리 시스템 설계 및 적용 (Design and Application of Location Data Management System for LBS)

  • 안윤애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388-400
    • /
    • 2006
  • LBS의 주요 기술 구성요소에는 무선측위기술 또는 위치결정기술, LBS 핵심기반 기술 및 LBS 응용기반 기술 등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LBS의 주요기술 구성요소 중 핵심기반기술인 위치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설계한다. 제안 시스템은 LBS 응용인터페이스, 응용서비스 질의처리기, 이동객체 위치추정기, 위치정보 관리기, 실시간 데이터 수신기,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된다. 데이터베이스 관리 기술을 활용하여 이동객체의 위치변화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이와 관련된 유용한 정보를 LBS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기존의 상용 데이터베이스에서 처리할 수 없는 이동객체의 연속적인 위치정보를 처리하는 연산 및 위치추정 기능을 지원한다. 실시간 환경에서 발생되는 위치정보의 결손을 보완하는 위치정보 트리거링을 토대로 기존의 위치 정보 관리 시스템이 갖는 문제점을 보완한다. 제안한 위치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응용을 위해 산불관리 응용서비스에 적용한 결과를 보인다.

  • PDF

LB법으로 제작한 MIM 구조 유기 박막의 전자특성 (Electronic Properties of MIM Structure Organic Thin-films that Manufacture by LB method)

  • 최영일;이경섭;임중열;송진원
    • 전자공학회논문지 IE
    • /
    • 제43권4호
    • /
    • pp.99-104
    • /
    • 2006
  • 전기 전자 소자를 제작하는 방법으로 Langmuir-Boldgett(LB)법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수면위에 형성된 단분자막을 압축 또는 확장하면, 분자가 배향하는 과정에서 맥스웰 변위전류(MDC)가 흐른다. MDC는 전속밀도의 변화에 기인해서 흐르므로 MDC를 측정하는 것에 의해 분자의 동적 거동 관찰할 수 있다. 단분자막을 압축하는 속도와 분자면적은 서로 선형적인 관계를 갖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압축속도를 30, 40, 50mm/min으로 달리하여 단분자막의 동적 거동을 관찰하였으며 LB법을 이용하여 Arachidic acid 단분자를 slide glass 위에 Y-type으로 9$\sim$21층의 다층막을 누적하여 Au/Arachidic acid/Al 소자를 제작하였다. 또한 Metal-Insulator-Metal(MIM) 소자의 I-V 특성을 측정하여 전극간의 거리가 커질수록 절연특성이 좋아짐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