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 fischeri var. spiciformis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8초

곰취와 한대리곰취 정유의 화학적 성분 (Chemical Composition of the Essential Oils from Ligularia fischeri and Ligularia fischeri var. spiciformis)

  • 최향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84-293
    • /
    • 2019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volatile flavor composition of essential oils from Ligularia fischeri and Ligularia fischeri var. spiciformis. The essential oils obtained from the plants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 (GC) and GC-mass spectrometry (GC-MS). 99.63% volatile flavor compounds were identified in the essential oil from the L. fischeri. The major compounds were (E)-3-hexenol (30.73%), longiverbenone (13.23%), viridiflorol (12.39%), ${\gamma}$-muurolene (7.32%), limonene (6.12%), and caryophyllene (${\beta}-4.24%$). 99.76% volatile flavor compounds were identified in the essential oil from the L. fischeri var. spiciformis. The major compounds were ledol (42.81%), (E)-15-heptadecenoic acid (33.91%), ${\beta}$-bisabolol (3.23%), viridiflorol (3.08%), and cis-${\alpha}$-farnesene (2.60%). Although the two plants are very similar,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essential oil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quality and quantity. In the case of L. fischeri., it has high contents of monoterpene and sesquiterpene. (E)-3-hexenol, longiverbenone, ${\alpha}$-phellandrene, and ${\alpha}$-myrcene were regarded as the characteristic odorants of L. fischeri, but they were not identified in L. fischeri var. spiciformis. Ledo, (E)-15-heptadecenoic acid, and ${\beta}$-bisabolol were regarded as the characteristic odorants of L. fischeri var. spiciformis, but they were not identified in L. fischeri. The ratio of limonene, ${\gamma}$-muurolene and viridiflorol can be used as an indicator to distinguish between these two plants.

곰취와 한대리곰취의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 (A Comparison the Volatile Aroma Compounds between Ligularia fischeri and Ligularia fischeri var. spiciformis Leaves)

  • 한상섭;사주영;이경철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6권3호
    • /
    • pp.209-217
    • /
    • 2010
  • The volatile aroma of fresh leaves is one of main factor in taste of all the edible green plants. The volatile aroma in almost edible green leaves are suggested as essential oil compounds. Ligularia fischeri, Synurus deltoides, Ligularia fischeri var. spiciformis and Aster scaber are one of the favourable edible green plants in Korea. In this study, volatile aroma compounds from Ligularia fischeri and Ligularia fischeri var. spiciformis species were analyzed by the SPME/GC/MSD method. Ligularia fischeri had 78 volatile aroma compounds such as D-limonene(20.28%), ${\alpha}$-pinene(dextro, 14.15%), L-${\beta}$-pinene(12.85%), 3-carene, ${\beta}$-cubebene(10.39%), etc. Ligularia fischeri var. spiciformis had 83 volatile aroma compounds such as D-limonene(36.97%), ${\beta}$-cubebene(13.95%), L-${\beta}$-pinene(13.38%), ${\alpha}$-pinene(dextro, 4.76%), caryophylle-ne(3.33%) etc. Conclusively, the commom volatile aroma compounds in Ligularia fischeri and Ligularia fischeri var. spiciformis leaves were D-limonene, ${\alpha}$-pinene, L-${\beta}$-pinene, ${\beta}$-cubebene, Caryophyllene, ${\alpha}$-farnesene, terpinolen. However, the composition and amount of volatile aroma compounds were very different between the two species.

임간재배지에서 세 종 곰취(Ligularia)속 식물의 광합성특성 비교 (A Comparison of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of Three Ligularia species Under-tree Cultivation)

  • 김갑태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357-361
    • /
    • 2008
  • 고품질의 곰취, 곤달비 및 한대리곰취를 지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임간재배기술을 개발하고자 횡성군 둔내면의 산채마을 임간재배지에 생육중인 세 식물종의 광합성을 특성을 조사 비교하였다. 광도에 따른 곰취류의 광합성율의 평균은 광도가 높아질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광도에 따른 곰취의 광합성율의 평균은 광도가 높아질수록 높아지다가 1,600 PPFD에서 최대치인 $21.1{\mu}mol\;CO_{2}m^{-2}s^{-1}$를 보이고 2,000 PPFD에서는 낮아졌다. 한대리곰취가 $27.39({\mu}mol\;CO_{2}m^{-2}s^{-1})$로 가장 높은 광합성율을 보였고, 곰취, 곤달비 순으로 낮아졌다. 5월 27일 측정에서 모두 식물종간 통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며 광합성율은 한대리곰취, 곰취, 곤달비 순이었고, 6월 21일 측정 광합성율은 한대리금취, 곤달비, 곰취순이었다. 횡성군 둔내면 산채마을과 같은 해발고가 낮은 지역에서는 곰취나 곤달비 보다는 한대리곰취의 임판재배가 적합할 것이라 사료된다.

산채류 산지농법 실용화 연구(IV) - P-V 곡선에 의한 곰취(Ligularia)속 3종의 수분특성 - (Studies on the Agroforestry Methods of Wild Edible Greens (IV) - Water Relations Parameters of Three Ligularia Species Leaves Obtained from P-V Curves -)

  • 한상섭;이경철;전성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1호
    • /
    • pp.131-135
    • /
    • 2010
  • 본 연구는 P-V 곡선법을 적용하여 곰취, 곤달비, 한대리곰취의 내건성 진단과 적지재배 환경의 구명을 위해 수행되었다. 최대팽압시 삼투포텐셜 ${\Psi}_{\circ}{^{sat}}$은 곰취와 곤달비가 -0.8MPa로 한대리곰취(-0.7 MPa)보다 낮았다. 초기원형질분리점의 삼투포텐셜 ${\Psi}_{\circ}{^{tlp}}$은 곰취와 곤달비가 -0.9 MPa로 한대리 곰취(-0.8MPa)보다 낮게 나타났다. 최대탄성계수 $E_{max}$는 곰취와 곤달비가 29 MPa로 한대리곰취의 14.5MPa 보다 약 2배 가량 높았다. 초기원형질분리점에서의 상대함수율은 곰취 95%, 곤달비 93%, 한대리곰취가 94%로 비슷한 값을 나타냈다. 따라서 곰취류는 비교적 내건성이 약하고, 함수율이 매우 높은 상태에서 초기원형질분리가 일어나므로 비교적 습윤한 지역이 생육에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RAPD 및 ITS 염기서열 분석을 이용한 곰취 속(Ligularia) 식물의 유연관계 분석 (Phylogenetic Relationship of Ligularia Species Based on RAPD and ITS Sequences Analyses)

  • 안순영;조광수;유기억;서종택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4호
    • /
    • pp.638-647
    • /
    • 2010
  • RAPD와 ITS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Ligularia$ 속 식물 5종류의 유연관계를 밝혔다. RAPD 분석에서는 총 196개의 random primer를 사용하여 밴드수가 많고 선명한 63개의 primer를 선발하였다. 다형성을 나타낸 밴드는 141개(31.8%)이었으며, 증폭된 크기는 0.2-1.6kb로 다양하였다. 유집 분석 결과, 유사도 값은 0.54-0.95의 범위로 나타났고, 0.77을 기준으로 크게 5그룹으로 나누었다. ITS 영역의 염기서열 분석 결과, ITS 1과 ITS 2 지역은 각각 248-256bp와, 220-222bp로 구성되어 있으며, 5.8S 부분은 164bp로 나타났다. ITS 1과 ITS 2 지역의 총 478개의 염기 중 49(10.2%)군데에서 변이가 있었으며, 구아닌(G)과 시토신(C)의 비율은 ITS 1 지역에서 49.4%, ITS 2에서는 53.5%로 나타났다. 염기서열 분석결과 5종류는 단계통을 형성하였으며, 갯취는 군외군으로 부터 가장 먼저 분계조를 형성하였다. 한대리곰취와 어리곤달비는 79%의 지지율을 가지고 유집되었으며, 곰취와 곤달비도 함께 유집되었지만 지지도는 52%로 낮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두 데이터는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지만 한 대리 곰취의 분류학적 위치는 RAPD와 ITS 분석결과가 일치하지 않았다.

고랭지 경사 밭 무 재배지에서 토양유실경감을 위한 피복방법 평가 (Evaluation of Surface Covering Methods for Reducing Soil Loss of Highland Slope in Radish Cultivation)

  • 이정태;이계준;류종수;박석호;한경화;장용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667-673
    • /
    • 2011
  • 우리나라 밭은 대부분 산지를 개간하여 조성한 경사 밭으로 작물이 재배되는 여름철 집중강우에 의해 많은 양의 토양이 유실된다. 특히 경사 밭 전면경운에 의한 토양 교란은 무의 발아, 생육초기 단계로 쏟아지는 강우에 표토가 직접 노출되어 토양유실 위험이 가중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랭지 무 재배의 경우 토양피복방법 개선에 의한 토양유실 저감기술을 개발하고자 수행하였다. 토양피복 방법으로 호밀 예취피복, 호밀 초생피복, 흑색비닐멀칭 등 8 처리를 두었으며, 경사 17%내외 무저라이시메타에서 유거수 및 토양유출 특성과 무 생육특성을 평가하였다. 시험결과 호밀예취피복을 포함한 토양피복처리는 유거수 유출량에 있어 ha당 관행 $2,994m^3$인 반면, $773{\sim}2,325m^3$이 유거되어 관행보다 26~78% 수준으로 유거수 량이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토양유실량에도 영향을 미쳐 관행 처리구가 ha당 68.2톤인 반면, 호밀예취피복을 포함한 피복처리구는 0.3~16.1톤으로 관행 대비 76~99%에 해당하는 토양유실 경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무 수확기 수량 구성요소인 근중은 관행의 경우 ha당 92.5톤 수준을 보였는데, 호밀 초생피복은 40.1톤, 벌개미취 초생피복은 46.1톤, 곰취 초생피복은 78.5톤 수준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다. 반면, 호밀 예취피복은 92.9톤, 들묵새 초생피복은 102.6톤, 흑색비닐멀칭은 109.8톤으로 관행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증수되는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 호밀 예취피복 및 들묵새 초생피복은 무 수량에 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토양유실 경감효과가 매우 높아 경사 밭 토양보전기술로 유용하게 적용 되리라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