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 $D_{50}$

검색결과 2,207건 처리시간 0.034초

오목표면곡률이 난류원형충돌제트의 열전달에 미치는영향 (Concave surface curvature effect on heat transfer from a turbulent round impinging jet)

  • 임경빈;이대희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1권5호
    • /
    • pp.691-699
    • /
    • 1997
  • The effects of concave hemispherical surface curvature on the local heat transfer from a turbulent round impinging jet were experimentally investigated. The liquid crystal transient method was used for these measurements. This method, which is a variation on the transient method, suddenly exposes a preheated wall to an impinging jet while video recording the response of liquid crystals for the measurement of the surface temperature. The Reynolds number ranges from Re=11,000 to 50,000, the nozzle-to- surface distance from L/d=2 to 10, and the surface curvature from D/d=6 to 12.The present results are also compared to those for the flat plate case. In the experiment, the local Nusselt numbers tend to increase in all regions with an increasing surface curvature. The maximum Nusselt number for all Reynolds numbers occurred at L/d .ident. 6 and a second maximum in the Nusselt number occurred at R/d .ident. 2 for both Re=23,000 and Re=50,000 in the case of L/d=2 and for Re=50,000 only in the case of L/d=4. Meanwhile, as the surface curvature increases, the value of the secondary maximum Nusselt number decreases. All the other cases exhibit monotonically decreasing values of the Nusselt number along the curved surface. The stagnation point Nusselt numbers are well correlated with Re, L/d, and D/d.

만병초 추출물의 항산화활성과 보습효과 측정 (Antioxidant Activity of Rhododendron brachycarpum D. Don Extracts and Its Skin Hydration Effect Measure)

  • 박정옥;임규남;박수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57-165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만병초 추출물의 항산화 작용과 tyrosinase, elastase 저해 효과, 만병초 추출물 중 ethyl acetate 분획 함유 크림을 제조하고 이를 피부에 도포한 후 피부 수분 보유량, 경표피 수분 손실량을 측정하였다. 만병초 추출물의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소거활성($FSC_{50}$)은 ethyl acetate 분획에서 1.83 ${\mu}g/mL$으로 나타났다. Luminol-의존성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3+}$-EDTA/$H_2O_2$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 만병초 추출물의 총 항산화능($OSC_{50}$)은 50 % EtOH extract 분획에서 0.064 ${\mu}g/mL$으로 ethyl acetate와 aglycone 분획보다 더 큰 활성을 나타내었다. 만병초 추출물에 대하여 rose-bengal로 증감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에 대한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는데 1 ~ 10 ${\mu}g/mL$의 농도에서 농도-의존적으로 $^1O_2$으로 유도된 용혈을 억제하였다. 미백 효과 측정으로는 각각 tyrosinase의 활성 저해 효과($IC_{50}$)를 측정하였는데 ethyl acetate 분획과 aglycone 분획에서 각각 70.5 ${\mu}g/mL$, 122.40 ${\mu}g/mL$로 나타났으며 elastase의 활성 저해 효과($IC_{50}$)는 ethyl acetate 분획과 aglycone 분획이 각각 51.40 ${\mu}g/mL$, 20.73 ${\mu}g/mL$로 나타났다. 만병초 추출물 ethyl acetate 분획 함유 크림을 팔에 도포한 후 180 min 동안 30 min 간격으로 수분 보유량을 측정한 결과 placebo 크림에 비하여 만병초 추출물 함유 크림의 수분 보유량을 1 ~ 4 % 정도 증가시켰다. 또한 180 min 동안 측정한 경표피 수분 손실량은 7.7 $g/m^2h$으로 무도포(10.2 $g/m^2h$)한 부분과 placebo 크림(8.9 $g/m^2h$)과 비교했을 때 더 적은 수분 손실량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만병초 추출물이 $^1O_2$ 혹은 다른 ROS를 소광시키거나 소거함으로써 그리고 ROS에 대항하여 세포막을 보호함으로써 생체계, 특히 태양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에서 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가리킨다. 또한 만병초의 tyrosinase, elastase 저해활성, 만병초 추출물 함유 크림의 인체 시험의 결과로부터 항산화, 항노화의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밀 반수체 생산에서 식물생장조절제의 영향 (Effects of Plant Growth Regulators on Haploid Production of Wheat)

  • 김영진;이광원;김학신;정영근;박광근;김기종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50-55
    • /
    • 2011
  • 반수체 육성은 육종연한을 단축시키기 위해 유용한 도구이다. 본 연구는 밀 품종 조기 육성을 위한 반수체 육종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반수체 육성시 식물생장조절제 처리가 배 배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조사한 것이다. 밀 이삭의 제웅 작업을 수행하고 옥수수와 원연교잡한 후 종자결실은 2,4-D 및 2,4,5-T 150 mg/L, dicamba 50 mg/L 처리에서 가장 좋았으며, 배형성은 2,4-D 및 2,4,5-T 100 mg/L, dicamba 50 mg/L 처리에서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특히 배 형성과 반수체 생산은 2,4-D 100 mg/L에서 가장 양호한 결과를 나타냈으나 2,4-D 150 mg/L에서는 배의 발달과 재분화가 억제되었다. 식물생장조절제의 처리 시기는 옥수수 화분으로 수정한 후 24시간이 지난 후에 처리하는 것이 반수체 생산에 가장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원산지별 감초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Antioxidative Activity of Glycyrrhiza uralensis and Glycyrrhiza glabra Extracts by Country of Origin)

  • 한샛별;구현아;김수지;김혜진;권순식;김해수;전소하;황준필;박수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8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 감초(Glycyrrhiza uralensis) 및 우즈베키스탄 감초(Glycyrrhiza glabra)를 이용하여 원산지별 감초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에 관한 비교 연구를 수행하였다. 감초 추출물의 자유 라디칼(1, 1-phenyl-2-picrylhydrazyl, DPPH) 소거활성($FSC_{50}$)은 각 3가지 원산지 중 한국 감초가 50% 에탄올 추출물(21.15 ${\mu}g/mL$), 에틸아세테이트 분획(29.15 ${\mu}g/mL$), 아글리콘 분획(3.26 ${\mu}g/mL$)에서 모두 가장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루미놀-의존성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3+}-EDTA/H_2O_2$ 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 감초 추출물의 총 항산화능($OSC_{50}$)은 중국 감초의 50% 에탄올 추출물(1.00 ${\mu}g/mL$)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0.34 ${\mu}g/mL$)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Rose-bengal로 증감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에 대한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을 때 원산지별 감초의 50% 에탄올 추출물과 아글리콘 분획 모두 농도범위(5 ~ 50 ${\mu}g/mL$)에서 농도의존적으로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아글리콘 분획(10 ${\mu}g/mL$)의 경우 한국 감초(${\tau}_{50}$ = 847.4 min)가 동일한 종인 중국 감초(${\tau}_{50}$ = 194.3 min)보다 약 4배 더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미백 소재로만 주로 사용되어오던 감초 추출물이 천연 항산화제로서 화장품 분야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세포보호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보아 감초 추출물이 자외선으로 유도된 $^1O_2$와 외 ROS로부터 피부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50세 이상 한국 성인에서 비만과 부갑상샘호르몬의 관련성 -2011 국민건강영양조사에 근거하여 (The association of abdominal obesity, obesity and parathyroid hormone in Korean adults (aged≥50 years):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011)

  • 이규수;윤요상;윤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3882-3888
    • /
    • 2015
  • 본 연구는 국가자료인 2011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50세 이상 성인에서 비만이 PTH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실시하였다. 조사 참여자수는 8,518명이었고, 이중 50세 이상 성인 3,305명을 최종분석 대상자로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PTH 평균값에 영향을 주는 관련변수(연령, 성별, SBP, DBP, 25(OH)D)를 보정 후, 정상군 (BMI, < $23.0kg/m^2$; $66.25{\pm}0.89ng/dL$)에 비하여 과체중군(BMI, $23.0-24.9kg/m^2$; $67.83{\pm}1.07 ng/dL$), 비만군(BMI,${\geq}25.0kg/m^2$; $70.71{\pm}0.94ng/dL$)의 PTH 평균값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03), Non-abdominal obesity군($66.63{\pm}0.74ng/dL$)에 비하여 Abdominal obesity군($69.30{\pm}0.80ng/dL$)의 PTH 평균값이 증가하였다(p=0.017). 결론적으로 비만과 복부비만은 PTH의 증가와 관련이 있다.

관중, 참지네고사리 및 더부살이고사리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Fractions Obtained from Dryopteris crassirhizoma, D. nipponensis and Polystichum lepidocaulon)

  • 김나래;권혁준;조주성;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76-183
    • /
    • 2012
  • 본 연구는 면마과에 속한 관중($Dryopteris$ $crassirhizoma$), 참지네고사리($Dryopteris$ $nipponensis$) 및 더부살이고사리($Polystichum$ $lepidocaulon$)의 성엽을 용매별로 분획 추출한 다음 각 분획물의 항산화 효과를 분석하여 천연 항산화 소재로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총 폴리페놀의 함량은 관중의 n-butanol 분획물(550.0 $mg{\cdot}g^{-1}$), 참지네고사리의 ethyl acetate 분획물(374.8 $mg{\cdot}g^{-1}$), 더부살이고사리의 n-butanol 분획물(781.8 $mg{\cdot}g^{-1}$)에서 가장 많았다.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관중의 chloroform 분획물(72.9 $mg{\cdot}g^{-1}$), 참지네고사리와 더부살이고사리의 n-hexane 분획물에서 각 72.9, 154.5 $mg{\cdot}g^{-1}$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가장 많았다.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관중과 더부살이고사리의 n-butanol 분획물($RC_{50}=0.02$와 0.04 $mg{\cdot}mL^{-1}$)과 참지네고사리의 water 분획물($RC_{50}=0.01mg{\cdot}mL^{-1}$)에서 가장 높았다.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관중의 n-hexane과 n-butanol 분획물(각 $RC_{50}=0.02mg{\cdot}mL^{-1}$), 참지네고사리의 ethyl acetate 분획물($RC_{50}=0.03mg{\cdot}mL^{-1}$) 및 더부살이고사리의 n-butanol 분획물($RC_{50}=0.06mg{\cdot}mL^{-1}$)에서 가장 높았다. 연구의 결과, 관중과 더부살이고사리의 n-butanol 분획물은 총 폴리페놀의 함량이 많으며 radical 소거활성이 높았으므로 각 분획층의 유용 생리활성 물질을 분석하여 이용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Effect of Aucklandia lappa Decne Extract on Antioxidant

  • Lee, Hea-Jin;Lim, Hyun-Ji;Lim, Mi-Hye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1545-1555
    • /
    • 2020
  •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Aucklandia lappa Decne (AL). Cell viability was measured in an MTT assay. Antioxidant effects were evaluated based on total polyphenol/flavonoid contents,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OD activity, and ROS content. AL was found not to be toxic at concentrations of 1 ㎍/mL, 10 ㎍/mL, and 100 ㎍/mL, respectively. The phenolic content was higher in AL-D than in AL-E, while the flavonoid content was higher in AL-E than in AL-D. AL-E exhibited higher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an AL-D, and the EC50 values for BHA were 217.1 ㎍/mL in AL-D and 180.5 ㎍/mL in AL-E. AL-E also showed the highes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EC50 values for BHA were 114.2 ㎍/mL in AL-D and 95.8 ㎍/mL in AL-E. The SOD-like activity of AL-E was higher than that of AL-D. The EC50 values for ascorbic acid were 48.5 ㎍/mL in AL-D and 72.9 ㎍/mL in AL-E, indicating that both AL extracts have a SOD activity higher than that of ascorbic acid. AL-E reduced relatively more ROS than AL-D. With 100 ㎍/mL AL-E, the reduction level was almost similar to that of dexamethasone.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AL have antioxidant effects, and we believe that they could be very valuable as raw materials for anti-aging products, based on their antioxidant activity.

Properties and Biodegradability of Polylactide for Paper Coating Application - $Poly(_{L} -lactide)\;and\;Poly(_{D}-lactide)$ Blend -

  • Lim Hyun A;Kang Jin Ha
    • 펄프종이기술
    • /
    • 제36권5호
    • /
    • pp.53-61
    • /
    • 2004
  • [ $Poly(_{D}-ldactide)\;(_{D}-PLA)$ ] was synthesized to have low molecular weight for miscible blends with a high molecular $poly(_{L}-lactide)\;(_{L} -PLA)$. The blends were prepared by dissolving the two components of $_{L}-PLA\;and\;_{D}-PLA\;(w/w)$ in chloroform (l00/0, 90/10, 70/30, 50/50, 30/70, 0/100). The miscibility of these miscible blends was characterized by gel-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and the selective degradability by enzymes (proteinase K, subtilisin and $\alpha$-chymotrypsin). The coating efficiency of PLA blends onto paper was determined and the degrading activity cellulases by on these blends. The miscibility, coating efficiency and enzymatic degradability of these blends were decreased according to increasing of $_{D}-PLA$ blending part. Such results were attributed to the extent of coating application of PLA, with better miscibility (compatibility), coating efficiency and degradability due to a higher $_{L}-PLA$ content.

Chemical Composition and Acaricidal Effects of Essential Oils Extracted from Ligustrum japonicum against Acaridae and Pyroglyphid Mites

  • Lee, Hoi-Seo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8권3호
    • /
    • pp.197-199
    • /
    • 2015
  • The composition of the essential oil of Ligustrum japonicum leaves was determined by GC-MS analysis. The major constituents of L. japonicum leaf oil were germacrene D (40.50%), ${\alpha}$-pinene (13.63%), (-)-${\beta}$-elemene (6.42%), ${\beta}$-caryophyllene (5.73%), and $\delta$-cadinene (5.47%). The acaricidal activities of L. japonicum oil were evaluated against acaridae and pyroglyphid mites. In the fumigant bioassay, the $LD_{50}$ values of L. japonicum oil were 16.48, 12.38, and $15.63{\mu}g/cm^3$ against Tyrophagus putrescentiae, Dermatophagoides farinae, and D. pteronyssinus, respectively. In the contact bioassay, the $LD_{50}$ values of L. japonicum oil were 8.02, 5.02, and $7.67{\mu}g/cm^2$ against T. putrescentiae, D. farinae, and D. pteronyssinus, respectively.

한국인 일반인의 혈청 25-Hydroxy Vitamin $D_3$의 분석 (Serum 25-Hydroxy Vitamin $D_3$ Analysis of Korean People)

  • 김보경;정현미;김윤경;김소영;김지현
    • 핵의학기술
    • /
    • 제14권1호
    • /
    • pp.133-137
    • /
    • 2010
  • Vitamin D의 주된 작용은 칼슘과 인의 흡수증가로 인한 골의 무기질화이며 vitamin D 결핍 시 에는 소아에서는 연골에 석회 침착이 안되어 구루병을 일으키고 성인에서는 골연화증 또는 골다공증이 생긴다. 또한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모든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고 심장병 등도 예방한다는 역학 연구 결과들이 발표되어 혈중 최적의 vitamin D농도에 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20~32 ng/mL의 농도가 최적의 농도라고 여겨지고 있다. 이에 우리 한국인들의 25-Hydroxy vitamin $D_3$농도를 측정하여 어느 정도의 농도를 유지하고 있는지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2008년 2월20일부터 2009년 4월21일까지 14개월간 (재)네오딘의학연구소에 의뢰된 의료기관 종합검진 수진자 들의 혈청 25-Hydroxy vitamin $D_3$ 검사한 2,800검체를 수집하였다. 이 검체는 모두 25-Hydroxy vitamin $D_3$ ($^{125}I$ Kit: Diasorin, USA)로 검사한 후 성별, 연령별, 계절별, 지역별로 분석하여 보았다. 총 2800 검체 중 25-Hydroxy vitamin $D_3$ 평균농도는 남 20ng/mL 여 17.22 ng/mL 연령별로는 남자 10~20세 18 ng/mL, 21~30세 17 ng/mL, 31~40세 19 ng/mL, 41~50세 21 ng/mL, 51~60세는 22 ng/mL, 61~70세는 22 ng/mL, 71~80세 22 ng/mL, 81~90세는 19.9 ng/mL 여자 10~20세는 16 ng/mL, 21~30세는 15.26 ng/mL, 31~40세는 16 ng/mL, 41~50세는 17ng/mL, 51~60세는 19 ng/mL, 61~70세는 19 ng/mL, 71~80세는 19 ng/mL, 81~90세는 17 ng/mL이었다. 계절별로는 12월~5월이 15.97 ng/mL 6월~11월이 21.60 ng/mL이었다. 지역별로는 1월~4월까지의 남성을 비교해 본 결과 서울 경기 15.52ng/mL 강원도 15.33 ng/mL 충청도 18.03 ng/mL 전라도 18.68 ng/mL 경상도 18.76 ng/mL 제주도 21.23 ng/mL의 농도를 보였다. 한국인 일반인(칼슘 보충제나 종합비타민제의 복용상태는 모름)을 대상으로 25-Hydroxy vitamin $D_3$검사를 하였을때 최소치 1.98 ng/mL, 최대치 58.66 ng/mL의 분포를 보여 메뉴얼에서 제시한 Deficiency (0~5 ng/mL)에 0.3%의 상태가 있었고, Insufficiency (5~20 ng/mL) 63.3% Hypovitaminosis(20~40 ng/mL)는 36.0%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Sufficiency(40~100 ng/mL)는 0.4%로 나타났다. 또한 Toxicity (>100ng/mL)상태의 대상자는 없었다. 분석결과는 실외활동을 많이 하는 남성이 여성보다 25-Hydroxy vitamin $D_3$가 높았으며 연령별로는 남 여 모두 51~80세가 가장 높았다. 또한 계절별로는 6~11월이 높았다. 지역별로는 지방이 도시보다 높았다. 최근 vitamin D의 적정농도가 골다공증과 암 예방을 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이슈가 되고 있는 시점에 한국인의 vitamin D농도가 다른 논문에서 언급한 20~32 ng/mL에는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물론 한국인의 참고치가 미 설정된 상태이기에 더 많은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Vitamin D의 급원인 자외선이 중요한 만큼 모든 사람들이 실외활동 시간을 많이 늘려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RIA 방법이 많이 줄고 있는 이 시점에 방법이 불편하긴 하지만 vitamin D의 유용성을 높이 평가해 종합검진이나 R&D용 등으로 검사가 널리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