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scorbic Acid(AA)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36초

냉동생지의 해동.발효조건이 냉동 빵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awing-Fermentation Condition of Frozen Dough on frozen Bread Quality)

  • 김교창;장성규;도대홍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87-294
    • /
    • 1997
  • When bread making, the condition of thawing-fermentation for frozen dough were tested in variable temperature, and measured thawing-fermentation time and volume of frozen dough. L-Ascorbic acid (L-Aa) was added in frozen dough for the comparison test of develop volume in bread staling degree of baking bread were measured additive frozen dough which was stoppages in freezing, staling degrees were tested hardness with Rheometer. The test for comparison of thawing-fermentation time in variable temperature was shown the condition of dough conditioner at 3$0^{\circ}C$ was most effective for bread making, Because That condition was required very short time(74 min) But, in this comparison of volume in final products was shown the products in the condition of thawing-fermentation at 3$0^{\circ}C$ was smaller than the products at 5$^{\circ}C$(418 ml). The baking volume of L-Aa additive frozen dough which has under gone thawing-fermentation at 3$0^{\circ}C$, were shown baking volume of 420 ml in 2 weeks storage terms to 100 mg/kg L-Aa additive dough and shown baking volume of 454 ml in 4 weeks storage terms to dough of 200 mg/kg additive weight. Staling degrees of L-Aa additive frozen bread were measured with Rheometer. The hardness of 100 mg/kg L-Aa additive frozen bread was sown low level hardness in 1~2 weeks freezing term, 150 mg/kg L-Aa additive frozen bread was shown low level hardness in 3 weeks freezing term. In 4 weeks freezing term, 200 mg/kg L-Aa additive frozen bread was shown low level hardness compared with non-additive L-Aa frozen bread. In comparison of frozen bread quality, non-additive L-Aa products was better than additive L-Aa products in equality of baking shape and external apparence. But in total quality in external and internal apparence, additive L-Aa products was better than non-additive L-Aa products.

  • PDF

Attenuation of p-dimethylaminoazobenzene initiated genotoxicity and cytotoxicity in mice by the combined treatment of a traditional homeopathic remedy Chelidonium Majus 200C and vitamin-C

  • Biswas, Surjyo Jyoti;Karmakar, Susanta Roy;Khuda-Bukhsh, Anisur Rahman
    • 셀메드
    • /
    • 제2권4호
    • /
    • pp.35.1-35.11
    • /
    • 2012
  • The homeopathic remedy Chelidonium majus 200C (Chel-200) is traditionally used by homeopathic practitioners in liver ailments arising out of hepatotoxicity. The present investigation was aimed at examining whether vitamin C (L-ascorbic acid or AA), used in both traditional and orthodox medicines, can show better effects when used in combination with Chel-200, in favorably modifying the toxicological effects induced by the chronic feeding of p-dimethylaminoazobenzene (p-DAB, initiator) and phenobarbital (PB, promoter) in mice for 7 days through 120 days to induce hepatotoxicity and liver tumors. Mice were euthanized at 7, 15, 30, 60, 90, and 120 days of carcinogen feeding to assess various cytogenetical, biochemical and histological changes occurring in them. In a placebo controlled study, Chel-200 or the respective placebo (Alcohol-200C or Alc, "vehicle" of homeopathic drug), was orally administered to toxicant-fed mice. Sub-groups of the mice receiving Chel-200 were also fed either AA or an Alc placebo and their individual and conjoint effects were studied against the respective controls, to evaluate if the combination therapy of Chel-200 with AA can be of additional help in the amelioration of the toxicities generated by the toxicants. The combined feeding of Chel-200 and AA appeared to reduce the cytotoxic and genotoxic effects significantly, when compared to either only the Chel-200 or AA fed group. A similar trend was also obtained in the results of scanning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ic studies of the livers. Experiments in other mammalian models are warranted to confirm if these drugs in combination could be used in palliative care of human patients with liver diseases including cancer.

Possible use of the new stable form of Kimchi vitamin C (L-ascorbyl-2-glucose) in Korean rockfish diets

  • X. J. Wang;S. C. Bai;H. K. Jun;Kim, K. W.;I. H. Ok;K. M. Bae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297-298
    • /
    • 2001
  • Numerous studies have shown that ascorbic acid is an indispensable micronutrient required to maintain the physiological processes of different animals including most of fishes. L-ascorbyl-2-glucose (AA2G) is an $\alpha$-glucose conjugate of AA on the C-2 position and a newly found AA derivative front Kimchi,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vegetable food, AA2G s stable to ascorbate oxidase and heating, it can be effectively hydrolyzed in vitro by the rice seed $\alpha$-glucosidase. (omitted)

  • PDF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의 사료내 비타민 C 요구량 설정을 위한 기초연구 (Development of an Experimental Model for Vitamin C Requirement Study in Korea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배성철;이경준;장혜경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69-178
    • /
    • 1996
  • 본 실험은 조피볼락의 비타민 C 요구량 설정을 위한 실험모델과 실험사료를 개발하고 각 조직 내의 비타민 C 축적량에 따른 영양특성 그리고 그에 따른 요구량을 제시하고자 실시되었다. 실험어는 실험시작 평균체중이 12.6 g인 조피볼락 치어를 사용하였으며, 6개 실험구로 나누어 3반복으로 비타민 C 첨가 농도를 달리한 6개의 반정제 실험사료를 공급하였다. 4주간의 예비사육 (대조구사료 공급)후 8주간의 사육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6가지 실험사료의 비타민 C 농도는 다음과 같다 ; 0 (대조구), 25, 50, 75, 150 and 1500 mg L-ascorbic acid/kg diet ($C_0,\;C_{25},\;C_{50},\;C_{75},\;C_{150},\;and\;C_{1500}$). 증중율과 사료전환효율은 대조구사료를 공급한 실험구가 $C_{150}$$C_{1500}$ 사료를 공급한 실험구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Hematocrit은 대조구사료를 공급한 실험구가 다른 실험구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근육 조직내의 비타민 C 농도는 대조구가 가장 낮아서 $C_{150}$$C_{1500}$ 실험구와 유의차를 보였고, 고농도 첨가구인 $C_{1500}$ 실험구가 다른 모든 실험구들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그러나 간, 아가미, 뇌조직의 비타민 C 농도는 $C_{1500}$ 실험구만 다른 실험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을뿐(P<0.05), 다른 실험구들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따라서 조직내의 농도로는 근육에서 4.8 mg AA/kg 이하이면 성장, 사료효율, hematocrit에서의 결핍증상을 발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사료내 비타민 C 요구량은 40 mg AA/kg diet 이상이고, 150 mg AA/kg diet이면 충분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Argon gas 병용처리가 신선편이 감자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mbined argon gas treatment on the quality of fresh-cut potatoes)

  • 손현주;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63-16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argon 가스포장과 기존의 갈변저해물질 중 그 효과가 입증된 ascorbic acid와 저온 blanching 처리 등의 병용처리를 통해 신선편이 감자의 저장 중 품질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감자는 박피 후 cube 형태($1.5{\times}1.5{\times}1.5$ cm)로 절단하여 증류수에 1분간 세척 후 물기를 제거하여 argon 가스포장(AR), 1% ascorbic acid에 1분간 침지(AA), 1% ascorbic acid에 1분간 침지 후 argon 가스포장(AAR), $35^{\circ}C$에서 30분간 blanching처리(BA), $35^{\circ}C$ 에서 30분간 blanching처리 후 argon 가스포장(BAR), 아무 처리도 하지 않은 것을 대조구(Cont)로 하여 OPP film에 열접합 포장 후 $5^{\circ}C$에 저장하였다. Cont, AA, BA구의 $O_2$ 농도는 저장기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argon 가스 포장처리구인 AR, AAR, BAR구에서 $O_2$ 농도는 저장기간이 지남에 따라 조금씩 증가하였다. $CO_2$ 농도는 저장기간이 지남에 따라 모두 증가하였다. 색도 분석 결과 argon 가스포장한 AR, AAR, BAR구에서 Cont, AA, BL구에 비해 높은 $L^*$값과 낮은 갈변도 값을 나타내었으며, 총균수를 분석한 결과 Cont구에서 눈에 띄게 높은 총균수를 나타내었고, argon 가스포장처리구인 AR, AAR, BAR구에서 AA, BL구보다 비교적 낮은 총균수를 나타내어 argon 가스포장이 항갈변 뿐만 아니라 호기성미생물의 생육 저해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Polyphenol oxidase(PPO) 활성은 Cont 구에서 눈에 띄게 높은 PPO 활성을 나타내었고 AR처리구에서 가장 낮은 PPO 활성을 나타내었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분석해 본 결과 AA, AAR구에서 눈에 띄게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나머지 구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argon 가스포장과 병용처리는 신선편이 감자의 갈변 저해, PPO 활성 저해, 항균 효과 등 품질저하를 방지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애엽 추출물 섭취가 ICR 마우스의 피부조직에 미치는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s of Mugwort (Artemisia vulgaris L.) Extracts Diet on ICR Mouse Skin)

  • 박시향;조득문;최경림;최영준;최진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2호
    • /
    • pp.1523-1528
    • /
    • 2007
  • 애엽 추출물에 대한 ICR 마우스의 피부 조직에 대한 항산화작용 및 산화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애엽 추출물(mugwort extract: ME)을 섭취한 식이군의 경우, 추출물의 농도에 따라 피부조직의 단백질 함량이 대조군에 비해 $3.1%{\sim}11.1%$ 증가하였다. 활성산소 중 히드록시 라디칼 함량은 애엽 추출물 식이군에서 $10.4%{\sim}17.4%$의 유의적인 감소 효과가 인정되었으며, 그리고 산화적 스트레스로써 산화단백질의 함량도 애엽 추출물 식이군(ME-100, ME- 200)이 대조군에 비해 각각 15.2%와 17.1%의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p<0.05). 과산화지질함량은 애엽 추출물의 농도 증가에 따라 감소되는 경향을 보여주었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수퍼옥시드 디스무타아제 활성은 ME-100 군과 ME-200 군에서 각각 15.0%와 23.3%의 유의적인 증가가 있었고, 또한 애엽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카탈라아제 활성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애엽 추출물의 섭취가 피부의 활성산소를 제거하고 산화적 스트레스를 억제하며, 항산화효소의 활성을 증가시켜 피부의 노화현상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강력한 항산화제인 아스코르브산과 비교하여도 손색이 없는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피부 건강기능 식품과 음료 소재로서 애엽의 이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참외과피추출물을 적용한 양송이의 저장 중 품질 변화 (Use of oriental melon peel extracts to maintain the quality of Agaricus bisporus during its storage)

  • 박혜진;김건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73-482
    • /
    • 2014
  • 참외과피추출물의 천연갈변저해제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참외과피추출물 및 ascorbic acid를 적용한 양송이의 저장 중 품질변화를 확인하였다. 양송이를 각 처리구별 PP film으로 포장하여 4 및 $15^{\circ}C$에서 저장하면서 포장 내 기체조성, 경도, 표면 색 및 관능평가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기체조성 또는 경도의 변화에 있어서는 처리구별 큰 차이 없이 저장온도 또는 포장재에 따른 영향을 받았으나, 갈변저해효과에 있어서는 참외과피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ascorbic acid 보다 표면 색 유지에 효과적이었다. 또한 관능평가에서도 참외과피추출물을 적용한 처리구(OMP, OMP+AA)에서 저장기간 동안 높은 점수를 유지하였다. 참외과피에 함유되어있는 총 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을 조사한 결과, 참외과피추출물의 총 페놀함량은 플라보노이드 함량보다 4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참외과피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갈변 활성은 DPPH 라디칼 소거활성과 PPO 저해활성이 낮은 농도에서도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나 ABTS 라디칼 소거활성과 구리킬레이트 활성에서는 비교적 높은 농도에서 활성을 보였다. 이에 따라 참외과피추출물을 천연갈변저해제로서 양송이에 적용하였을 때 효과적으로 양송이의 갈변을 저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갈랑가 뿌리 추출물의 항산화, 항노화 효과 및 W/O형 에멀젼에서 항산화 효과의 보존성 (Antioxidant and anti-aging effects of Alpinia galanga L. rhizome extracts and preservation of antioxidant effects in W/O type emulsion)

  • 윤선영;김봉환;장영아;김세기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6권
    • /
    • pp.424-435
    • /
    • 2023
  • 본 연구 결과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갈랑가 뿌리 70% 에탄올 추출물(AG.E) 100 ㎍/mL 농도에서 81.8%이었으며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AG.E 50 ㎍/mL의 낮은 농도에서 L-Ascorbic acid (AA)와 유사한 99.8%로 확인되었다. 항노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collagenase와 elast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둘 모두에서 AG.E는 50 ㎍/mL의 낮은 농도부터 epigallocatechin (EGCG)보다 더 높은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500 ㎍/mL 농도에서 EGCG 대비 3배 이상의 저해 효과를 보였다. CCD-986sk 세포내에서 AG.E의 항노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UVB로 자극한 다양한 실험에서도 우수한 항노화 효과가 얻어졌다. RT-PCR을 통한 유전자 발현 분석 실험에서 COL1A mRNA 발현량은 AG.E 20 ㎍/mL 저농도에서 무첨가 대비 2.90배 증가시키는 결과가 얻어져 항노화관련 우수한 기능성 소재로 개발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제형에 소재의 적용 시 생리활성의 경시적 보전성에 대한 기초 연구로서 AG.E 및 AA등을 안정한 W/O type emulsion에 첨가하여 25 ℃ 항온조에 보관하면서 1일차, 30일차, 60일차에 DPPH와 ABTS+ 라디칼소거 활성을 측정한 결과 모두 경시적으로 항산화 효과가 높은수준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덖음 시간에 따른 감국(Chrysanthemum indicum L.) 차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hrysanthemum indicum L. Flower Tea According to Different Pan-firing Times)

  • 유정식;황인국;우관식;장영득;이철희;정정학;정헌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97-302
    • /
    • 2008
  • 덖음 처리가 감국차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감국 꽃을 $230^{\circ}C$에서 5, 7.5, 10, 12.5 및 15분간 덖음 처리 후 감국 꽃 침출액을 제조하여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덖음 시간이 길어질수록 L 및 a 값은 감소하고 b 값은 증가하여 차의 색은 점차 황색을 나타내었으며, 총 질소함량은 3.15-3.33%의 범위를 보였고 구성 아미노산은 감칠맛의 주성분인 glutamic acid를 비롯하여 18종이 분석되었으며, 이들 중 glutamic acid와 aspartic acid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Chlorophyll 함량은 덖음 시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Tannin,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덖음 시간에 따라 대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15분 덖음 시 각각 0.63 mg gallic acid equiv./g, 13.85 mg tannic acid equiv./g 및 9.77 mg catechin equiv./g이었다.전자공여능은 15분 덖음 시 9.93%, 총 항산화력은 10분 덖음 시 19.33 mg ascorbic acid equiv./100 g으로 대조구보다 높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덖음 감국 꽃차의 관능검사 결과 색은 12.5분, 맛과 향 및 종합적 기호도는 10분 덖음 처리된 차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