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tyrosine

검색결과 371건 처리시간 0.02초

황칠나무 추출물의 고초균 발효물로 제조된 가쓰오부시 단백가수분해물의 Lactobacillus plantarum 발효를 통한 고농도 GABA 생산 (Production of highly enriched GABA through Lactobacillus plantarum fermentation of katsuobushi protein hydrolyzate made from Dendropanax morbiferus extract fermented by Bacillus subtilis )

  • 안유정;성낙주;이삼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46-154
    • /
    • 2023
  • 참치액 소스를 가공할 때 가쓰오부시(가다랑어 훈연 숙성) 열수 추출물을 주원료로 사용하며, 이때 부산물로 생산되는 가쓰오부시 단백질을 이용하여 가수 분해산물인 peptide 강화소재를 제조하며 이를 젖산발효를 통한 기능성 물질 GABA가 증진된 기능성 발효소재를 개발하였다. 황칠나무 추출물 25%에 glucose 2%, skim milk 1%를 첨가한 제한배지에서 1차 고초균 발효 1일 동안 B. subtilis HA의 생균수는 8.83 log CFU/mL로 크게 증가하였고, pH 7.53과 산도 0.06%를 나타내었다. 고초균 발효물의 protease 활성은 발효 전 1.55 unit/mL에서 발효 후 102.22 unit/mL로 크게 증가하였고, 이에 가쓰오부시 부산물을 10% 첨가하여 60℃에서 3시간 동안 단백질 분해한 결과 tyrosine 함량이 분해 전 72.94 mg%에서 분해 3시간 후 156.85 mg%로 2배 이상 증가하였다. 고초균 발효물을 이용하여 가수분해시킨 가쓰오부시 단백질 분해물에 추가적으로 MSG 10%, glucose 3%, yeast extract 0.5%를 첨가하여 정치배양으로 젖산균 발효를 수행하였다. L. plantarum KS2020의 생균수는 0일 차 7.65 log CFU/mL에서 발효 7일 차 9.33 log CFU/mL까지 크게 증가하였고, B. subtilis HA의 생균수는 0일 차 5.98 log CFU/mL에서 1일 차부터 생균수가 검출되지 않았다. 젖산균 발효물의 pH 및 산도의 변화는 0일 차 pH 7.14, 산도 0.19%에서 1일 차에 pH는 5.77로 감소하고 산도는 1.92%로 증가한 후 발효 3일 차에 산도는 0% 및 pH 8.00 이상을 나타내었다. 젖산발효 1일 차부터 GABA의 전환이 보이면서 발효 3일 차에 고농도 GABA 생성을 나타내었다. GABA 및 glutamic acid의 함량을 HPLC로 분석한 결과, GABA의 함량은 3,139.58 mg/100 g으로 매우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glutamic acid의 함량은 83.44 mg/100 g이었다. 결과적으로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고초균 발효물을 효소원으로 이용하여 가쓰오부시 부산물의 단백질을 효과적으로 고온에서 단기간에 분해하여 peptide를 생성시켰으며, 연속적으로 젖산발효를 통해 약 3.1%의 GABA가 생성되었다. 최종 가쓰오부시 단백질의 가수분해물을 이용한 젖산균 발효물은 산도가 0%이며 풍미, probiotics, peptides, 고농도 GABA를 함유한 복합 기능성 발효소재로써 소스 등 다양한 식품의 건강소재로 활용이 기대된다.

비지 koji 첨가에 따른 양조간장의 발효 중 이화학적 특성 평가 (Evaluation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y sauce fortified with soymilk residue (okara koji))

  • 송영철;이삼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818-826
    • /
    • 2013
  • 본 연구는 비지 koji를 제조하여 개량식 알메주와 0, 50, 100%비율로 혼합하여 90일간 발효시켜 양조간장을 제조한 후 품질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담금액의 염농도는 17.15~17.22%를 나타내었으며, 비지 koji의 첨가량 증가에 따라 수용성 고형분은 각각 8.73, 6.12, 2.50%로 감소하였으며, 간장의 완충능은 알메주만을 사용한 경우에 1.25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발효액의 pH는 발효 기간이 증가할수록 낮아졌으며, 비지 koji 50%에서 4.92를 나타내었다. 알메주, 비지 koji 50, 100% 각각 첨가한 간장의 산도는 1.09, 0.98 및 0.47%로 나타났다. 비지 koji 50%를 혼합하여 발효시킨 간장에서 protease와 ${\alpha}$-amylase의 효소활성은 발효 30일에 각각 26.55, 6.41 unit/mL로 높았으며, 발효기간이 증가하면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Tyrosine 함량은 발효기간 중 증가하였으며, 발효 90일에 275.2 mg%로 비지 koji 50%를 사용한 간장에서 가장 높았다. 환원당과 총당의 함량은 발효 초기에는 알메주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발효 60일에는 비지 koji를 첨가한 간장에서 높은 총당 함량을 보였으며 90일에는 약간 감소하였다. 간장용액 갈색도는 발효시간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400/500 nm에 대한 흡광비율값의 범위는 알메주 100%(1.25~3.65), 비지 koji 50%(1.25~3.65), 비지 koji 100%(1.25~5.14)로 나타났다. 알메주 또는 비지 koji 50%를 첨가한 경우에 발효기간이 증가하면서 glutamine을 제외한 glutamic acid 등 대부분 유리 아미노산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반면에 비지 koij 100%를 사용한 간장은 매우 낮은 총아미노산 함량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 결과 비지 koji 50%을 이용하여 제조된 양조간장은 짠맛과 색도에서 차이를 제외하고는 유사한 값을 보였으며, 알메주 만을 사용한 간장의 기호도가 좋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알메주에 비지 koji 50%를 첨가하여 발효시킨 양조간장은 일반성분, 색상과 맛 등 기호성이 양호하였다.

반룡환의 흰쥐태아중뇌에서의 도파민세포 보호효과 (Neuroprotective Effects of Banryong-hwan in Primary Rat Mesencephalic Dopaminergic Neurons)

  • 주미선;김효근;심진섭;오명숙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53-60
    • /
    • 2008
  • Objectives : Oxidative stress has a critical role in neurodegenerative diseas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and neuroprotective effects of the ethanolic extract of Banryong-hwan (BRHE) in SH-SY5Y cells and primary rat mesencephalic dopaminergic neurons. Methods : To assess the antioxidant effects, we carried out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ssay, 2,2'-azino-bis(3-ethylbenzthiazoline-6-sulphonic acid)(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and determination of total polyphenolic content. We evaluated the effect of BRHE treatment on neuroprotection against 6-hydroxydopamine(6-OHDA) toxicity using thiazolyl blue tetrazolium bromide(MTT) assay, nitric oxide(NO) assay, reactive oxygen species(ROS) assay in SH-SY5Y cells and tyrosine hydroxylase(TH) immunocytochemistry in primary rat mesencephalic dopaminergic neurons. Results : BRHE showed IC50 values of 328.10 ${\mu}g/mL$ and 43.12 ${\mu}g/mL$ in DPPH assay and in ABTS assay, respectively. Total polyphenolic content was 180.76 ${\mu}g/mL$. In SH-SY5Y cells, BRHE significantly attenuated the toxicity induced by 6-OHDA at the concentrations of 25-100 ${\mu}g/mL$ pre- and post- treatment in MTT assay. While 6-OHDA increased the NO and ROS contents, BRHE decreased them in a dose dependent manner. Moreover, in primary dopaminergic neuron culture, BRHE significantly protect-ed the dopaminergic cell loss against 6-OHDA toxicity up to 136% at the concentration of 75 ${\mu}g/mL$. Conclusions :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BRHE has neuroprotective effect against 6-OHDA induced neurotoxicity through decreasing NO and ROS generation.

  • PDF

Antioxidant and Antimelanogenic Activities of Kimchi-Derived Limosilactobacillus fermentum JNU532 in B16F10 Melanoma Cells

  • Meng, Ziyao;Oh, Sej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1권7호
    • /
    • pp.990-998
    • /
    • 2021
  • Melanin is a natural skin pigment produced by specialized cells called melanocytes via a multistage biochemical pathway known as melanogenesis, involving the oxidation and polymerization of tyrosine. Melanogenesis is initiated upon exposure to ultraviolet (UV) radiation, causing the skin to darken, which protects skin cells from UVB radiation damage. However, the abnormal accumulation of melanin may lead to the development of certain skin diseases, including skin cancer. In this study, the antioxidant and antimelanogenic activities of the cell-free supernatant (CFS) of twenty strains were evaluated. Based on the results of 60% 2,2-diphenyl-1-picrylhydrazyl scavenging activity, 21% 2,2'-azino-bis (3-ethylbenzthiazoline-6-sulfonic acid) scavenging capacity, and a 50% ascorbic acid equivalent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value, Limosilactobacillus fermentum JNU532 was selected as the strain with the highest antioxidant potential. No cytotoxicity was observed in cells treated with the CFS of L. fermentum JNU532. Tyrosinase activity was reduced by 16.7% in CFS-treated B16F10 cells (but not in the cell-free system), with >23.2% reduction in melanin content upon treatment with the L. fermentum JNU532-derived CFS. The inhibitory effect of the L. fermentum JNU532-derived CFS on B16F10 cell melanogenesis pathways was investigated using 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western blotting. The inhibitory effects of the L. fermentum JNU532-derived CFS were mediated by inhibiting the transcription of TYR, TRP-1, TRP-2, and MITF and the protein expression of TYR, TRP-1, TRP-2, and MITF. Therefore, L. fermentum JNU532 may be considered a potentially useful, natural depigmentation agent.

Studies on the Antioxidant and Whitening Effects of Cheongyang Pepper based on a Bibliometric Approach

  • Eunsoo Sohn;Hyo Jin Kim;Chang Woo Ha;Sohee Jang;Jung Hun Choi;Sung Hyeok Kim;Tae-Seong Lee;Eun-Hwa Sohn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3년도 임시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41-41
    • /
    • 2023
  •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is one of the most consumed vegetable worldwide. In this study, we tried to suggest the possibility of Cheongyang pepper as a functional cosmetic material by identifying the physiological activity, especially antioxidant and whitening effects of Cheongyang pepper through bibliometric analysis and experimental studies. A bibliometric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co-word analysis of 8,892 papers retrieved from SCOPUS. 4 research fields were obtained by cluster mapping from VOSviewer software, among which we note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Capsicum annum L.. Phenol as a useful ingredient of Cheongyang pepper was analyzed using HPLC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tioxidant and whitening effects were evaluated by measuring DPPH (2,2-diphenyl-1-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hydrogen peroxide scavenging activity,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Cheongyang pepper extract showed contents of 0.106 ± 0.01 and 0.105 ± 0.02 mg/g, respectively, in the order of gallic acid and protocatechuic acid. The extract exhibited 56.95% DPPH scavenging activity and 43.97% hydrogen peroxide scavenging activity at a concentration of 1,000 ㎍/ml. In addition, 1,000 ㎍/ml of the extract inhibited tyrosinase activity by 52.44% and 42.61%, respectively in a whitening efficacy test using L-tyrosine and L-DOPA (L-3,4- dihydroxyphenylalanine) as substrat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heongyang pepper extract and its active ingredients have antioxidant and whitening effects, and the possibility of future development as a whitening functional cosmetic material.

  • PDF

유청을 이용한 Bacillus subtilis와 Lactobacillus plantarum의 혼합발효를 통한 γ-aminobutyric acid와 생리활성물질 강화 (Fortification of γ-aminobutyric acid and bioactive compounds in whey by co-fermentation using Bacillus subtilis and Lactobacillus plantarum)

  • 김근영;임종순;이삼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572-580
    • /
    • 2018
  • 본 연구는 모짜렐라 치즈 제조과정에서 분리된 유청을 B. subtilis HA와 L. plantarum EJ2014의 혼합 발효를 통해 ${\gamma}$-PGA, GABA 등의 기능성 물질이 강화된 발효물을 생산하고자 하였다. 유청 B. subtilis 발효 1일차의 시료 분석결과, pH는 6.51, 산도는 0.32%, 생균수는 8.39 log CFU/mL을 나타냈으며, 점질물과 점조도는 각각 6.06%와 $4.09Pas^n$로 발효 전보다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2차 L. plantarum 발효를 통해 유청 혼합발효물의 최종 pH는 4.57까지 감소하였고 산도는 L. plantarum 발효 1일째 1.39%로 증가하여 최종 산도는 1.73%를 나타내었다. B. subtilis 생균수는 2차 L. plantarum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5.83 log CFU/mL까지 감소하였으나 L. plantarum 생균수는 5.73 log CFU/mL에서 L. plantarum 발효 1일째 9.08 log CFU/mL로 급격히 증가한 후 L. plantarum 발효 7일까지 유지하였다. TLC 정성분석한 결과 L. plantarum 발효 5일 이후 MSG가 모두 소진되어 GABA로 전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HPLC 정량분석으로 MSG는 L. plantarum 발효 초기 3.40%에서 L. plantarum 발효 7일째 거의 소진 되면서 혼합발효물의 GABA 함량은 2.21%를 보였다. 환원당과 젖당 함량은 각각 발효 전 11.07과 6.73%에서 L. plantarum 발효 7일째 각각 4.97과 3.68%로 크게 감소하는 것을 보였다. 타이로신 함량은 발효가 진행되는 동안 증가되어 L. plantarum 발효 7일째 38.24 mg%를 나타내었다. 단백질 가수분해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SDS-PAGE를 통해 발효 후 유청 단백질들이 대부분 가수분해되어 저분자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유청의 발효 전후에 따른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ABTS $RC_{50}$값은 26.81 mg/g에서 발효 후 8.78 mg/g, DPPH $RC_{50}$값 또한 발효 전 17.58 mg/g에서 발효 후 10.38 mg/g으로 감소하면서 혼합발효를 통해 전자 공여능이 향상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yrosine Hydroxylase 유전자가 주입된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체외 신경세포 분화 (In vitro Neural Cell Differentiation of Genetically Modified Human Embryonic Stem Cells Expressing Tyrosine Hydroxylase)

  • 신현아;김은영;이금실;조황윤;김용식;이원돈;박세필;임진호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1권1호
    • /
    • pp.67-74
    • /
    • 2004
  • Objective: This study was to examine in vitro neural cell differentiation pattern of the genetically modified human embryonic stem cells expressing tyrosine hydroxylase (TH). Materials and Methods: Human embryonic stem (hES, MB03) cell was transfected with cDNAs cording for TH. Successful transfection was confirmed by western immunoblotting. Newly transfected cell line (TH#2/MB03) was induced to differentiate by two neurogenic factors retinoic acid (RA) and b-FGF. Exp. I) Upon differentiation using RA, embryoid bodies (EB, for 4 days) derived from TH#2/MB03 cells were exposed to RA ($10^{-6}M$)/AA ($5{\times}10^{-2}mM$) for 4 days, and were allowed to differentiate in N2 medium for 7, 14 or 21 days. Exp. II) When b-FGF was used, neuronal precursor cells were expanded at the presence of b-FGF (10 ng/ml) for 6 days followed by a final differentiation in N2 medium for 7, 14 or 21 days. Neuron differentiation was examined by indirect immunocytochemistry using neuron markers (NF160 & NF200). Results: After 7 days in N2 medium, approximately 80% and 20% of the RA or b-FGF induced Th#2/MB03 cells were immunoreactive to anti-NF160 and anti-NF200 antibodies, respectively. As differentiation continued, NF200 in RA treated cells significantly increased to 73.0% on 14 days compared to that in b-FGF treated cells (53.0%, p<0.05), while the proportion of cells expressing NF160 was similarly decreased between two groups. However, throughout the differentiation, expression of TH was maintained ($\sim$90%). HPLC analyses indicated the increased levels of L-DOPA in RA treated genetically modified hES cells with longer differentiation time.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 genetically modified hES cells (TH#2/MB03) could be efficiently differentiated in vitro into mature neurons by RA induction method.

혈청이 마우스 간 세포주 BNL CL.2의 Nitric Oxide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rum on Nitric Oxide Production in Embryonic Mouse Liver Cell Line BNL CL.2)

  • 김유현;김신무;배현옥;유지창;정헌택;진효상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85-93
    • /
    • 1999
  • 마우스 간 세포주인 BNL CL.2의 시험관내 배양에서 혈청과 IFN-$\gamma$가 세포주의 nitric oxide (NO)생성과 세포 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하였다. 혈청이 공급된 배양에서 IFN-$\gamma$에 의한 세포 생존율은 거의 변동이 없었으나, 혈청을 제거한 배양에서는 약 65%의 생존율이 유지되었으며, NO생성 억제제인 N$^{G}$-monomethy-L-arginine (NMA)의 첨가는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의 생존율을 감소시켰다. 혈청이 제거된 BNL CL.2 세포주는 IFN-$\gamma$ 단독 처리에서도 NO를 생성할수 있었으며, IFN-$\gamma$와 lipopolysaccharide (LPS)의 복합 처리는 세포주의 NO 생성을 상승적으로 증가시 켰다. 또한 protein tyrosine kinase (PTK) inhibitor인 herbimycin A와 genistein에 의해서 NO 생성이 억제되어 PTK의 활성이 혈청이 고갈된 BNL CL.2세포에서 NO의 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IFN-$\gamma$의 독성은 혈청을 제거시킬 때 NO 생성 억제제에 상승적으로 간세포를 손상시키며, 이때 NO가 IFN-$\gamma$에 의해 유도된 손상을 어느 정도 억제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Choriocarcinoma 세포주 BeWo 세포에서 nitric oxide에 의한 phospholipase Cγ 의 활성 (Activation of Phospholipase Cγ by Nitric Oxide in Choriocarcinoma Cell Line, BeWo Cells)

  • 차문석;곽종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849-855
    • /
    • 2003
  • NO는 태반의 영양모세포의 증식에서 중요한 신호전달인자로서 작용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choriocarcinoma 세포주인 BeWo 세포에서 NO에 의한 세포의 증식에서PLC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세포 내 NO 생성을 자연적으로 유발하는 약물인 SNP를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 BeWo 세포에서 $[^3H]$thymidine의 축적 양이 현저히 증가하였는데 이러한 결과는 NO가 BeWo 세포의 증식을 촉진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NO에 의한 BeWo 세포의 증식은 PLC의 억제제인 U73122에 의하여 현저히 감소하였다. BeWo 세포에 SNP를 10분간 처리하였을 때 ERK1/2의 인산화가 증가되는 것을 Western blot으로 확인하였다. 이들 인산화는 U73122에 의하여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았다. $PLC\gamma_1$$PLC\gamma_2$에 대한 특이 항체를 이용한 면역침전을 시행한 후 phosphotyrosine에 대한 항체인 PY로 Western blotting을 시행하였을 때 PLC${\gamma}$$_1$은 SNP에 의하여 tyrosine 잔기의 인산화가 이루어졌으나 $PLC\gamma_2$는 인산화가 되지 않았다. SNP에 의한 $PLC\gamma_1$의 인산화는 genistein이나 PD98059를 전 처리하였을 때 억제되었다. 따라서, NO에 의한$PLC\gamma_1$의 tyrosine 인산화는 ERK의 활성을 통하여 일어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들은 BeWo세포에서 NO는 세포증식을 촉진하며 ERK와 $PLC\gamma_1$의 활성화를 통하여 일어난다는 사실을 제시하고 있다.

Production of Bacterial Quorum Sensing Antagonists, Caffeoyl- and Feruloyl-HSL, by an Artificial Biosynthetic Pathway

  • Kang, Sun-Young;Kim, Bo-Min;Heo, Kyung Taek;Jang, Jae-Hyuk;Kim, Won-Gon;Hong, Young-S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12호
    • /
    • pp.2104-2111
    • /
    • 2017
  • A new series comprising phenylacetyl-homoserine lactones (HSLs), caffeoyl-HSL and feruloyl-HSL, was biologically synthesized using an artificial de novo biosynthetic pathway. We developed an Escherichia coli system containing artificial biosynthetic pathways that yield phenylacetyl-HSLs from simple carbon sources. These artificial biosynthetic pathways contained the LuxI-type synthase gene (rpaI) in addition to caffeoyl-CoA and feruloyl-CoA biosynthetic genes, respectively. Finally, the yields for caffeoyl-HSL and feruloyl-HSL were $97.1{\pm}10.3$ and $65.2{\pm}5.7mg/l$, respectively, by tyrosine-overproducing E. coli with a $\text\tiny{L}$-methionine feeding strategy. In a quorum sensing (QS) competition assay, feruloyl-HSL and p-coumaroyl-HSL antagonized the QS receptor TraR in Agrobacterium tumefaciens NT1, whereas caffeoyl-HSL did n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