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flat

검색결과 493건 처리시간 0.031초

갯벌과 황토에 의한 중금속 (Cu, Cd, Pb)의 흡착 kinetics (Adsorption Kinetics of metals (Cu, Cd, Pb) in Tidal Flat Sediments and Yellow Loesses)

  • 유선재;김종구;김종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50-256
    • /
    • 2000
  • 조성이 다른 3곳 갯벌과 적조구제를 위해 사용되는 2곳의 황토를 이용해 금속 (Cu, Cd 및 Pb)의 흡착 kinetic을 밝히고, nonlinear regression model을 이용하여 구한 흡착속도와 갯벌의 조성과의 관계를 평가해 보았다. 중금속흡착에 영향을 주는 갯벌이나 황토의 조성 중에서 강열 감량 (I.L.), 산화철${\cdot}$망간${\cdot}$알루미늄의 함량은 황토가 갯벌보다 $1.5{\~}6$배 높았다. 하지만 니질의 함량은 어은리 갯벌이 다른 시료보다 $4{\~}50$배 많았다. 중금속흡착은 초기 30분 동안에 매우 빠르게 일어났다. 이때 흡착량은 Cu, Cd과 Pb이 각각 $4.1{\~}14.7\;{\mu}g/g,\;42.8{\~}16.7\;{\mu}g/g$ 그리고 $43.3{\~}101.7 {\mu}g/g$으로 3시간 실험 후 총 누적흡착량의 $8{\~}70{\%},\;18{\~}31{\%}$ 그리고 $19{\~}52{\%}$이었다. 흡착실험시 초기 금속농도를 동일 (약$ 0.5{\times}10^(-5)M$)하게 하여 운전한 결과 흡착량은 Pb>Cu>Cd 순으로 많았다. 중금속의 흡착 kinetic은 one-site kinetic model로 표현할 수 있었다. 특히 구리의 경우 non-linear model로 계산된 흡착속도 (Ka)와 3개 갯벌의 I.L., 산화알루미늄 및 니질 함량 사이에는 $R^2=-0.88{\~}-0.99$의 역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 PDF

넙치의 백화현상 규명에 관한 연구 I. 멜라닌 색소 생성에 미치는 효소와 기질의 영향 (Studies on Albinic Flat-Fish Paralichthys olivaceus I. Effects of Enzyme Activities and Substrates on Melanin Formation)

  • 최영준;강석중;조창환;명정구;김종현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55-165
    • /
    • 1990
  • 멜라닌 색소의 생합성 과정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효소 및 관련 인자와의 상관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자연산 정상넙치와 양식산 백화넙치의 육질과 표피, 미립자 사료와 생물먹이인 Artemia 및 Rotifer에 대하여 단백질의 함량, 멜라닌 색소생성에 관여하는 효소의 활성, 아미노산 조성 및 비타민A와 C의 함량을 비교하였다. 정상넙치표피는 육질에 비하여 단백질의 함량이 높았으나, 백화넙치인 경우는 대체로 비슷한 값이었다. 사료중의 단백질 함량은 미립자 사료 중 Cl이 가장 높았다. catechal oxidase의 활성은 기질과 조효소 농도의 증가와 더불어 증가하였으며, 백화 유무에 관계없이 거의 유사한 값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L-dopa oxidase활성도 동일한 결과였다. 정상넙치의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백화개체에 비하여 높았으며, 표피의 경우는 정상넙치가 백화넙치에 비하여 7.5배 가량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필수아미노산의 조성으로 비교했을 때, 미립자 사료는 Artemia와 Rotifer보다 우수한 단백질원이었다. 그리고 정상넙치의 함황아미노산의 함유량은 백화넙치의 6.3배에 달하였다. 비타민A는 정상 및 백화넙치의 육질과 표피에서 검출되지 않았으나 비타민C는 정상인 넙치표피가 백화넙치 표피에 비해 약 7.8배였으며, 미립자 사료는 100.83mg/100g으로서 사료 중 가장 높았다. 따라서 넙치표피의 멜라닌색소의 생성에는 기질인 방향족 아미노산과 함황아미노산이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Growth Characteristics of Ultrahigh-density Microalgal Cultures

  • Richmond, Amos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8권6호
    • /
    • pp.349-353
    • /
    • 2003
  • Th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cultures of very high cell mass (e.g. 10g cell mass/L), termed“ultrahigh cell density cultures”is reviewed. A close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he length of the optical path (OP) in flat-plate reactors and the optimal cell density of the culture as well as its areal (g m$\^$-2/ day$\^$-1/) productivity. Cell-growth inhibition (GI) unfolds as culture density surpasses a certain threshold. If it is constantly relieved, a 1.0cm OP reactor could produce ca. 50% more than reactors with longer OP, e.g. 5 or 10cm. This unique effect, discovered by Hu et al. [3], is explained in term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frequency of the light-dark cycle (L-D cycle), cells undergo in their travel between the light and dark volumes in the reactor, and the turnover time of the photosynthetic center (PC). In long OP reactors (5cm and above) the L-D cycle time may be orders of magnitude longer than the PC turnover time, resulting in a light regime in which the cells are exposed along the L-D cycle, to long, wasteful dark periods. In contrast, in reactors with an OP of ca. 1.0 cm, the L-D cycle frequency approaches the PC turnover time resulting in a significant reduction of the wasteful dark exposure time, thereby inducing a surge in photosynthetic efficiency. Presently, the major difficulty in mass cultivation of ultrahigh-density culture (UHDC) concerns cell growth inhibition in the culture, the exact nature of which is awaiting detailed investigation.

평판 가동철심형 LOA의 동특성해석 (Analysis of Dynamic Characteristic of Flat Moving Core Type LOA)

  • 장석명;김형규;서진호;정상섭;박희창;문석준;정종인;박찬일;정태영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6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학회본부
    • /
    • pp.15-18
    • /
    • 1996
  • In the case of need for reciprocating motion, the study for application of Linear Oscillating Actuator(LOA) is being accomplished. LOA is the simpler and more efficient than other linear apparatus using the rotary motor because LOA produce the thrust force without any converter such as cam, clutch, rack, pinion and belt, etc. We designed the flat moving core type LOA and manufactured for trial. This paper shows the structure and dynamic characteristics of LOA.

  • PDF

Effect of Liquid Circulation Velocity and Cell Density on the Growth of Parietochloris incisa in Flat Plate Photobioreactors

  • Changhai Wang;Yingying Sun;Ronglian Xing;Liqin Sun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10권2호
    • /
    • pp.103-108
    • /
    • 2005
  • For more accurately describing the durations of the light and the dark phases of micro-algal cells over the whole light-dark cycle, and probing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quid circulation time or velocity, the aeration rate and cell density, a series of experiments was carried out in 10 cm light-path flat plate photobioreactor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liquid flow in the flat plate photobioreactor could be described by liquid dynamic equations, and a high biomass output, higher content and productivity of arachidonic acid, $70.10\;gm^{-2}d^{-1},\;9.62\%$ and 510.3 mg/L, respectively, were obtained under the optimal culture conditions.

경기만 바지락양식장의 저질조성 서식밀도 및 바지락성장의 특성에 관한 보고 (Report on the sediment types, environmental parameters, density and biometry of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in Gyeonggi Bay off the west coast of Korea)

  • 박광재;최용석;허승;강희웅;한현섭;오해종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67-273
    • /
    • 2010
  • 경기만 4개 지역 바지락 양식장의 저질조성에 따른 바지락 서식밀도 및 형태적 특성에 대하여 2007년 1월부터 12월까지 조사하였다. 저질조성에서 외리와 종현은 니사질로 분급이 양호하였으며, 백미리는 역질니토로 분급이 불량하였고, 내리는 니사질역으로 분급이 매우 불량하였다. 서식밀도는 저질조성과 상관없이 씨뿌림에 의하여 외리와 백미리에서 높았으며, 내리와 종현동에서 낮게 나타났다. 비만도는 저질조성에서 분급이 매우 불량한 내리와 분급은 양호하지만 먹이생물인 클로로 필-a가 높았던 외리에서 높게 나타났다. 조사기간 동안 수온은 $3.2-27.0^{\circ}C$ 범위로 나타났으며, 염분은 21.7-33.3 %, 용존산소는 5.6-12.7 mg/l, pH는 7.36-8.82였다. 부유물질은 3.2-1,266.0 mg/l, 클로로필-a는 $0.3-36.1{\mu}g/l$로 나타났다. 각 조사지역의 연간 바지락 비만도 및 성장은 해수중의 클로로필 농도와 유관한 것으로 사료되며, 이는 바지락의 먹이와 관련이 잇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PVdF/GO 복합 나노섬유 평막의 제조 및 활성슬러지 내 투과특성 (Preparation of PVdF/GO Composite Nanofibrous Flat Membrane and its Permeation Characteristics in Activated Sludge)

  • 원인혜;장원기;정건용;변홍식
    • 멤브레인
    • /
    • 제25권1호
    • /
    • pp.67-7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dimethylformamide (DMF)와 acetone의 혼합용액에 산화그래핀(graphene oxide, GO)을 분산시키고 기질 고분자인 PVdF (polyvinylidene fluoride)를 도입하여 전기방사법으로 나노섬유를 제조하였다. 또한 PVdF/GO 복합 나노섬유를 평막 형태로 적층시켜 기공크기 $0.4{\mu}m$인 정밀여과막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GO의 고유한 항균 특성으로 생물학적 오염을 줄일 수 있는 PVdF/GO 복합막의 막오염을 평가하기 위하여 막간 압력차(transmembrane pressure, TMP)를 측정하였다. 유효 막면적이 $0.01m^2$인 PVdF/GO 평막과 상용화된 MBR용 CPVC (chlorinated polyvinyl chloride) 평막을 MLSS 4,500 mg/L인 활성슬러지 수용액 내에서 동시에 투과 실험하였다. 공기를 주입하지 않을 경우, 투과유속이 $10L/m^2{\cdot}h$일 때 PVdF/GO 막의 TMP는 CPVC 막의 최대 79%까지 감소하였다. 또한 운전/휴직 방식으로 운전할 경우, $10L/m^2{\cdot}h$일 때 PVdF/GO 막의 TMP는 CPVC 막의 최대 69%까지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접착 필름과 평판 유리를 이용하여 봉지된 유기 발광 소자의 발광 특성 (Emission Characteristics of Encapsulate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Using Attaching Film and Flat Glass)

  • 임수용;양재웅;주성후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111-115
    • /
    • 2013
  • To study the encapsulation method for large-area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OLEDs), OLED of ITO / 2-TNATA / NPB / $Alq_3$:Rubrene / $Alq_3$ / LiF / Al structure was fabricated, which on $Alq_3$/LiF/Al as protective layer of OLED was deposited to protect the damage of OLED, and subsequently it was encapsulated using attaching film and flat glass. The current density and luminance of encapsulated OLED using attaching film and flat glass has similar characteristics compared with non-encapsulated OLED when thickness of Al as a protective layer was 1200 nm, otherwise power efficiency of encapsulated OLED was better than non-encapsulated OLED. Encapsulation process using attaching film and flat glass did not have any effects on the emission spectrum and the Commission International de L'Eclairage (CIE) coordinate. The lifetime of encapsulated OLED using attaching film and flat glass was 287 hours in 1200 nm Al thickness, which was increased according to thickness of Al protective layer, and was improved 54% compared with 186 hours in same Al thickness, lifetime of encapsulated OLED using epoxy and flat glass. As a result, it showed the improved efficiency and the long lifetime, because the encapsulation method using attaching film and flat glass could minimize the impact on OLED caused through UV hardening process in case of glass encapsulation using epoxy.

세척용 구형입자 순환에 따른 활성슬러지내 침지식 평막의 막간차압 (Transmembrane Pressures for the Submerged Flat Membrane in the Activated Sludge Solution by Circulation of the Cleaning Spherical Beads)

  • 정도인;민지수;이수민;정건용
    • 멤브레인
    • /
    • 제28권1호
    • /
    • pp.62-66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순수와 유사한 밀도의 세척형 구형 입자를 제작하고 순수 수조 내에서 산기량 및 입자 농도에 따른 입자의 유동 속도를 측정하였다. 세척형 구형 입자 1~3%를 MLSS 8,000 mg/L인 활성슬러지 용액에 주입하고 20 LMH 및 산기량 500 mL/min 조건에서 FR 및 SFCO 모드로 동시에 투과 실험하였다. 사용한 분리막은 유효 막면적이 $90cm^2$, 공칭 세공크기가 $0.4{\mu}m$인 평막이다. 입자 농도가 증가할수록 TMP가 감소하였으며 FR 모드, 입자 농도 2%일 때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