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L., biodegradation

검색결과 225건 처리시간 0.022초

Pseudomonas putida KT-3의 Methyl Ethyl Ketone 및 Methyl Isobuthyl Ketone 분해 특성 (Degradation Characteristics of Methyl Ethyl Ketone and Methyl Isobuthyl Ketone by Pseudomonas putida KT-3.)

  • 김민주;이태호;이경미;류희욱;조경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95-401
    • /
    • 2002
  • 각종 산업시설에서 유기용제로 사용되는 methyl ethylketone(MEK)과 methyl isobutyl ketone(MIBK)을 유일 탄소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Pseudomonas putida KT-3 균주에 의한 이들 물질의 생분해 특성을 조사하였고, MEK/MIBK 혼합물 분해에 미치는 이들 기질 상호간의 작용을 규명하였다. MEK 단독 기질 조건에서 MEK 첨가농도가 0.5에서 5.5mM로 증가함에 따라 KT-3 균주에 의한 MEK 분해속도도 3.15에서 10.58 mmol/g DCW$\cdot$h로, MEK 첨가량이 5.5mM인 경우와 거의 유사한 속도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MIBK 단독 기질 조건에서 KT-3 균주에 의한 MIBK 분해속도는 3.0mM 이상의 MIBK 농도에서는 MIBK 농도에 상관없이 4.69-4.96 mmol/gDCW$\cdot$h로 거의 일정하였다. KT-3 균주의 MEK/MIBK 혼합물에서의 생분해 속도의 감소는 두 기질 상호간의 경쟁적인 저해작용에 의한 것임을 알 수있었고, 속도론적 해석 결과 얻는 MEK와 MIBK의 최대분해속도 ($V_{max}$), 포화상수 ($K_{m}$) 및 저해상수 ($K_{1}$)는 다음과 같다. $V_{max,MEK}$=12.94 mmol/g DCW$\cdot$h; $K_{m,MEK}$=1.72 mmol/L; $K_{l,MEK}$=1.30 mmol/L; $V_{max,MIBK}$=5.00 mmol/g-DCW$\cdot$h; $K_{m,MIBK}$=0.42 mmol/L; $K_{l,MEK}$=0.77 mmol/L.

해양세균 Pseudomonas sp. CHCS-2에 의한 원유분해 및 생물유화제의 성분 분석 (Biodegradation of Crude oil by Marine Bacterium Pseudomonas sp. CHCS-2 and Composition of the Biosurfactant)

  • 김학주;김봉조;하순득;황선희;공재열
    • KSBB Journal
    • /
    • 제14권2호
    • /
    • pp.192-197
    • /
    • 1999
  • 해양세균 Pseudomonas sp. CHCS-2는 배양과정 중에 포도당 첨가에 의해 생물유화제의생산이 증가되었으며, 196시간 배양시 원유에 포함되어 있는 paraffine계 탄화수소 중에서 $_nC_{12}~_nC_{22}$까지 범위의 carbonchain이 거의 대부분 분해됨을 알 수 있었다. chloroform : metahnol = 1 : 1(V/V)로 추출하여 얻은 8.5g/L의 crude 생물 유화제를, Amberlite XAD-7, Sepharose CL-4B, DEAE-sepharose CL-6B 수지를 사용하여 정제한 결과 최종적으로 0.21g/L의 정제된 생물유화제를 얻었다. 본 균주가 생산하는 생물유화제는 단백질과 octadecanoic acid가 결합된 분자량이 약 67kDa인 lipoprotein으로 확인되었으며, 정재된 생물유화제중 단백질성분만을 분리하여 N-말단 아미노산배열을 분석한 결과, Ser-Val-He-Asn-Thr-Asn-IIe-Thr-X-Met-Ile-Gly-Gin-Gln-의 배열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기존에 보고된 lipoproten과 다른 형태의 것으로, 본 균주가 생산하는 생물유화제의 경우 구성성분, 분자량 등을 고려해 볼 때 새로운 형태의 lipoprotein 계열 생물유화제로 추정된다.

  • PDF

해양암석 분말과 곰팡이 배양액에 의한 적조생물 편조류의 구제효과 (Control Effect of Dinoflagellate Bloom by Powder of Marine Rock and Fungus Culture Supernatant)

  • 현성희;신현웅
    • 미생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7-11
    • /
    • 2006
  • 조류의 효과적인 제어방법 개발의 일환으로 해양암석분말의 효과를 보기위하여 해양암석분말과 곰팡이 배양 상등액을 이용하여 해양조류 제거율을 조사하였다. 편조류인 H. akashiwo와 P.minimum는 해양암석 분말을 30g/1의 농도로 살포한 실험군에서 높은 구제효과를 나타내었고, P. oxalicum (HCLE-34)배양상등액 살포는 5 mg/l 살포군에서도 구제효과를 나타내었다. 혼합 살포군에서도 배양 상등액 단독 살포군에서와 동등한 정도의 구제효과를 나타내었고, 완충용액 (pH 2.8)은 15 mg/l 살포군에서 60분 경과 후 75%의 구제효과를 나타내었으나, 전자현미경적 관찰에서는 암석분말과 배양 상등액 혼합 살포군, 배양 상등액 살포군, 암석분말 살포군 및 완충용액 살포군 순으로 세포의 파괴정도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암석분말과 곰팡이 배양상등액이 해양에서 발생되는 편조류의 대발생을 조절할 수 있는 물질로 작용함을 시사한다.

고농도 유기산폐수의 효모에 의한 분해연구 (Characteristics of Organic Acid Degradation by Yeast)

  • 김석원;허병기;김은기
    • KSBB Journal
    • /
    • 제14권2호
    • /
    • pp.136-140
    • /
    • 1999
  • Characteristics of organic acid degradation by isolated yeast strain was investigated. Optimum initial pH was 5. Increase in cell mass was proportional to the decrease in organic acid degradation. Also no accumulation of byproduct was observed during degradation. Acetic acid degraded fast, followed by butyric acid and propionic acid in order. No significant substrate inhibition was observed up to 12 g/L of acetic acid 7 g/L of propionic acid, respectively. However, inhibition of butyric acid was significant above 4 g/L. Cell mass yield was 0.2-0.4 g cell/g acids and decreased at high decreased at high organic acid concentration. 95% of organic acid (7.5 g/L), corresponding to 13,000 ppm, was degraded in 30-40 hours.

  • PDF

활성슬러지를 이용한 질소방향족화합물의 생물학적 분해 특성 (Biodegradation Characteristics of Nitrogen-containing Aromatic Compounds in Activated Sludge)

  • 조관형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22-228
    • /
    • 2010
  • Biological degradation of nitrogen-containing aromatic compounds was investigated in activated sludge previously adapted to mineralize low concentrations of nitrogen-containing aromatic compounds. Normally, the time required for 95% degradation of 10 mg/l dinitrophenol (DNP) under aerobic conditions was less than 4 hours without any lag, and with mixed liquor suspended solid (MLSS) levels from 600 to 1,000 mg/l. However, when the initial DNP concentration was increased to 75 mg/l, lags and even complete inhibition of DNP degradation were observed. The length of the lag was found to increase proportionally with decreasing MLSS levels. When dilute activated sludge was incubated for extended periods (192 hours), degradation of 75 mg/l DNP did eventually occur after lag periods of 37 to 144 hours, depending on the MLSS concentration. DNP was degradable in high concentrations if MLSS concentrations were sufficiently high to allow growth of bacteria resistant to the toxic effects of DNP.

토지이용에 따른 울산지역 지하수의 VOCs 함량 특성 (Concentrations of VOCs in Groundwater Associated with Land Uses in Ulsan Area)

  • 윤욱;조병욱
    • 자원환경지질
    • /
    • 제37권6호
    • /
    • pp.613-629
    • /
    • 2004
  • 울산지역 지하수의 VOCs 함유 실태와 자연적 저감의 진행을 고찰하기 위해 168개 지하수 관정을 선정하여 유기오염 관련 연구를 수행하였다. 유기오염물에 의한 지하수 오염은 토지이용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168개 지하수시료를 농업지역, 산림지역, 공업지역 및 주거 상업지역으로 구분하여 해석하였다. 지하수의 VOCs 분석결과 총 168개 중 65개 지하수에서 1개 성분 이상의 휘발성유기화합물이 검출되었다. 분석항목은 미국지질조사소 NAWQA프로그램에서 선정한 36개의 할로겐지방족 탄화수소와 25개 성분의 석유탄화수소(BTEX등 방향족 탄화수소와 MTBE포함)로 구성된다. 석유탄화수소는 26개 관정의 지하수에서 12개 성분이 검출되었으나 MTBE를 제외하고는 $1.5{\mu}g/L$미만의 낮은 농도를 나타내고 있다. 할로겐지방족 탄화수소는 63개관정의 지하수에서 검출되었으며, 검출된 성분은 11개 성분의 메탄류, 6개 성분의 에탄류, 6개 성분의 에텐류로 구성된다. 그중 메탄류는 $ND\~330{\mu}g/L$의 분포를 보이고, 에탄류는 $ND\~84{\mu}g/L$의 범위를 보이며, DCA, CA등은 $ND\~19{\mu}g/L$ 농도를 보인다. 에텐류는 $ND\~62{\mu}g/L$의 범위를 보이며, PCE, TCE 및 그 분해물들은 $ND\~62{\mu}g/L$의 농도를 보인다. 연구지역은 대부분이 호기성/탈질지대 및 $Fe^{3+}$ 지대로 구성되어 대부분의 방향족탄화수소는 분해가 잘되는 환경이나 염소계지방족 탄화수소는 대부분 생분해 반응이 서서히 일어나는 환경에 해당한다.

해수중에서 유처리제 및 유처리제/Bunker-C유 혼합물의 생분해도와 용존산소소비에 관한 연구(II) - 유처리제/Bunker-C유 혼합물의 생분해도와 용존산소소비 - (Study on the Biodegradability of Dispersants and Dispersant/Bunker-C Oil Mixtures and the Dissolved Oxygen Consumption in the Seawater(II) - The Biodegradability of Dispersant/Bunker-C Oil Mixtures and the Dissolved Oxygen Consumption in the Seawater -)

  • 김광수;박청길;김종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519-528
    • /
    • 1993
  • 해수중에서 유처리제에 의해 유화${\cdot}$분산된 Bunker-C유의 생분해도와 이로 인해 나타나는 용존산소소비를 연구할 목적으로 국내에서 시판 중인 유처리제 및 국내 연안에 있어 유류오염사고의 주종을 이루고 있는 Bunker-C유에 대한 TOD분석과 원소분석을 행하고, 또한 Bunker-C유/유처리제 혼합물에 대해 천연해수를 이용한 생분해 실험을 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mg의 Bunker-C유는 3.16mg의 TOD를 나타내는 반면에 1mg의 유처리제는 2.80mg의 TOD값을 나타내었다. 2. Bunker-C유는 $87.3\%$의 탄소와 $11.5\%$의 수소를 함유하였으며, 유처리제는 $76.5\%$의 탄소와 $12.2\%$의 수소를 함유하였다. Bunker-C유와 유처리제 중 어느 시료에서도 질소는 검출되지 않았다. 3. 천연해수 중에서 일정량의 Bunker-C유(4mg/l)에 대하여 유처리제를 $10:1{\sim}10:5$의 혼합비율로 첨가한 Bunker-C유/유처리제 혼합물에 관해서 정리하면, 혼합물의 $BOD_5$$0.34{\sim}2.06mg/l$였고 $BOD_{20}$$1.05{\sim}5.47mg/l$였다. 또한 혼합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혼합물의 BOD는 증가하였다. 혼합물은 생분해도($BOD_5$/TOD)가 $3{\sim}11\%$로서 저율 분해군에 속하였다. 또한 혼합비율이 10:1에서 10:5로 증가함에 따라 혼합물의 생분해도는 $3\%$에서 $11\%$로 증가하였다. 혼합물의 탈산소계수($K_1$)는 $0.072{\sim}0.097/day$였으며, 혼합물의 최종산소요구량($L_o$)은 $1.113mg/l{\sim}6.746mg/l$로서 혼합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최종산소요구량도 증가하였다.

  • PDF

Soil Washing and Biodegradation Potentials of Amphiphilic Polyurethane(APU) Nano-network Particles

  • Kim, Young-Bum;Jang, Shin-A;Kim, Ju-Young;Kim, Eun-Ki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442-445
    • /
    • 2000
  • Amphiphilic polyurethane(APU) particle is a polymeric surfactant, and could increase the solubility of 2-methylnaphthalene significantly. 2-Methylnaphthalene was recovered by the precipitation of APU particles and was degraded by Acinetobacter sp. K2-2. APU particle was recovered and reused after treatment of triethylamine.

  • PDF

계면활성제 생성능과 세포 표면 소수성을 가진 세균 균주들에 의한 석유탄화수소의 생분해 (Biodegradation of petroleum hydrocarbons by bacteria with surfactant producing capability and cell surface hydrophobicity)

  • 권선률;송홍규
    • 미생물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265-272
    • /
    • 2017
  • 다른 탄화수소 분해 방법을 가진 여러 세균을 유류-오염 토양에서 분리하였다. Acinetobacter calcoaceticus SL1은 기름-분산 시험에서 계면활성제-생성능을 보였으며 경유와 n-hexane에 대해 각각 43.6과 54.5%의 유화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높은 세포 표면 소수성을 가졌는데 이는 탄화수소에 쉽게 부착하여 그것을 분해할 수 있게 한다. 이 균주는 1,000 mg/L의 n-octadecane과 naphthalene을 3일 내에 100% 분해하였으며, 1,000 mg/L의 경유는 7일 동안 72.3%, 그리고 10,000 mg/L로 오염시킨 토양에서는 4주 간 78%를 제거하였다. 다른 분리균주 Bacillus amyloliquefaciens S10과 B. subtilis GO9는 생물계면활성제를 생산할 수 있으며 기름-분산 시험에서 각각 6.34와 2.5 cm직경의 투명대를 형성하였다. 배양 중 그들의 배양 상등액은 표면장력이 74.6 mN/m으로부터 각각 34.4와 33.3 mN/m으로 감소하였으며, 배양 상등액의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은 각각 2.0과 5.9%이었다. A. calcoaceticus SL1과 B. amyloliquefaciens S10의 컨소시엄은 10,000 mg/L의 경유를 3일만에 77.8% 분해하였는데 이는 A. calcoaceticus SL1 단독에 의한 것보다 높은 분해능이었다. 만일 이 세균들을 유류-오염 부지에 컨소시엄으로 같이 처리한다면 높은 석유탄화수소 제거율을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Treatment of the fuel oxygenate, MTBE, contaminated ground water using Sequence Batch Bioreactor

  • 박기용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0년도 창립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92-95
    • /
    • 2000
  • A mixed bacterial culture capable of mineralizing methyl tort-butyl ether (MTBE), other fuel oxygenates ethers, tertiary carbon alcohols, benzene and toluene was used to inoculate batch reactor and sequence batch reactor (SBR) to treat gasoline contaminated ground water containing about 60 mg/L MTBE, 5 mg/L benzene, 5 mg/L toluene, and low concentrations of several other aromatic and aliphatic hydrocarbons. Respirometery studies showed that MTBE degrading mixed culture could treat MTBE contaminated ground water with addition of nitrogen and phosphate. SBR was operated to demonstrate the feasibility of using suspended growth activated system for the treatment of ground water and to confirm that the respirometry derived kinetics and stoichiometric coefficients were useful for predicting reactor performance. Theoretical performance of the reactor was predicted using mathematical models calibrated with biokinetic parameters derived from respirometry stud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