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scorbic Acid(AA)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33초

Protective Effect of Artificially Enhanced Level of L-Ascorbic Acid against Water Deficit-Induced Oxidative Stress in Rice Seedlings

  • Boo, Yong Chool;Cho, Moonjae;Jung, Ji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2호
    • /
    • pp.66-70
    • /
    • 1999
  • Effects of the enhanced level of L-ascorbic acid (AA) on the water deficit-induced oxidative damage were studied in rice (Oryza sativa L.) seedlings. The seedlings sprayed with 20 to 80 mM L-galactono-${\gamma}$-lactone (GL), a putative precursor of AA, showed 2 to 5-fold higher levels of AA compared with controls. Pretreatment of the seedlings with GL prior to water stress imposition caused virtually no effect on dehydration of tissues during water deficit but substantially mitigated oxidative injury, as accessed by 2-thiobarbituric acid-reactive substances, ${\alpha}$-tocopherol, chlorophylls and ${\beta}$-carotene. Proline accumulation during water stress was also significantly lowered in the treated seedlings. In a complementary experiment, AA retarded photodegradation of ${\alpha}$-tocopherol in isolated thylakoids far more efficiently than glutathione. GL in itself did not show any noticeable reactivity toward ${\alpha}$-tocopheroxyl radical. The results demonstrate the antioxidative function of AA in rice seedlings encountering water-limited environments, suggesting a critical role of AA as a defense against oxidative stress in plants.

  • PDF

효소 생전환 시스템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개발 (Development of Cosmeceutical Cosmetics Using Enzyme Bio-Conversion System)

  • 이강태;권지연;배동준;유창선;이명희;오세량;장동일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11-114
    • /
    • 2005
  • 본 논문은 효소 생전환 시스템을 적용, 안정한 2-O-$\alpha$-D-glucopyranosyl-L-ascorbic acid (AA2G)를 ascorbic acid (AA)와 glucose로 분해하여 이 물질의 피부에서의 효과를 분석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AA는 높은 환원력을 가지고 있으며, 화장품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지만 수용액 상에서 불안정하기 때문에 사용에 제약이 많이 있다. AA2G는 AA를 안정화시킨 미백 기능성 원료이지만 AA와 비교해서 효과가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자들은 AA2G의 안정성과 AA의 효과를 동시에 갖는 효소 생전환 시스템을 이용한 기능성 제품을 개발하였다. AA2G는 당 분해 효소인 amigase에 의해 30min 경과 후에 약 $80\%$가 AA로 전환되며 이 시스템의 미백 효과를 측정한 결과 같은 농도의 AA와 비교해 유사한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AA2G는 타이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가 없음). 또한 AA2G와 amigase를 함유한 제형은 인공 색소 침착 후의 미백 효과 시험에서 AA2G 만을 함유한 제형과 비교하여 높은 미백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효소 생전환 시스템은 불안정한 AA를 보다 효과적으로 피부에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라 할 수 있다.

Paenibacillus sp. JB-13의 Cyclodextrin glucanotransferase에 의한 2-O-\alpha-D- Glucopyranosl L-Ascorbic acid 생산 (Production of 2-O-\alpha-D- Glucopyranosl L-Ascorbic Acid by Cyclodextrin Glucanotransferase from Paenibacillus sp. JB-13)

  • 배경미;강용;전홍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1-36
    • /
    • 2001
  • AA의 2번 위치의 수산기에 부위특이적 활성을 갖는 Paenibacillus sp. JB-13 유래 CGTase의 AA-2G 생산최적조건을 검토하였다. AA-2G 생산에 효율적인 당공여체를 조사하기 위해 다양한 포도당 중합체를 당공여체로 사용하여 AA-2G 생산성을 검토한 결과 dextrin이 가장 높은 AA-2G 생산성을 나타내었으며, 대체적으로 중합도가 높은 당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였다. 최적 당공여체인 dextrin을 사용하여 AA-2G 생산최적조건을 검토한 결과 반응 혼합액을 2,500 units/ml의 CGTase, 기질농도, 15%, 기질농도비(AA-g/dextrin-g) 3:2으로 조성하여, $37^{\circ}C$ , pH 6.5에서 44시간 반응 시킨 후, 1,500 units/ml의 glucoamylase를 $55^{\circ}C$에서 15시간 반응시켰을 때 AA-2G의 생산이 최대를 나타내었다.

  • PDF

L-ascorbic acid induces apoptosis in human laryngeal epidermoid Hep-2 cells by modulating the nuclear factor kappa-light-chain-enhancer of activated B cells/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Akt signaling pathway

  • Park, Jung-Sun;Kim, Yoon-Jung;Park, Sam Young;Chung, Kyung-Yi;Oh, Sang-Jin;Kim, Won-Jae;Jung, Ji-Yeon
    •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 /
    • 제45권4호
    • /
    • pp.169-178
    • /
    • 2020
  • L-ascorbic acid (L-AA; vitamin C) induces apoptosis in cancer cells. This study aimed to elucidate the molecular mechanisms of L-AA-induced apoptosis in human laryngeal epidermoid carcinoma Hep-2 cells. L-AA suppressed the viability of Hep-2 cells and induced apoptosis, as shown by the cleavage and condensation of nuclear chromatin and increased number of Annexin V-positive cells. L-AA decreased Bcl-2 protein expression but upregulated Bax protein levels. In addition, cytochrome c release from the mitochondria into the cytosol and activation of caspase-9, -8, and -3 were enhanced by L-AA treatment. Furthermore, apoptosis-inducing factor (AIF) and endonuclease G (EndoG) were translocated into the nucleus during apoptosis of L-AA-treated Hep-2 cells. L-AA effectively inhibited the constitutive nuclear factor-κB (NF-κB) activation and attenuated the nuclear expression of the p65 subunit of NF-κB. Interestingly, L-AA treatment of Hep-2 cells markedly activated Akt and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1/2, p38, and c-Jun N-terminal kinase [JNK]) and and LY294002 (Akt inhibitor), SB203580 (p38 inhibitor) or SP600125 (a JNK inhibitor) decreased the levels of Annexin V-positive cell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L-AA induces the apoptosis of Hep-2 cells via the nuclear translocation of AIF and EndoG by modulating the Bcl-2 family and MAPK/Akt signaling pathways.

조피볼락 치어의 장기간 사육에 있어서 사료내 L-ascorbic acid 농도가 성장과 조직내 Vitamin C 농도에 미치는 영향 (Long-term Feeding Effects of Different Dietary L-ascorbic Acid Levels-on Growth and Tissue Vitamin C Concentrations in Juvenile Korean Rockfish)

  • 배승철;이경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643-650
    • /
    • 1996
  • 본 실험은 조피볼락에서의 비타민 C 함량을 달리한 6가지 반정제사료를 28주간 공급했을때의 성장 효과와 그에 따른 네가지 조직에서의 비타민 C 축적량 및 비타민 C 요구량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4주간의 예비 사육 기간에는 어체내에 축적되어 있을 비타민 C 함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비타민 C를 첨가하지 않은 $C_0$ 사료를 공급하였다. 실험어는 실험 시작 평균 체중이 12.6g인 조피볼락 치어를 사용하였으며, 6개 실험구로 나누어 3반복으로 하였으며, 6가지 실험 사료의 비타민 C 첨가 농도는 다음과 같다: 0, 25, 50, 75, 150 and 1500 mg L-ascorbic acid (AA)/kg diet $(C_0,\;C_{25},\;C_{50},\;C_{75},\;C_{150},\;&\;C_{1500})$. 총 28주간의 사육 실험 결과, 증체율, 사료전환효율, 일일성장율, 단백질전환효율은 $C_0$ 실험 구가 다른 모든 실험구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다른 실험구들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P<0.05). 28주간 사육 실험 후의 조직내 비타민 C 분석결과, 네가지 조직 중 총 비타민 C 함량이 가장 높은 조직은 근육이며, 단위 무게당 비타민 C 함량이 가장 높은 조직은 뇌임을 알 수 있었다. 사료내 비타민 C 분석 결과, $C_25$ 사료구의 비타민 C 농도는 64.5mg AA/kg diet로 나타났다. 따라서 성장기 조피볼락에 있어서 사료내 비타민 C 요구량은 약 65mg AA/kg diet 정도일 것으로 추정된다.

  • PDF

2-O-\alpha-D-Glucopyranosyl L-Ascorbic acid 생산을 위한 Cyclodextrin glucanotransferase의 고정화 (Immobilization of Cyclodextrin Glucanotransferase for Production of 2-O-\alpha-D-Glucopyranosyl L-Ascorbic Acid.)

  • 성경혜;김성구;장경립;전홍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68-376
    • /
    • 2003
  • AA를 AA-2G로 전환하는 CGTase를 고정화하여 AA-2G 대량 생산의 가능성을 고찰한 결과, CNBr-sepharose 4B가 가장 효과적인 담체로 판명되었고, CGTase의 고정화 최적 조건과 고정화 CGTase에 의한 AA-2G 생산의 최적조건 및 재사용성을 검토하였다. 최적 고정화 조건은 효소량 24,000 units/g resin으로 9시간 반응하여 약 18,000 units/g resin의 최고 고정화율을 얻을 수 있으며, pH 5.0(50 mM sodium citrate buffer)용액에 12% AA-Na와 8% soluble starch를 기질로 하여 800 units/ml의 고정화 CGTase를 첨가한 후 $37^{\circ}C$에서 100 rpm으로 교반하면서 25시간 반응하여 약 18 mM의 AA-2G 최고량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0.015 mM의 $CaCl_2$를 첨가하여 고정화 CGTase의 재사용성을 관찰한 결과, 5회까지 50% 이상의 AA-2G 생산율로서 그 가능성을 입증할 수 있었다. 그리고 효소의 재사용성이란 측면에서, 본 고정화의 다른 한 방법인 ultrafiltration(한외 여과)에 의해서는 Millipore사의 YM 10 membrane을 이용하여 먼저 단백질량과 효소 활성 변화를 측정하여 그 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었으며, 기질 20 ml을 사용하여 AA-2G를 생성시킨 후, 한외여과에 의해 효소만을 회수하여 연속 반응해 본 결과 8회까지 50%의 생성률을 유지하였다. 따라서 한외 여과는 CNBr-sepharose 4B와 함께 효율적인 고정화의 한 방법으로 판명되었으며, 앞으로 이들 고정화 효소를 이용한 연속 반응 시스템의 구축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초음파와 ascorbic acid의 병용처리가 신선절단 '홍옥' 사과의 저장 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mbined Treatment with Ultrasound and Ascorbic Acid on the Storage Qualities of Fresh-cut 'Jonathan'Apples)

  • 장지현;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02-207
    • /
    • 2010
  • 신선절단 '홍옥' 사과의 저장 중 품질에 대한 초음파 및 ascorbic acid의 병용처리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준비한 사과 절편을 초음파 처리(US), ascorbic acid 용액 침지처리(AA), 초음파 및 ascorbic acid 병용 처리(UA) 하였으며 $10^{\circ}C$에서 12일간 저장하였다. UA 처리구에서는 높은 $L^{*}$ 및 hue 값과 낮은 $a^{*}$, $b^{*}$, chroma 및 ${\Delta}E$값이 관찰되었으나 반면 무처리구와 US 처리구에서는 상당한 수준의 갈변이 관찰되었다. UA 처리에 의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의 polyphenol oxidase 활성 억제가 확인되었으며 처리 당일 UA 처리구에서 다른 처리구에 비해 높은 수준의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이 측정되었고 모든 처리구에서 총 가용성 고형분 함량, pH, 적정산도 및 포장 내 가스 농도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초음파와 ascorbic acid의 병용처리가 신선절단 '홍옥' 사과의 효소적 갈변억제와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의 유지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고농도 $CO_2$와 Ascorbic acid 처리가 신선절단 사과의 갈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mbined Treatment with High $CO_2$ Concentration and Ascorbic acid on Browning of Fresh-cut 'Fuji' Apples)

  • 김선영;조정석;정문철;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75-480
    • /
    • 2011
  • 신선절단 '후지' 사과의 고품질 유지를 위한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고농도 $CO_2$와 ascorbic acid 처리가 저장 중 품질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사과(대조구)와 고농도 $CO_2$를 처리한 사과를 8조각으로 절단하여($CO_2$ 단일처리구) 1% ascorbic acid에 1분 동안 침지($CO_2$와 ascorbic acid 병용처리구), $CO_2$ 처리 없이 ascorbic acid에 침지(ascorbic acid 단일처리구)를 0.03 mm polypropylene 필름에 밀봉 포장하여 $10^{\circ}C$에 저장하면서 품질 특성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CO_2$ 단일처리구와 $CO_2$와 ascorbic acid 병용 처리구에서 갈변도의 변화율이 가장 낮았다. $CO_2$를 처리하지 않은 구는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조직이 무르거나 갈색반점이 발생하는데 반해 $CO_2$ 처리구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이나 pH, 포장 내 기제 조성 등에서는 처리구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총균수는 $CO_2$ 단일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총균수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저장 7일차부터 모든 처리구에서 급격히 증가하였다. 따라서 고농도 $CO_2$ 처리는 단일처리거나 ascorbic acid와의 병용처리는 신선절단 사과의 갈변과 연화 저해에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Conformation of L-Ascorbic Acid in solution. 1. Neutral L-Ascorbic Acid

  • Shin, Young A.;Kang, Young-Kee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2권1호
    • /
    • pp.61-67
    • /
    • 1991
  • Conformational free energy calculations using an empirical potential function and the hydration shell model (a program CONBIO) were carried out on the neutral L-ascorbic acid (AA) in the unhydrated and hydrated states. The conformational energy was minimized from starting conformations which included possible conformations of six torsion angles in the molecule. The conformational entropy of each low energy conformation in both states was computed using a harmonic approximation. From the analysis of conformational free energies for AA in both states, intramolecular hydrogen bonds (HBs) are proved to be an essential factor in stabilizing the overall conformations, and cause the conformations in both states to be quite different from those in crystal. In the case of hydrated AA, there is a competition between HBs and hydration, and the hydration around the two hydroxyl groups attached to the acyclic side chain forces the molecule to form less stable HBs. The hydration affects strongly the conformational energy surfaces of AA. Several feasible conformations obtained in this work indicate that there exists an ensemble of several conformations in aqueous solution. The calculated probable conformations for the rotation about the C5-C6 bond of the acyclic side chain are trans and gauche +, which are in good agreement with results of NMR experiment.

Purification and Properties of Cyclodextrin Glucanotrnsferase Synthesizing $2-O-{\alpha}-D-Glucopyranosyl{\;}_{L}-Ascorbic$ Acid from Paenibacillus sp. JB-13

  • Bae, Kyung-Mi;Kim, Sung-Koo;Kong, In-Soo;Jun, Hong-Ki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1권2호
    • /
    • pp.242-250
    • /
    • 2001
  • A Gram-positive bacterium (strain JB-13) that was isolated from soil as a producer of cyclodextrin glucanotransferase (CGTase) [EC 2.4.1.19] was identified as Panibacillus sp. JB-13. This CGTase could catalyze the transglucosylation reaction from soluble starch to L-ascorbic acid (AA). A main product formed by this enzyme with ${\alpha}-glucosidase$ was identified as $2-O-{\alpha}-D-glucopyranosyl{\;}_{L}-ascorbic$ acid (AA-2G) by the HPLC profile and the elemental analysis. CGTase was purified to homogeneity using ammonium sulfate fractionation, ion-exchange chromatography on DEAE-Seohadex A-50, and gel chromatography on Sephacryl S-200HR. The molecular weight was determined to be 66,000 by both gel chromatography and SDS-PAGE. The isoelectric point of the purified enzyme was 5.3. The optimum pH and temperature was PH 7.0 and $45^{\circ}C$ respectively. The enzyme was stable in the range of pH 6-9 and at temperatures of $75{\circ}C$ or less in the presence of 15 mM ${CaCl_2}.\;{Hg^2+},\;{Mn^+2},{Ag^+},\;and\;{Cu^2+}$ all strongly inhibited the enzyme's activ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