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Galactose

검색결과 336건 처리시간 0.029초

대추의 성숙중에 일어나는 연화현상에 관한 연구

  • 손미애;김광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994년도 정기총회 및 제4차 학술발표회
    • /
    • pp.23-24
    • /
    • 1994
  • 본 연구는 성숙과의 저장중에 세포벽분해효소가 세포벽을 분해해서 물성의 변화를 유발함으로 일어나는 과실의 연과가 품질과 저장성의 저하 뿐만 아니라 영양적, 경제적 손실을 초래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대추의 성숙중에 일어나는 연화현상을 연구하고자 성숙에 따른 경도, 세포벽분해효소의 활성, 세포벽 다당류 pectin질, 비섬유성 중성당 및 조직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경도는 대추의 숙성에 따라 감소하였고, polygalacturonase와 $\beta$-galactosidase의 활성은 각각 변색기와 완숙기에 나타난 이후 급격히 증가하였다. 세포벽 다당류인 pectin질과 알칼리 지용성 hemicellulose는 완숙기가지 증가햐였으나 cellulose는 완숙기에 산가용성 hemicellulose와 cellulose를 제외한 세포벽 다당류의 함량은 다소 감소하였다. 대추의 세포벽 비섬유성 중성당으로 rhamnose, arabinose, xylose, mannose, galactose, glucose가 동정되었고, 성숙동안에 pectin질에서는 arabinose, mannose, galactose와 총 비섬유성 중성당의 함량이 감소하였고, 산가용성 hemicellulose에서는 xylose와 mannose가 뚜렸하게 증가하였으나 중성당은 변화없었으며, 알칼리 가용성 hemicellulose에서는 성숙에 따른 변화가 거의 없었다. pectin질의 경우 수용성 pectin, EDTA 용해성 pectin 및 총 pectin은 성숙중에 증가하는 경향이있으나 불용성 pectin은 감소하는 경향이였으며 과숙기에는 불용성 psctin EDTA용해성 pectin 및 총 pectin의 함량은 모두 현저히 감소하였다. 대추의 성숙중 조직에서는 pectin질로 구성된 중충의 붕괴현상이 뚜렸하게 나타났다.발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으로 본 강연에서는 효소적갈변 저해제의 개발과 그들의 식품가공에의 적용 현환 및 화장품, 의약품으로의 응용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L주에 비해 S주는 수정후 용과가 더 심하다. 9) 화분관의 행동은 수정력과 완전히 일치된다. 즉 L-selfing, $L{\times}L$, S-selfing, $S{\times}S$등의 부적법 수분에서는 화분관은 화주의 미중에서 정지되지만 $L{\times}S$, $S{\times}L$,에서는 수분 약 40-50분 후이면 화분관은 자방까지 도달된다. 10) S주는 웅본으로 오인되어 있지만 인위적법수분을 하면 수정력이나 화분관의 행동은 L주에서와 동일하다. 11) S화분은 완전하지만 L화분은 약 70%가 내용공허한 Adortive pollen 이다. 12) L화분중 나머지 30%도 S화분에 비해서 염색도가 낮은것이 많고 S화분 같이 농염되는 것은 극히 소수이다. 13) 본장물은 분화가 고도로 진행된 전형적인 이형예작물이여 마치 Dimorphism 에서 Dioecious 에로 이행되는 수가 있다는 것을 표시하는 증거가 되는 것 같다. 다소 높은 산소농도 3%~5% 이산화탄소 농도 5~8%에서 저장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되었다.철쭉군목으로 대표되나 군단이 하의 군목들은 다소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간상인이론의 수정이 필요하다고 본다.가\ulcorner 본 논문에서는 표면적 형태에도 불구하고 [-wh]의미의 겹의문사는 병렬적 관계의 합성어가 아니라 내부구조를 지니지 않은 단순한 단어(minimal $X^{0}$ elements)로 가정한다. 즉, [+wh] 의미의 겹의문사는 동일한 구성요 소를 지닌 병렬적 합성어([

  • PDF

낙엽송(落葉松) 추출성분(抽出成分) 이용(利用)에 관(關)한 기초연구(基礎硏究)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Extractives in Japanese Larch (Larix leptolepis Gordon) Grown in Korea)

  • 조남석;이종윤;안원영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0권2호
    • /
    • pp.12-21
    • /
    • 1982
  • Red pine and Japanese larch (Larix leptolepis Gordon) grown in Korea have been the main species of coniferous resources in Korea. Especially, planting area of Japanese larch has been increased continueously in the recent years due to its superior plant type and rapid growth rate and its stocks reached approximately 4.32 million cubic meters at the present time. Although many research works have been done for the utilization of the larch wood in various ways, still many problems are existed in its chemical applications due to a large proportion of soluble extractives. In this study, chemical composition of larch extractives and chemical structure of its major component were analyzed. In order to identify the basic structure of major component, gas-liquid chromatography for separation of some completely methylated alditols as their acetates on a 3% - ECNSS-M on Gas Chrom Q. column was used. Proportion of extractives of Japanese larch wood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conifers and major component of the soluble extractives was arabinogalactan, a schematic structural formula which was presented in Figure 2. The molar ratio of arabinose and galactose was 1:4.5. The main chain of arabinogalactan was composed of 1,3 linked ${\beta}$-D-galactopyranose residues, each of which carried a side chain, attached to the C-6 positions. The exact nature of all of the side chains is not known, but the majority of these side chain was composed of 1, 6 linked ${\beta}$-D-galactopyranose residues, with 2~3 such units present per average chain. Some of the galactose units in the main chain had a residue of 3 - 0 - ${\beta}$-L-arabinopyranosyl-L-arabinofuranose. In addition, a few terminal residues of D-glucuronic acid also was confirmed, attached to C-6 position of the D-galactopyranose residue. It could concluded that the main structure of highly branched arabinogalactan from Japanese larch extractive was essentially the same as those of the other larch species.

  • PDF

Xylanase를 생산하는 Streptomyces sp. YB914의 특성과 효소 생산성 (Characterization and Xylanase Productivity of Streptomyces sp. YB914)

  • 윤기홍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83-388
    • /
    • 2009
  • 토양으로부터 세포외로 xylanase를 분비 생산하는 방선균 YB-914가 분리되었으며, 형태, 배양, 생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Streptomyces 속 균주로 확인되었다. 분리균의 배양상등액에 존재하는 xylanase는 pH 5.5과 $55^{\circ}C$의 반응조건에서 반응성이 가장 높았으며, pH 4.5~7.0 범위에서 최대활성의 80% 이상을 나타냈다. Xylanase의 생산을 위한 배지를 최적화하기 위해서 G.S.S 배지성분을 여러 종류의 탄수화물로 대체하였다. Oat spelt xylan, corn cob xylan, 밀기울 및 유당과 같은 탄수화물은 Streptomyces sp. YB914의 xylanase 생산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galactose와 arabinose는 효소 생산을 크게 억제하였다. Oat spelt xylan(1%)와 유당(1.5%)을 함유한 변형배지에서 xylanase의 최대생산성이 48 U/mL로 확인되었다.

Gas Liquid Chromatography에 의한 고추 부위별(部位別) 당(糖) 및 유기산(有機酸) 조성(組成)에 관한 연구(硏究) (Gas Liquid Chromatographic Studies on Sugars and Organic Acids in Different Portions of Hot Pepper Fruit (Capsicum annuum L.))

  • 이성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78-282
    • /
    • 1979
  • 한국산(韓國産) 고추를 과피(果皮), 종자(種字), 태좌(胎座)의 부위(部位)로 나누어 유리당(遊離糖)과 유기산(有機酸)을 가스 크로마토래피에 의하여 측정(測定)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과피(果皮), 종자(種字), 태좌(胎座)에서 다같이 ${\alpha}-$${\beta}-frutoses$, ${\alpha}$${\beta}-flucoses$, galactose, sucrose, maltose을 동정(同定)할 수있었고, 과피(果皮)에서는 fructose, 종자(種子)와 태좌(胎座)에서는 sucrose와 frutose의 함량(含量)이 가장 높았다. 그리고 유리당(遊離糖)의 절대량(絶對量)이 과피(果皮)에는 종자(種子) 태좌(胎座) 보다 적었다. 2. 과피(果皮) 종자(種子) 태좌(胎座)에서 다같이 succinic acid, fumaric acid, malic acid, tartaric acid, citric acid, quinic acid를 동정(同定)할수 있었다. 과피(果皮)와 태좌(胎座)d에서는 citric acid의 함량(含量)이 가장 높았고, 종자(種子)에서는 동정(同定)된 각 산(酸)의 함량(含量)이 비슷하였다. 그리고 유기산(有機酸)의 절대량(絶對量)이 종자(種子)에는 과피(果皮)와 태좌(胎座) 보다 훨씬 적었다.

  • PDF

Isolation of Lactococcus lactis Strain with ${\beta}$-Galactosidase Activity from Kimchi and Cloning of lacZ Gene from the Isolated Strain

  • Park, Rae-Jun;Lee, Kwang-Hee;Kim, Su-Jung;Park, Jae-Yong;Nam, Su-Jin;Yun, Han-Dae;Lee, Hyong-Joo;Chang, Hae-Choon;Chung, Dae-Kyun;Lee, Jong-Hoon;Park, Yun-Hee;Kim, Jeong-Hw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2권1호
    • /
    • pp.157-161
    • /
    • 2002
  • A lactic acid bacteria with ${\beta}$-gal activity was isolated from Kimchi, a traditional fermented vegetable food in Korea. The isolate was identified as a Lactococcus lactis strain and named L. lactis A2. The gene encoding ${\beta}$-gal of L. lactis A2 was cloned as a 5.8 kb PstI fragment. DNA sequencing identified the complete lacA (galactoside acetyltransferase)-lacZ (${\beta}$-galactosidase) genes together with the 3' part of upstream galT (galactose-1-phosphate uridyltransferase), and the 5'region of downstream galE (UDP-galactose-4-epimerase) genes. L. lactis A2 had the same gal/lac operon structure as in L. lactis subsp. lactis 7962. Other genes of the Leloir pathway are most likely to be located in the 5'upstream of the 5.8 kb fragment on the A2 chromosome. Sequences downstream of galE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L. lactis subsp. lactis 7962.

Bacillus sp. PS-12가 생산하는 extracellular polysaccharide의 분리 및 immunomodulating activity (Isolation and Immunomodulating Activity of an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Produced by Bacillus sp. PS-12)

  • 나예슬;서현효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744-750
    • /
    • 2009
  • 토양에서 분리한 세포외 다당류 생산균주 PS-12는 형태학적, 생리학적, 화학적 분석에 의하여 Bacillus sp.에 속하는 균주로 동정되었으며, 분리균주 PS-12는 Bacillus sp. PS-12로 명명하였다. Bacillus sp. PS-127가 생산하는 세포외 다당류는 에탄올 침전, cetylpyridinium chloride (CPC) 침전과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정제하였으며, 정제된 다당류 PS-12의 당조성은 glucose, mannose, galactose와 fucose가 7:3.2:2:1의 몰비로 구성되어있었다. Bacillus sp. PS-12로부터 분리된 다당류 PS-12를 이용하여 면역증강효과를 확인하였다. TNF-${\alpha}$ 및 lL-6 측정은 RAW264.7 대식세포주를 사용하였으며 cytokine 정량을 위하여 ELISA kit를 이용하였다. RAW264.7 세포주에 대한 PS-12의 세포독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세포독성이 10% 미만을 나타내는 농도인 2 ${\mu}g$/ml을 PS-12의 최대농도로 측정하였다. PS-12는 ${\mu}g$/ml에서 TNF-${\alpha}$를 정상세포보다 50배 이상 높은 수치로 생산하였다. 또한 lL-6의 생산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PS-127가 면역세포에 대해 세포독성을 거의 나타내지 않는 농도에서 대식세포로부터 TNF-${\alpha}$와 11-6의 cytokine 생산을 함으로써 면역증강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경옥고(瓊玉膏)가 노화유발 흰쥐의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Kyungohkgo(瓊玉膏) on Antioxidant Capacity in D-galactose Induced Aging Rats)

  • 곽병준;이송실;백진웅;이상재;김광호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85-96
    • /
    • 2003
  • Objectives : In order to examine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Kyungohkgo(瓊玉膏), the study was done through measurement of parameters such as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TBARS), Superoxide dismutase(SOD), Catalase(CAT), Glutathione peroxidase(GSH-px), Plasma total lipid, Plasma total triglyceride, Plasma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concentrations in rat erythrocytes and plasma. Methods : Sprague-Dawley rats divided into 3 groups, Normal group(l2 weeks old), pathologically induced group(injected D-galatose 50mg/kg, 1time/day for 6 weeks, CONTROL) and Kyungohkgo(瓊玉膏) administered group(D-galactose 50mg/kg and Kyungohkgo extracts 1125.0mg/kg 1time/day for 6 weeks, KOG). Rats were sacrificed and TBARS, SOD, CAT, Plasma total lipid, Plasma triglyceride, Plasma total cholesterol, Plasma HDL-cholesterol concentrations and GSH-px were measured in rat erythrocytes and plasma. Results : Plasma TBARS concentrations of KOG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control. Red blood cell(RBC) SOD activities of KOG group was increased(F=3.619, p=0.052, ANOVA test), and RBC catalase activities of all experimental group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RBC GSH-px activities of KOG group was increased(F=6.844, p=0.008, ANOVA test). The changes of Plasma triglycerid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lasma total lipid of KOG group showed significant decreas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F=19.337, p=0.0001, ANOVA test). Plasma total cholesterol and HDL-cholesterol concentrations of all experimental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Conclusions :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it is considered that Kyungohkgo(瓊玉膏) is effective in inhibiting lipid peroxidation and increasing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in D-galactose induced aging rat.

  • PDF

Bacillus licheniformis로부터 생산된 ${\alpha}-Galactosidase$의 가수분해 활성 (Hydrolysis Activity of ${\alpha}-Galactosidase$ from Bacillus licheniformis)

  • 김현숙;이경섭;소재호;윤기홍
    • 미생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28-333
    • /
    • 2004
  • [ ${\alpha}$ ]-갈락토올리고 당인 melibiose, raffinose와 stachyose의 ${\alpha}-1,6$으로 결합된 D-galactosyl 잔기를 완전히 가수분해하는 것으로 확인된 Bacillus licheniformis YB-42의 ${\alpha}-galactosidase$는 사멸기에 도달하였을 때 배양상등액에서 최대활성을 보였다. ${\alpha}$-갈락토올리고 당의 가수분해 정도를 TLC와 환원당 생성량으로 분석한 결과, ${\alpha}-galactosidase$는 melibiose, raffinose, stachyose 순서로 가수분해 활성이 높았다. 반응산물인 당을 첨가하여 반응하였을 때 첨가 된 반응산물에 따라 가수분해 활성의 저해정도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galactose에 의한 저해도가 가장 높았다. 첨가된 당의 농도 (20 mM)가 기질과 동일할 때는 가수분해 활성의 저해도가 미미하였으며 5배 농도로 첨가하였을 때도 가수분해 활성의 저해정도가 높지 않았다. 한편 소량의 효소로melibiose를 가수분해 하였을 때 반응초기에 TLC 상에서 기질보다 이동도가 낮은 물질이 생성되었으며, 이로보아 B. licheniformis YB-42의 ${\alpha}-galactosidase$는 당 전이활성을 갖는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대두분 추출액을 ${\alpha}-galactosidase$로 처리한 후 최종 반응산물을 분석한 결과, 대두분에 존재하는 raffinose와 stachyose가 완전히 가수분해 되었다.

산 및 알칼리 처리에 의한 유채박의 유리당 추출 (Extraction of Liberated Reducing Sugars from Rapeseed Cake via Acid and Alkali Treatments)

  • 정한섭;김호용;안세희;오세창;양인;최인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1호
    • /
    • pp.1575-158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유채박 섬유질을 고부가가치로 활용하기에 앞서 적합한 화학적 전처리 조건을 찾고자, 산 및 알칼리 촉매로 다양한 조건 하에 처리한 후, 각 인자들에 따른 유채박의 분해율 및 유리당 함량을 측정하였다. 유채박은 $H_2SO_4$, HCl, NaOH 촉매 중 HCl 촉매 하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분해되었으며, 특히 1%의 촉매 농도에서 높은 분해율을 보였다. 반면 $H_2SO_4$, HCl 촉매 하에서 유채박 투입량이 낮을수록 분해율이 증가하였으나, NaOH 촉매 하에서는 유채박 투입량에 따른 분해율 차이가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분해 후 측정된 총 유리당 함량은 HCl를 처리한 경우가 가장 높았으며, 유채박 투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총 유리당 함량이 감소하였으나 이에 따른 영향은 미미했다. 또한 2% 촉매에서 총 유리당 함량이 높았으나 HCl 촉매의 경우 1%일 때가 다른 처리 조건들보다 총 유리당 함량이 높았다. 각각의 유리당으로는 $H_2SO_4$, HCl 촉매 하에서 glucose, galactose, arabinose, fructose가 주로 분리되었으며 NaOH 촉매 하에서는 대부분 sucrose가 분리되었다. 촉매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glucose, galactose 함량은 증가하였고, fructose 함량은 감소하였으며, 거의 모든 유리당에서 유채박 투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그 함량이 감소하였다. 상기 결과를 종합해 보면 총 유리당은 유채박을 1% HCl를 사용하여 2 g/100 mL의 비율로 화학적 처리하는 것이 본 연구 범위 내에서 총 당을 분리해내는데 가장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glucose, galactose는 2% HCl-0.5 g/100 mL, fructose는 0.5% $H_2SO_4$-0.5 g/100 mL 조건에서 효율적인 분리가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목표하는 당에 따라 적합한 촉매, 촉매 농도, 시료 투입량을 조절하여 분리해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현재 분리되어 나온 당을 바탕으로 기능성 당 및 수용성 식이섬유를 얻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실질적으로 대량의 당들을 순도 높게 얻기 위해서는 처리 규모(시료양, 촉매)를 늘리거나 각각의 당들을 효과적으로 정제하는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Bacillus sp. FF-7에 의한 항산화물질 생산조건과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Activity and Produced Condition of Antioxidative Substance by Bacillus sp. FF-7)

  • 차재영;김효정;전방실;박진철;옥민;조영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3호
    • /
    • pp.165-170
    • /
    • 2003
  • 발효식품 시료로부터 분리된 세균을 $DPPH({\alpha},{\alpha}'-diphenyl-{\beta}-picrylhydrazyl)$ 전자공여능으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여 가장 활성이 강한 균주를 선별하여 형태학적, 생화학적, 생리학적 특성 및 165 rRNA 염기서열을 조사한결과 Bacillus sp.으로 판명되어 FF-7로 명명하였다. DPPH 전자공여능법에 의한 Bacillus sp. FF-7이 생산하는 항산화물질의 최적 생산 배지조건은 탄소원 2% galactose와 질소원 1% tryptone 첨가였다. Bacillus sp. FF-7에 의해 생성된 항산화 물질의 활성을 DPPH 전자공여능, 흰쥐 각 조직 microsomal 실험계 및 linoleic acid 과 산화지질 실험계에서 malondialdehyde를 thiobarbituric acid(TBA)방법으로 측정하였다. 흰쥐 각 조직 microsomal 실험계에서 지질과산화에 대한 항산화 효과는 뇌(97.50%) >심장(79.95%) >신장(77.84%) >비장(77.47%) >고환(69.96%) >간장(62.45%) 순이였다. Linoleic acid의 과산화지질를 TBA법으로 측정한 결과 반응 4일째까지 억제 효과가 강하게 나타났으며, 동시에 대조구로 사용한 0.05% BHT 첨가구에서도 실험종료시까지 항산화 활성이 강하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