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dodes

검색결과 245건 처리시간 0.026초

담자균(擔子菌)이 생산(生産)하는 효소(酵素)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2보(第二報) Cellulase 및 Xylanase의 성질(性質)- (Studies on the Enzymes Produced by Basidiomycetes -Part II. Properties of Cellulase and Xylanase-)

  • 홍재식;권용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4권4호
    • /
    • pp.260-266
    • /
    • 1981
  • Pleurotus ostreatus 301과 Lentinus edodes 3-1을 볏짚배지(培地)에 배양(培養)하여 배양중(培養中)에 생성(生成)된 cellulase와 xylanase의 성질(性質)을 검토(檢討)한 결과(結果) P. ostreatus 301의 cellulase 활성(活性)은 기질농도(基質濃度) 0.6%, L. edodes 3-1은 0.8%, xylanase는 양균주(兩菌株)에서 1%까지는 비례적(比例的)으로 증가(增加)하였다. 반응시간(反應時間)에 따른 환원당(還元糖)의 생성(生成)은 양균주(兩菌株)에서 cellulase는 60분(分), xylanase는 30분(分)까지 비례적(比例的)으로 증가(增加)하였다. 최적(最適) pH는cellulase에서 P. ostreatus 301은 pH 4.0, L. edodes 3-1은 pH 4.5이었으며 xylanase는 양균주(兩菌株)가 pH 5.0이었다. pH 안정범위(安定範圍)는 P. ostreatus 301의 cellulase에서 pH $4.0{\sim}6.0$, L. edoder 3-1은 pH $3.0{\sim}5.0$이었고 xylanase는 P. osteatus 301에서 pH $4.5{\sim}6.0$, L. edodes 3-1에서는 pH $3.5{\sim}6.0$이었다. 최적온도(最適溫度)는 P. ostreatus 301의 cellulase에서 $40^{\circ}C$, L. edodes 3-1의 xylanase는 $45^{\circ}C$이었고, L. edodes 3-1의 cellulas와 P. ostreatus 301의 xylanase는 $50^{\circ}C$ 이었으며 열안정성(熱安定性)은 최적온도(最適溫度) 이하이었고, $70^{\circ}C$, 10분(分)으로 대부분 실활(失活)되었다. 염류(鹽類)의 영향(影響)은 L. edodes 3-1의 cellulase는 $Co^{++},\; Mg^{++}$에 의해서 효소력(酵素力)이 증가(增加)되었으며,$Mg^{++},\;Cu^{++}$에 의해서는 양균주(兩菌株)에서 심한 조해(阻害)를 를 보였고 xylanase는 $Ca^{++},\;Co^{++},\;Mg^{++}\;Cd^{++}$ 등은 약간 증가(增加)를 보였고, $Hg^{++}$은 조해(阻害)가 심했다.

  • PDF

Effect of Supplement nutrition on the Mycelial Growth of Lentinus edodes

  • Yang, Jae-Kyung;Kim, Tae-Hong;Lim, Bu-Kug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1권6호
    • /
    • pp.60-66
    • /
    • 2003
  • Mycelial growth of L. edodes by supplement nutrition of softwood was studied on a sawdust medium. The sawdust used was from the following softwood species : Larix leptolepis, Pinus densiflora and Pinus koraiensis. The added nutritions consisted of carbon nutritions(sucrose, active carbon, xylose, glucose, paper pellet), nitrogen nutritions(potassium nitrate, ammonium chloride, asparagine, glutamic acid) and vegetable oil(rice bran oil). The sawdust medium was a mixture of 76% sawdust, 20% rice bran, 3% carbon nutrition, 0.4% nitrogen nutrition and 0.6% calcium carbonate. Following addition of carbon and nitrogen nutritions on the sawdust medium proved most suitable : L. leptolepis (glucose, glutamic acid), P. densiflora (active carbon, asparagine) and P. koraiensis (xylose, glutamic acid). The highest mycelial growth was obtained from sawdust medium of optimum condition with 97% of L. leptolepis, 110% of P. densiflora and 98% of P. koraiensis. This study has provided useful preliminary information for the cultivation of L. edodes.

Detection of RNA Mycoviruses in Wild Strains of Lentinula edodes in Korea

  • Kim, Eunjin;Park, Mi-Jeong;Jang, Yeongseon;Ryoo, Rhim;Ka, Kang-Hyeon
    • 한국균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85-294
    • /
    • 2021
  • In general, mycoviruses remain latent and rarely cause visible symptoms in fungal hosts; however, some viral infections have demonstrated abnormal mycelial growth and fruiting body development in commercial macrofungi, including Lentinula edodes. Compared to other cultivated mushrooms, L. edodes is more vulnerable to viral infections as it is still widely cultivated under near-natural condition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Korean wild strains of L. edodes were infected by RNA mycoviruses that have previously been reported in other parts of the world (LeSV, LePV1, LeV-HKB, LeNSRV1, and LeNSRV2). Using specific primer sets that target the RNA-dependent RNA polymerase genes of each of the RNA mycovirus,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was used to detect viral infection. Viral infection was detected in about 90% of the 112 wild strains that were collected in Korea between 1983 and 2020. Moreover, multiple infections with RNA mycoviruses were detected in strains that had normal fruiting bodies. This work contributes to our understanding of the distribution of RNA mycoviruses in Korea and the impact of multiple viral infections in a single strain of L. edodes.

표고 유산균 발효물의 성분 및 간기능 보호 효과 (Chemical components and hepato-protective effect of Lentinula edodes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 임승빈;김경제;진성우;고영우;하늘이;정희경;이재근;윤경원;서경순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91-199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인체에 유익한 효과가 있고 부작용 없이 장기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간보호 및 간기능 개선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표고를 추출 및 농축하여 원유에 농도별로 첨가하여, 3종의 유산균을 이용하여 발효하였다. 표고의 농도를 달리하여 유산균을 배양하였을 때 면역관련 물질인 ergothioneine 및 β-glucan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ergothioneine함량은 30% 표고추출농축액에 L. plantarum이 첨가되어 배양된 발효물이 40.48 mg/100 g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β-Glucan은 30% 표고추출농축액에 L. brevis가 첨가된 발효물이 13.94%로 가장 높은 함량이 나타났다. 두 면역관련 물질 모두 표고추출농축액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SD rat을 간을 적출하여 일차 간세포로 분리해 발효물의 간보호 효과를 측정하였다. 표고추출농축액과 유산균 발효물을 10, 50, 100, 500 ㎍/mL을 일차 간세포에 처리하여 MTT assay 방법으로 세포독성을 측정한 결과, 모든 농도에서 독성을 보이지 않았다. 또한 10 mM 아세트아미노펜을 처리하여 독성을 유발한 일차 간세포에 시료를 처리하여 AST, ALT, LDH를 측정한 결과, 효소의 농도가 감소하여 간보호 기능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중 L. brevis를 첨가하여 배양한 발효물 처리구에서 효소의 농도가 가장 감소한 것을 보았고, 가장 간보호 효과가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표고추출농축액에 유산균을 첨가하여 발효하였을 때, 기존의 표고보다 면역관련 물질의 함량이 증가하고, 간기능 보호에 더욱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표고 유산균 발효물이 건강기능 소재로서 연구를 위한 기초 연구자료로 활용될 수 있 것으로 생각된다.

UV 조사시간에 따른 원목표고당화물의 유용성분 및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 and useful contents of saccharification extract powder using hot water extract from log cultivation Lentinula edodes by different UV irradiation)

  • 윤경원;임승빈;진성우;김경제;고영우;하늘이;정희경;정상욱;김승주;김복선;김기만;최유진;송다혜;서경순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57-364
    • /
    • 2020
  • 원목표고는 수확시기, 재배지역 같은 요인들에 의하여 품질과 가격의 차이가 다양하다. 가을에 생산되는 표고는 수량은 많지만 화고로 불리는 고품질의 표고 생산량이 적고, 등급이 낮은 표고 생산량이 많아, 주로 표고가루로만 가공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을에 생산되는 등급이 낮은 표고 가공품 개발이 요구되어 진다. 원목표고당화물의 𝛽-glucan, vitamin D2 함량은 UV 조사시간을 7분 적용한 원목표고당화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Ergosterol 함량은 UV 조사 7분 시험구에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 원목표고당화물의 환원당 함량은 62.4 mg/L~68.2 mg/L로 확인되었다. 원목표고당화물의 유리아미노산 함량을 분석한 결과, 총 16종의 유리아미노산이 검출되었으며, 대조구로 사용한 원목표고 열수추출물에 비하여 원목표고 당화물들의 유리아미노산 함량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UV 조사시간에 따른 유리아미노산 및 필수아미노산 함량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원목표고당화물의 세포독성을 확인한 결과 500 ㎍/mL 농도에서도 90%이상의 높은 세포 생존율을 보여, 대조구로 사용한 원목표고 hot water 추출액과 원목표고당화물 모두 세포독성은 없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원목표고당화물의 항염증 효과는 농도 의존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UV 조사 7분 시험구에서 100 ㎍/mL이상의 농도에서는 90% 이하의 낮은 NO 생성능을 확인하였다. UV를 7분 조사한 원목표고당화물이 ergosterol을 제외한 유용성분 함량과 항염증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나, 원목표고당화액 제조 최적 UV 조사 시간은 7분으로 결정하였다. 본 연구결과 UV를 7분 조사한 원목표고당화물들은 안전성과 버섯의 유용성분 함량이 높아, 향 후 천연감미료 및 건강식품 소재로 다양한 활용이 기대된다.

자외선A로 손상된 DNA의 회복과 DNCB에 의한 알러지성 접촉피부염에 대한 표고버섯과 침향 추출 혼합물의 효과 (The Effects of Lentinula edodes and Aquilariae agallocha Extracts Combination on the Repair of UVA-Damaged DNA and DNCB-Induced Allergic Dermatitis)

  • 김민섭;황현익;이유리;김호원;박종군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759-765
    • /
    • 2015
  • The effects of extracts from Lentinula edodes (L. edodes) and Aquilariae agallocha (A. agallocha) on the DNA damage response in ultraviolet A (UVA)-exposed HaCaT cells and on the allergic contact dermatitis caused by 2,4-dinitro-chlorobezene (DNCB) were investigated. When UVA-exposed cells were incubated for 24 hours in medium containing L. edodes or A. agallocha extract, the level of 8-OHdG and CPD decrea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The combined treatment with both extracts potentiated the decrease in UVA-induced 8-OHdG and CPD levels as compared with those following treatment with a single extract. In addition, the two extracts showed preventive effects against the UVA-induced reduction in collagen levels. Furthermore, the blood levels of IgE, IL-6, and histamine decreased more significantly upon combined treatment with L. edodes and A. agallocha extracts as compared with those following treatment with single extracts in DNCB-induced allergic contact dermatitis in the ICR mouse.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the components with in the extracts of L. edodes and A. agallocha can help to prevent of UVA-induced genomic instability via a decrease in DNA damage, and to decrease the DNCB-induced allergic dermatitis via modulation of relevant proteins including IgE and IL-6. Further study is needed to clarify the purified components related to the preventative effects of the two extracts against UVA- or DNCB-induced genomic damage.

표고 품종 산백향과 설백향 구분을 위한 CAPS 마커 개발 (Development of Cleaved Amplified Polymorphic Sequence Markers of Lentinula edodes Cultivars Sanbaekhyang and Sulbaekhyang)

  • 문수윤;홍창표;류호진;이화용
    • 한국균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33-44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40개 표고 품종들로부터 산백향과 설백향의 구분이 가능한 CAPS 마커를 개발하였다. 제한효소 Hha I 과 HpyCH4IV를 이용한 밴드 패턴 분석을 통해 각각 산백향과 설백향을 다른 균주들과 구분하여 구별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CAPS 마커는 표고의 품종들 간에 유전적 다양성을 부여함으로써, 품종을 보호할 수 있는 분자생물학적 근거가 될 수 있다. 이로써 향후 유전자원에 대한 국가간 분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Pretreatments of Softwood Sawdust for Mycelial Growth of Lentinus edodes

  • Kim, Tae-Hong;Lim, Bu-Kug;Chang, Jun-Pok;Yoon, Kab-Hee;Lee, Jong-Yoon;Yang, Jae-Kyung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0권3호
    • /
    • pp.109-115
    • /
    • 2002
  • Mycelial growth of L. edodes by pretreatments of softwood was studied on a sawdust medium. The sawdust used was from the following softwood species : Larix leptolepis, Pinus densiflora and Pinus koraiensis. The pretreatment consisted of cold-water (48 h), hot-water (3 h) and steam extractions (3 h) at a ratio of 500 g : 3,000 mL (sawdust : distilled water). The sawdust medium was a mixture of 76% sawdust, 20% rice bran, 3% glucose, 0.4% potassium nitrate and 0.6% calcium carbonate. Following sawdust pretreatments proved most suitable : L. leptolepis (steam extraction), P. densiflora (hot-water extraction) and P. koraiensis (hot-water extraction). Mycelial growth on P. koraiensis sawdust increased in proportion to an increase in hot-water extraction time. Mycelial growth was optimum on the sawdust extracted for 12 hours, hot-water extraction beyond this period proved unsuitable. With the exception of P. densiflora at 100 ㎍/mL, antifungal activity occurred in every sample. Maximum inhibition of mycelial growth was obtained from following concentration of hot-water extractives : P. densiflora (104 ㎍/mL) and P. koraiensis (104 ㎍/mL). This study has provided useful preliminary information for the cultivation of L. edodes.

표고버섯 가루를 첨가한 전병의 특성 (Properties of Jeonbyeong Containing Letinus edodes Powder)

  • 박정숙;나환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37-344
    • /
    • 2007
  • 표고버섯 분말을 첨가한 전병을 제조하여 첨가 수준별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전병 반죽의 물성 특성 중 흡수율은 표고버섯 분말 첨가량이 많아지면서 증가하였으며, 반죽도달시간과 최고점도는 첨가량에 따라 낮아졌다. 또한 extensogram을 통한 반죽의 energy값은 첨가량과 부의 결과를 보였으며 신장도도 감소하였다. 표고버섯 분말 첨가 전병의 일반성분은 대조구에 비해 수분, 조단백질과 회분의 경우 증가하였고, 탄수화물 함량은 감소하였으며 20% 첨가구의 경우 약간 눅눅한 상태로 전병이 제조되어 전병 제조 시 표고버섯 분말 첨가량은 20%를 넘지 않는 것이 적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색도를 분석한 결과 L값과 b값은 첨가량이 증가하면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a값은 10% 이상 첨가구에서 다소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10% 이상 첨가시 기존 대조구와 현저한 색의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Rheometer를 이용한 물성 측정 결과 경도(hardness)는 15%까지 증가하다 20% 첨가구에서 크게 감소하였는데, 이는 20% 시료의 조직이 눅눅한 상태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최대 하중값과 파단점도 경도와 비슷한 결과를 보여 대조구에 비해 증가하였다. 시료별 관능검사 결과는 색(color), 향(flavor), 맛(taste)과 전반적인 기호도(overall acceptability) 등 모든 항목에서 10% 첨가구가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15% 이상 첨가 할 때 기호도가 조금씩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전병 제조 할 때 최적의 표고버섯 분말 첨가량은 10% 수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Negative Effects of Water Extracts from Pinus densiflora Sawdust on Mycelium Growth of the Shiitake Mushroom Lentinula edodes

  • Choi, Myung-Suk;Yang, Jae-Kyung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10-114
    • /
    • 2005
  • Extracts from sawdust of Pinus densiflora were showed antifungal activity against Lentinula edodes. It was extracted by hot water and then successively extracted by n-hexane, ethyl acetate, and methanol. The yields of the n-hexane-soluble, ethyl acetatesoluble, methanol-soluble and methanol-insoluble fractions of water extracts were 8.2%, 10.6%, 32.0%, and 49.2%, respectively. The ethyl acetate-soluble fraction showed the greatest antifungal activity against L. edodes: 41.5% inhibition at 1,000 ppm. However,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of antifungal activities between n-hexane-soluble fraction and methanol-soluble fraction at a concentration of 1,000 ppm. The hot water extracts showed 23.5% of antifungal activity against L. edodes at a concentration of 1000 ppm. The four antifungal compounds were separated from ethyl acetate fraction by thin layer chromatograph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