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 acidophilus addition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5초

비파(Eriobotrya japonica Lindley) 착즙액 첨가가 요구르트 균주의 산 생성 및 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oquat(Eriobotrya japonica Lindley) Extract on Acid Production and Growth of Lactic Culture)

  • 고진경;남은숙;박신인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16-423
    • /
    • 2004
  • 한국산 비파 과실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비파 착즙액을 첨가한 기능성 yoghurt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비파 착즙액의 농도별(10, 15, 20%) 첨가가 요구르트 균주의 산 생성 및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Str. thermophilus, Lac. acidophilus, Lao. casei를 단독균주 및 혼합군주로 접종하여 배양하면서 생균수와 pH 및 적정산도를 측정하였다. 비파 착즙액의 성분 특성은 수분 91.5%, 조회분 0.2%, 당 8.6$^{\circ}$Brix, 총산 0.34%, pH 4.11이었다. 단독균주의 경우 비파 착즙액의 첨가 농도(10, 15, 20%)를 달리하였을 때 Str. thermophilus는 착즙액 10% 첨가시 배양 12시간에 2.10${\times}$$10^{9}$ CFU/mL로, Lac. acidophilus는 착즙액 10-15% 첨가시 배양 15시간에 1.09${\times}$$10^{9}$-1.14${\times}$$10^{9}$ CFU/mL로 그리고 Lac. casei는 착즙액 10-15% 첨가시 배양 24시간에 1.47${\times}$$10^{9}$-1.54${\times}$$10^{9}$ CFU/mL로 가장 높은 균수를 보였다. 또한 이들 유산균의 산 생성도 비파 착즙액을 10% 첨가하였을 때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혼합균주의 경우 Str. thermophilus와 Lac. acidophilus, Str. thermophilus와 Lac. casei는 모두 착즙액 10% 첨가구에서 배양 15시간에 각각 1.33${\times}$$10^{5}$ CFU/mL, 1.13${\times}$$10^{5}$ CFU/mL이 증가하면서 최대 균수를 나타내었으며, pH 저하와 적정산도 상승이 뚜렷하였다. 따라서 비파 착즙액 첨가 기능성 yoghurt 제조시 비파 착즙액을 10% 첨가하여 혼합 starter로 Str. thermophilus와 Lac. acidophilus 혼합균주를 사용하는 것이 이들 유산균의 증식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타났다.

꽃송이버섯 발효물의 항산화 활성 및 폴리페놀 함량 변화 (Antioxidant activity and polyphenol content of fermented Sparassis latifolia extracts)

  • 양승화;이용조;김다송;신현재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68-274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꽃송이버섯을 4종의 유산균(Lactobacillus plantarum subsp. plantarum, L. acidophilus, L. helveticus, L. delbrueckii subsp. bulgaricus)을 사용해 발효를 하였다. 발효된 꽃송이버섯 발효물을 항산화 활성(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Hydroxy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OD activity, 총 폴리페놀 함량(TPC), HPLC 분석, protease 활성을 동해 발효 전 후 생리활성 변화를 확인하였다. 꽃송이버섯 발효물의 항산화 활성은 IC50 28.09-64.46 ㎍/mL, SOD 활성은 IC50 15.75-39.42 ㎍/mL, TPC는 57.66-100.43 GAE ㎍/mL 와 85.25-110.68 ㎍/mL 로 확인되었다. 꽃송이버섯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보다 약 8배 이상 증가된 결과로 확인되었다. 또한 꽃송이버섯 발효물의 HPLC 분석 결과는 ascorbic acid, gallic acid, chlorogenic acid의 함량이 높게 확인되었으며, protease 활성 또한 발효물의 활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Lactobacillus 균주들의 작용에 의하여 꽃송이버섯이 발효되면서 폴리페놀류가 증가하여 생리활성이 꽃송이버섯 추출물에 비해 증가한 것으로 추측된다. Lactobacillus 균중에서 L. helveticus 균주로 발효된 꽃송이버섯 발효물은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꽃송이버섯을 발효하는데 있어 L. helveticus 균주가 가장 적합한 균주로 확인되었다.

GABA 함량이 강화된 발효다시마 추출액 제조 (Production of Fermented Saccharina Japonica Extract with Enhanced GABA Content)

  • 허상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517-526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효소 가수분해 및 유산균 혼합발효기술을 이용하여 GABA 함량이 강화된 발효 다시마 추출물을 생산함에 있다. TLC 분석방법을 통해 GABA 생성능력이 우수한 균주 L. plantarum KCTC 21004, L. acidophilus KCTC 3164, L. sakei subsp. sakei KCTC 3598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균주를 이용한 유산균 발효의 특성은 배양 시간이 증가 할수록 적정 산도는 증가하였고 pH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GABA 생성능력이 우수한 3종의 균주 중 L. plantarum KCTC 21004이 GABA 함량이 136.4 mg/100g으로 우수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유산균을 이용한 GABA 생산과정에 있어서 기초적인 자료로 제공될 것으로 판단된다.

Synergistic Antimicrobial Effect of Achyranthes japonica Nakai Extracts and Bifidobacterium Supernatants Against Clostridium difficile

  • Jung, Sun-Mi;Choi, Soo-Im;Park, Sang-Min;Heo, Tae-Ryeo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2호
    • /
    • pp.402-407
    • /
    • 2008
  • The synergistic antimicrobial effect of Achyranthes japonica Nakai (AJN) and Bifidobacterium extracellular factors against Clostridium difficile were measured using a turbidity method. Each broth supernatant of Bifidobacterium infantis ($68.8{\pm}0.02%$) and Bifidobacterium adolescentis ($33.2{\pm}0.2%$) obtained by adding ethyl acetate soluble fractionate from A. japonica Nakai ethanolic extracts (AJNEA, 100 ppm, no inhibition) showed high synergistic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C. difficile. In addition, the antimicrobial activity in a laboratory medium and yogurt products against C. difficile were evaluated. In yogurt prepared with a starter 5 (Lactobacillus acidophilus: Streptococcus thermophilus: B. adolescentis =1 : 1 : 1) and a starter 4 (L. acidophilus: S. thermophilus: B. infantis=1 : 1 : 1) and 0.5% AJNEA powder, high antimicrobial effects were recorded that measured 79.0 and 65.2%, respectively. The results indicated the potential of AJN extract for use as an antimicrobial agent. In addition, the efficiency of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xtracts was further improved in combination with lactic acid bacteria, which suggests that they have the potential to be used as a highly effective antibiotic-tolerant microorganism prevention system. Such a strategy can be used for alternative drugs or functional food additives for treatment of antibiotic-associated diarrhea.

가루녹차가 요구르트 균주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een Tea Powder on Growth of Lactic Culture)

  • 정다와;남은숙;박신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25-333
    • /
    • 2005
  • 가루녹차를 첨가한 기능성 요구르트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가루녹차의 농도별 첨가가 요구르트 균주의 증식 및 산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가루녹차를 첨가한 skim milk 배지에 Streptococcus thor-mophilus,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casei 를 단독 균주 및 혼합 균주로 접종하여 배양하면서 생 균수와 pH 및 적정산도를 측정하였다. 단독균주의 경우 가루녹차의 첨가 농도($0.5\%,\;1.0\%,\;1.5\%,\;2.0\%\;and\;2.5\%$)를 달리하였을 때 streptococcus thermophilus와 Lactobacillus casei는 가루녹차 첨가에 의해 증식 효과는 아주 미비하였으나 억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Lactobacillus acidophilus는 배양 9시간부터 가루녹차 첨가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높은 균수를 보이며 약간의 생육 촉진 효과를 보였고, 배양 12시간부터 pH가 하락하였고 적정산도는 상승하였다. 그러나 가루녹차의 첨가량에 따른 생육과 산 생성 정도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는 뚜렷하지 않았다. 혼합 균주의 경우, 단독균주로 배양하였을 때보다 가루녹차에 의한 유산균의 증식이 촉진되었다. Streptococcus thermophilus와 Lac-tobacillus acidophilus는 가루녹차 $0.5\%$$1.0\%$ 첨가시, 배양 15시간 후에 각각 $1.5\times10^9$ CFU/mL, 또한 Streptococcus thermophilus와 Lactobacillus casei는 가루녹차 $0.5\%$ 첨가시 배양 12시간 후 $1.4\times10^9$ CFU/mL, $1.0\%$ 첨가시에는 배양 15시간 후에 $1.5\times10^9$ CFU/mL로 최대 균수를 나타내었으며, pH 저하와 적정산도 상승이 뚜렷하였다. 따라서 가루녹차 첨가 기능성 요구르트 제조시 가루녹차를 $0.5\~l.0\%$ 첨가하여 유산균을 혼합균주로 사용하는 것이 이들 유산균의 증식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Effects of lactic acid bacteria fermented feed and three types of lactic acid bacteria (L. plantarum, L. acidophilus, B. animalis) on intestinal microbiota and T cell polarization (Th1, Th2, Th17, Treg) in the intestinal lymph nodes and spleens of rats

  • Da Yoon, Yu;Sang-Hyon, Oh;In Sung, Kim;Gwang Il, Kim;Jeong A, Kim;Yang Soo, Moon;Jae Cheol, Jang;Sang Suk, Lee;Jong Hyun, Jung;Hwa Chun, Park;Kwang Keun, Cho
    • Animal Bioscience
    • /
    • 제36권1호
    • /
    • pp.156-166
    • /
    • 2023
  • Objectiv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Rubus coreanus-derived lactic acid bacteria (LAB) fermented feed (RC-LAB fermented feed) and three types of LAB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us acidophilus, Bifidobacterium animalis) on the expression of transcription factors and cytokines in Th1, Th2, Th17, and Treg cells in the intestinal lymph nodes and spleens of rats. In addition, the effect on intestinal microbiota composition and body weight was investigated. Methods: Five-week-old male rats were assigned to five treatments and eight replicates. The expression of transcription factors and cytokines of Th1, Th2, Th17, and Treg cells in the intestinal lymph nodes and spleens was analyzed using real-time 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 assays. Intestinal tract microbiota compositions were analyzed by next-generation sequencing and 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assays. Results: RC-LAB fermented feed and three types of LAB increased the expression of transcription factors and cytokines in Th1, Treg cells and Galectin-9, but decreased in Th2 and Th17 cells. In addition, the intestinal microbiota composition changed, the body weight and Firmicutes to Bacteroidetes (F/B) ratio decreased, and the relative abundance of LAB increased. Conclusion: LAB fermented feed and three types of LAB showed an immune modulation effect by inducing T cell polarization and increased LAB in the intestinal microbiota.

Effect of Colored Barley Flour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Yogurt by Lactobacillus spp.

  • Lee, Nayoung;Lee, Mi-Ja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9권1호
    • /
    • pp.66-72
    • /
    • 2014
  • Quality characteristics of yogurt with added colored barely flour was investigated during fermentation by lactic acid bacteria. Chemical properties such as moisture, crude protein, starch, ash and ${\beta}$-glucan contents was measured. pH, acidity, brix, Hunter color value and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in yogurt was investigated during fermentation by L. acidophilus, L. bulgaricus, and S. thermophilus mixed culture. Crude protein contents of Daeanchal and Boseokchal was 16.16 and 12.17%, respectively. Starch contents of daeanchal were shown lower score. The pH of yogurt by addition of barley flour (Daeanchal) addition 0 and 20% were 6.66 and 6.40, respectively. The pH of yogurt supplemented with barley flour tended to be lower than before control which was not added barely flours and oligosaccharide in yogurt. Titratable acidity of yogurt added barley flour was higher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Brix of yogurt was decreased during fermentation by lactic acid bacteria. Lightness of yogurt added barley flour (Daeanchal) addition 0 and 20% were 83.25 and 69.83, respectively. The original microbial population of the yogurt during 0, 5, 8, and 15 hr fermentation were 7.48, 7.79, 8.15, and 8.71 Log CFU/g, respectively. Moreover, the addition of colored barley flour was to promote the prolifer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in yogurt. In our research, addition of colored barley flours added into the yogurt may also have contributed to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유산균(乳酸菌) 성장(成長)에 미치는 어육단백질분해물(魚肉蛋白質分解物)의 영향(影響) (Effect of the Fish Meat Hydrolysate on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 이은보;김종우
    • 농업과학연구
    • /
    • 제11권1호
    • /
    • pp.120-132
    • /
    • 1984
  • 어육단백분해물(魚肉蛋白分解物)이 Starter로써 이용(利用)되는 Str. lactis, Str. thermophilus, L. bulgaricus, L. acidophilus, L. helveticus 등의 유산균(乳酸菌)에 미치는 성장(成長) 촉진효과(促進效果)를 규명(糾明)하기 위하여 어육단백질(魚肉蛋白質) 분해시(分解時)의 최적조건(最適條件)을 검토(儉討)하고 분해물(分解物) 첨가시(添加時)의 유산균(乳酸菌)의 산생성도(酸生成度), pH 및 유산생균수(乳酸生菌數)의 변화(變化) 등을 실험(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Pancreatin으로 고등어 배육(背肉)을 가수분해(加水分解)시킬때의 최적조건(最適條件)은 $50^{\circ}C$의 분해온도(分解溫度), pH 8, 48시간(時間) 처리(處理)와 어육(魚肉)의 단백질량(蛋白質量)에 대(對)하여 6%의 효소농도(酵素濃度)였다. 2. 조제(調製)된 어육단백분해물(魚肉蛋白分解物)의 조성(組成)은 수분(水分)53.6%, 단백질(蛋白質) 32.4%, 지방(脂肪) 1.0%, 회분(灰分) 3.2%, 탄수화물(炭水化物) 10.7%였다. 3. Str. lactis와 Str. thermophilus는 어육단백분해물(魚肉蛋白分解物)이 0.1%, L. acidophilus와 L. helveticus는 0.2% 이상(以上) 첨가(添加)된 배지(培地)에서 유산산도(乳酸酸度)가 크게 증가(增加)되었으나 L. bulgaricus의 경우에는 뚜렷한 효과(效果)를 보이지 않았다. 4. Str. lactis와 Str. thermophi1us는 어육단백분해물(魚肉蛋白分解物)을 0.1% 이상(以上) 첨가(添加)하였을 때 배지(培地) pH가 뚜렷하게 저하(低下)되었으나 L. bulgarilus, L. helveticus와 L. acidophilus는 어육단백분해물(魚肉蛋白分解物)을 첨가(添加)하여도 pH의 변화(變化)가 별로 없었다. 5. 모든 공시유산균주(供試乳酸菌株)는 어육단백분해물(魚肉蛋白分解物)의 첨가농도(添加濃度)에 비례(比例)하여 생균수(生菌數)가 증가(增加)하였다.

  • PDF

석류 농축액의 유산균에 대한 성장촉진효과와 요구르트의 적용 (The Growth-Promoting Effect of Pomegranate Concentrates on Lactic Acid Bacteria and Their Application to Yogurt)

  • 고윤정;김완섭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41권2호
    • /
    • pp.76-85
    • /
    • 2023
  • 본 연구는 유산균과 병원성균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과 요구르트 제조에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유산균인 W. cibaria KCCM 41287, W. paramesenteroides KCCM 40114, L. plantarum KCCM 11322, Lactobacillus lactis KCCM 43471, L. acidophilus KCCM 32820, L. cremoris KCCM 40699, L. bulgaricus KCCM 34717, S. thermophilus KCCM 40430은 석류 농축액에 의해서 성장이 촉진되었다. 석류 농축액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현저한 성장 효과를 나타내었다. 반면 병원성균인 E. coli KCCM 11587, E. coli KCCM 11591, E. coli KCCM 11596, 그리고 E. coli KCCM 11600는 석류 농축액에 의해서 성장이 억제되었다. 석류 농축액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성장은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병원성균에 대한 석류 농축물의 억제는 유산균에 대한 석류 농축물의 촉진 효과와는 반대의 결과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석류 농축액은 유산균에 있어서 프리바이오틱스로서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한편, 석류 농축액을 첨가한 요구르트는 무첨가구에 비해 최적의 조건을 보였다. 특히 석류 농축액을 첨가한 요구르트에서 유산균의 생균 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저장 중 요구르트에서는 무첨가구보다 석류 농축액을 첨가하여 제조한 요구르트에서 유산균의 생존율이 더 높았다. 따라서 석류 농축액은 프리바이오틱스로서의 가능성과 유제품의 적용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우유와 곡류를 이용한 요구르트의 제조 (The Preparation of Yogurt from Milk and Cereals)

  • 김경희;고영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30-135
    • /
    • 1993
  • 본 연구에서는 우유에 탈지분유 또는 4종의 곡류(쌀, 보리, 밀, 옥수수)를 각각 2%(w/v) 첨가하고 젖산균(Lactobacillus 3종)으로 발효하여 호상의 요구르트를 만든 후, 곡류의 첨가가 젖산균의 생육과 산생성 및 요구르트의 품질(점도 및 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곡류의 첨가로 젖산균의 산생성이 대조군(우유로만 만든 요구르트)보다 현저하게 촉진되었으며, 접종된 3종의 젖산균 중에서는 L. acidophilus의 산생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점도 측정의 결과를 보면, 옥수수 첨가 요구르트의 점도가 가장 높았으며 보리 첨가 요구르트의 점도가 가장 낮았다. 호상요구르트는 thixotropic flow의 특성을 나타냈으며, 곡류 첨가 요구르트의 점도는 발효 6시간부터 24시간까지 현저히 증가하였다. 관능검사의 결과를 보면 밀 첨가 요구르트의 관능성이 표준시료보다 우수하였고 보리 첨가 요구르트의 관능성이 모든 시료 가운데 가장 저조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