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B Technique

검색결과 138건 처리시간 0.032초

차세대 주력전차의 개념설계를 위한 동시공학의 적용 (Application of Concurrent Engineering for Conceptual design of a Future Main Battle Tank)

  • 김진우;소한균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38-60
    • /
    • 1999
  •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systemization of the technique of ROC quantification and optimization of baseline design by applying CE principle to the acquisition process of a weapon system. QFD and TOA techniques can be employed to a good working example of the conceptual design of a future main battle tank. In this paper, Product Planning Phase, the first phase of four QFD phases, is deployed in terms of eight steps including customer requirements and final product control characteristics. TOA is carried out considering only combat weight. In order to perform combat weight analysis and performance TOA, Preliminary Configuration Synthesis Methodology is used. Preliminary Configuration Synthesis Methodology employs the method of least squares and described linear equations of weight interrelation equation for each component of tank. As a result of QFD based upon the ROC, it was cleared that armor piercing power, main armament, type of ammunition, cruising range, combat weight, armor protection, power loading, threat detection and cost are primary factors influencing design and that combat weight is the most dominant one. The results of TOA based on the combat weight constraint show that 5100 lb reduction was required to satisfy the ROC. The baseline design of a future main battle tank is illustrated with assumption that all phases of QFD are employed to development and production process of subsystems, components, and parts of main battle tank. TOA is applied in iterative process between initial baseline design and ROC. The detailed design of each component is illustrated for a future main battle tank.

  • PDF

파괴된 치주조직의 재생촉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REGENERATION ENHANCEMENT OF DESTRUCTED PERIODONTAL TISSUE)

  • 한경윤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5권2호
    • /
    • pp.407-417
    • /
    • 1995
  •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f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PDGF-BB) and guided tissue regeneration(GTR) technique on the regeneration of destructed periodontal tissue,intentional through-and-through furcation defects(4mm in height) were made on both mandibular 2nd and 4th premolars of 8 adult male dogs(30-40lb). Experimental group 1 was composed of the premolars that were treated by only topical application of PDGF-BB with 0.05M acetic acid without any barrier membrane. Experimental group 2 was composed of the premolars that were treated by GTR with expanded polytetrafluoroethylene membrane(ePTFE : Gore-tex periodontal material, USA). Experimental group 3 was composed of the premolars that were treated by GTR with ePTFE after topical application of PDGFBE. Control group was composed of the premolars that were treated by coronally positioned flap operation only without use of PDGF-BB and ePTFE membrane. All ePTFE membranes were carefully removed 4 weeks after regenerative surgery, and all experimental animals were sacrificed 8 weeks after regenerative surgery. The light microscopic findings were as follows ; (1) In experimental group 1, rapid new bone formation along the-root surface with multiple ankylosis and root resorption by multinucleated giant cells, and dense connective tissue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furcation defects were observed. (2) In experimental group 2, it was observed that the furcation defects were filled with newly formed bone, Sharpey's fibers were embedded into new cementum on root dentin of furcation fornix area, but the central portion and the area under furcation fornix were still filled with dense connective tissue. (3) In experimental group 3, the furcation defects were regenerated with newly formed dense bone and regular periodontal ligament with Sharpey's fibers embedded into newly formed cementum and bone underneath fornix area. (4) In control group, unoccupied space, apical migration of epithelium, dense infiltration of inflammatory cells in subepithelial connective tissue in relation to heavy plaque accumulation, and root resorption by inflammatory reaction were shown, but any new cementum formation on resorbed dentin surface could not be observed.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at the combined therapy of PDGF-BB and GTR could enhance the regeneration of destructed periodontal tissue.

  • PDF

다층박막적층법 적용 기능성 박막 코팅을 위한 자동화 시스템 (Automatic Layer-by-layer Dipping System for Functional Thin Film Coatings)

  • 장원준;김영석;박용태
    • Composites Research
    • /
    • 제32권6호
    • /
    • pp.314-318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습식 코팅 방식 중 하나인 다층박막적층법의 자동화 시스템을 제작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 제안한 자동화 시스템은 다층박막적층법의 공정 변수(예를 들어, 증착 재료, 코팅 깊이, 코팅 및 헹굼 시간)를 제어함으로써 손으로 작업하는 것과 동일한 변수 조작이 가능하게 설계되었다. 자동화 시스템을 통해 기판을 완벽하게 용액 안으로 침액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특별한 분자간 결합(예를 들어, 정전기적 인력, 공유 및 수소 결합)을 통해 기판 위에 균일한 다층의 박막 형성이 가능하다. 두 종류 이상의 용액으로 기판이 침액될 때, 이 기판은 다른 용액으로 이동되기 전에 청소 구역에서 헹굼과 건조 과정을 거친다. 이러한 담금, 헹굼, 건조 과정은 모두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자동화 시스템을 통해 그래핀을 기반으로 하는 다층박막 샘플을 제작하였고, 균일한 그래핀의 적층 여부를 분석하기 위해 제작된 샘플의 흡광도와 두께를 측정하였다. 기판 위에 그래핀과 고분자 층의 적층이 진행될수록 흡광도와 두께가 균일하게 증가하는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작한 자동화 시스템이 수작업을 통한 다층박막의 적층을 완벽하게 대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스쿠알렌 집합체의 광전기화학적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Photoelectrochemical Effects of Squaraine Aggregate in Monolayer)

  • 김영순
    • 대한화학회지
    • /
    • 제37권7호
    • /
    • pp.642-647
    • /
    • 1993
  • 순수 정제한 스쿠알렌 색소(DSSQ(4-distearylamino phenyl-4'-dimethylaminophenylsquaraine) 를 Langmuir Blodgett 방법으로 $SnO_2$ 전극위에 단분자막으로 도포하였다. DSSQ 용액의 최대 흡수 파장은 630 nm 이었으나, $SnO_2$ 전극에 도포한 상태는 최대흡광파장 위치가 530 nm로 이동되어 스쿠알렌 집합체를 나타내었다. 이 집합체를 열처리하였더니 최대흡광 위치는 620~680 nm 로 이동되었다. 스쿠알렌 집합체에서의 에너지 이동 관계를 알기 위하여 광전류를 측정하였다. 광전류의 action spectrum은 흡수스펙트럼과 거의 같은 경향을 보였으며, 열처리한 시료의 광전류 action 스펙트럼도 처리전과 같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때의 양자수율은 약 0.3%이었다. 용액내의 빛의 tunneling 효과를 보기 위하여 $SnO_2$전극과 DSSQ 색소사이에 스테아린산을 2~8층으로 각각 도포하고 광전류를 측정하였더니, 광전류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2층을 더 도포한 시료에서는 광전류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전해질 용액에 질소를 통하였을 경우에는 광기전력이 현저히 감소하고, 산소를 통하였을 때는 같은 정도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전해질의 용존 산소가 전자 주게 역할을 하고 있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

  • PDF

Comparison of Bacterial Community Changes in Fermenting Kimchi at Two Different Temperatures Using a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Analysis

  • Yeun, Hong;Yang, Hee-Seok;Chang, Hae-Choon;Kim, Hae-Ye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3권1호
    • /
    • pp.76-84
    • /
    • 2013
  • A polymerase chain reaction-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PCR-DGGE) technique followed by sequencing of the 16S rDNA fragments eluted from the bands of interest on denaturing gradient gels was used to monitor changes in the bacterial microflora of two commercial kimchi, salted cabbage, and ingredient mix samples during 30 days of fermentation at $4^{\circ}C$ and $10^{\circ}C$. Leuconostoc (Lc.) was the dominant lactic acid bacteria (LAB) over Lactobacillus (Lb.) species at $4^{\circ}C$. Weissella confusa was detected in the ingredient mix and also in kimchi samples throughout fermentation in both samples at $4^{\circ}C$ and $10^{\circ}C$. Lc. gelidum was detected as the dominant LAB at $4^{\circ}C$ in both samples. The temperature affected the LAB profile of kimchi by varing the pH, which was primarily caused by the temperature-dependent competition among different LAB species in kimchi. At $4^{\circ}C$, the sample variations in pH and titratable acidity were more conspicuous owing to the delayed growth of LAB. Temperature affected only initial decreases in pH and initial increases in viable cell counts, but affected both the initial increases and final values of titratable acidity. The initial microflora in the kimchi sample was probably determined by the microflora of the ingredient mix, not by that of the salted cabbage. The microbial distributions in the samples used in this study resembled across the different kimchi samples and the different fermentation temperatures as the numbers of LAB increased and titratable acidity decreased.

젖산균 및 효모를 이용한 전통 안동식혜 제조 (Traditional Andong sikhe Preparation using Lactic Acid Bacteria and Yeast)

  • 최청;김성;최희진;우희섭;이희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948-956
    • /
    • 1998
  • 전통안동식혜의 제조법을 계승 보존하고 제조 공정 및 상품성을 높여 보다 우수한 가공식품으로 개발할 목적으로 안동식혜의 발효에 관여하는 젖산균과 효모를 분리한 균주를 이용하여 안동 식혜를 제조하여 숙성 및 저장 과정 중 성분과 품질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전통안동식혜로부터 분리동정된 균주는 젖산 균주로써 L. bulgaricus LBS 47, L. acidophilus LAS 10 및 Lacto. lactis LLS 56의 3 균주와 효모 S. cerevisiae SCS 5의 한 균주를 분리하여 단독 및 혼합 균주를 start로 사용하여 숙성시킨 후 관능검사를 한 결과 LBS와 SCS 균주를 혼합배양하였을 때 가장 좋았다.

  • PDF

인체 병원성 진균에 대한 Bacillus sp. BCNU 2003의 항진균 효과 (Antifungal Activity of Bacillus sp. BCNU 2003 against the Human Pathogenic Fungi)

  • 최혜정;양욱희;김야엘;최연희;안철수;정영기;김동완;주우홍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69-274
    • /
    • 2010
  • 항생제 및 항진균제 개발에 있어 미생물 유래 천연 생리활성물질 분리를 통한 선도물질을 확보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며, 신규 물질을 확보하기 위해 꾸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천연 항생물질의 개발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태백산 일대의 토양에서, 인체에 다양한 감염증을 유발하는 효모와 곰팡이에 대하여 강한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는 BCNU 2003 균주를 분리하여 항진균 활성 물질의 이용가능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BCNU 2003은 계통적으로는 B. amyloliquefaciens와 B. vallismortis의 subcluster에 속하는 균주로 동정되어 Bacillus sp. BCNU 2003으로 명명하였다. 항균물질 분리를 위해 ethyl acetate (EA) 추출물과 펩타이드 추출물로 나누어 그람양성 세균, 그람음성 세균 및 진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EA 추출물이 6종의 인체병원성 진균에 대해 모든 높은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기회성 감염을 유발하는 A. niger, C. albicans 그리고 Sa. cerevisiae에 대해 높은 억제 활성을 나타냈으며, 균배양액에서 낮은 저해율을 보였던 Ep. floccosum에 대해서도 EA 추출물은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다양한 인체 병원성 진균에 대해 넓은 항균스펙트럼을 가지는 Bacillus sp. BCNU 2003 균주의 활성물질 분리를 통해 특정 항균 및 항진균 물질의 대량생산 조건 등의 추가적인 연구를 수행한다면, 인체 감염증을 포함한 광범위한 피부치료제의 응용개발이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가상경계 격자볼쯔만법을 이용한 프로펠러의 유동특성해석 방법에 관한 연구 (Numerical Technique to Analyze the Flow Characteristics of a Propeller Using Immersed Boundary Lattice Boltzmann Method)

  • 김형민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40권7호
    • /
    • pp.441-448
    • /
    • 2016
  • 프로펠러에 의한 추력은 유체의 유입 속도와 익의 회전속도에 의해 생성되며 그 성능을 전진비, 추력계수, 동력계수와 같은 무차원수로 나타내고 있다. 이 연구에서 회전체의 성능을 분석하기 위한 수치적 방법으로 STL형식의 회전체 형상을 인식할 수 있는 가상경계법을 적용한 격자볼쯔만법을 제안한다. 이 가상경계법으로 프로펠러의 회전에 의한 유동을 구현하기 위해서 프로펠러의 표면 격자점에서 속도와 유동장의 격자점에서 유속의 차를 이용하여 계산한 체적력을 볼쯔만방정식의 외력항으로 적용하게 된다. 제안한 방법을 검증하기 위하여 4개의 익을 가지고 있는 프로펠러를 이용해 레이놀즈수가 100, 500, 1000이고 전진비가 0.2~1.4일 때 유동해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로 부터 전형적인 프로펠러의 성능특성을 얻을 수 있었다. 높은 레이놀즈수와 전진비를 갖는 유동에서 해석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익의 표면에 구성한 최대 격자의 크기와 유동장에 구성한 격자 크기의 비가 3 이하로 유지해야 하며 충분히 긴 후류영역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