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G ratio

검색결과 2,057건 처리시간 0.034초

Candida parapsilosis에 의한 Xylitol 생산시 Xylose와 Glucose가 미치는 영향 (Effect of Xylose and Glucose on Xylitol Production by Candida parapsilosis)

  • 오덕근;김상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151-1156
    • /
    • 1996
  • Candida parapsilosis KFCC-10875를 사용하여 xylose와 glucose가 xylitol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Xylose만 50 g/l 함유하는 배지에서 배양하면 xylitol만 생성되었고 xylose에 glucose를 첨가하여 배양하면 부산물로 ethanol과 glycerol이 생성되었다. Glucose 함량이 높을수록 xylitol 생성량은 감소하였지만 ethanol과 glycerol의 양은 증가하여 xylose 10 g/l와 glucose 40/l일 때 최대값 각각 21.5 /l, 3.6 g/l의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Glucose에서는 xylitol이 생성되지 못하기 때문에 glucose만 존재하는 배지에서는 xylitol이 전혀 생성되지 않았다. Xylose에 대한 glucose의 비율을 증가시키며 배양한 결과 glucose 비율이 높을수록 이용된 xylose에 대한 생성된 xylitol의 수율이 감소하였다. 첨가하는 ethanol의 농도를 변화시키면서 배양한 결과 첨가된 ethanol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xylose에 대한 생성된 xylitol의 생산이 감소하였고 부산물을 제거한 후 배양할 경우 xylitol생산이 저해되지 않았다. 이것은 xylose에 대한 생성된 xylitol의 수율이 ethanol가 같은 부산물에 의한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Xylose 또는 glucose에서 성장한 균체를 약 20 g/l로 농축하여 xylose 50g/l가 포함된 발효배지에 접종하여 배양하였다. Glucose에서 성장한 균체를 사용한 xylitol 생산에서 xylose reductase와 xylitol dehydrogenase의 총역가는 농축균체를 사용하지 않는 일반 배양의 그것과 거의 비슷하였다. 그러나, xylose에서 성장한 농축균체를 사용한 발효에서의 xylose reductase의 역가와 xylitol dehydrogenase의 역가는 비교적 높게 나타나 일반배양의 역가와 비슷하였다. 그러므로 xylitol 생산성은 균체농도를 증가시킬수록 비례적으로 증가하여 xylose에서 성장한 농축균체로 발효시간 18시간에 50 g/l의 xylose로부터 40 g/l의 xylitol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질산성질소의 내생탈질기작을 이용한 하수내 영양소 제거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f Nutrient Removal by Endogeneous Nitrate Respiration (ENR) Mechanism in domestic wastewater)

  • 박명균;안원식;이의신;허용록;박종복
    • 청정기술
    • /
    • 제8권2호
    • /
    • pp.77-83
    • /
    • 2002
  • 본 연구는 국내하수처리장에서 발생되는 하수내 질소와 인을 생물학적 영양소 제거공정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설계 및 운전기술을 정립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혐기조 전단에 설치한 내생탈질조(Endogenous nitrate respiration, ENR)는 외부탄소원 없이 내생으로 반송슬러지내 포함된 질산성질소를 연속적으로 탈질시켜 질산성질소를 3mg/L 이하로 줄여 혐기조로 이송시킨다. 공정에 대한 성능 실험은 파이롯에서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운전기간동안 유입수내 TCOD/TP 비는 40에서 60범위를 보였고 TCOD/TKN 비는 5~7을 유지하였다. 유출수는 총질소는 10에서 12mg/L을 유지한 반면 총인은 최저 1mg/L을 가리켰다. 혐기조에서 $SP_{rel}/SCOD_{rm}$는 0.13에서 0.17을 유지하였다. 실험실규모에서는 ENR 반응률을 산정하였는데 0.042에서 $0.057gNO_3-N/gMv.d.$를 보였다. 이들 인자들은 생물학적 영양소제거공정을 설계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고 ENR 반응은 저농도 하수에서 질소, 인 처리시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반응표면분석을 이용한 녹차와 애엽 혼합물의 추출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s for Mixture of Camellia sinensis L. and Artemisia argyi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김영현;김우식;김재민;최선일;정태동;이진하;김종대;임재각;이옥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78-285
    • /
    • 2016
  • 본 연구는 초음파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공동현상을 이용하여 다양한 유용성분과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는 녹차와 애엽을 혼합하여 새로운 식품소재를 개발하기 위해서 반응표면분석법에 의한 추출특성을 모니터링 하여 최적 추출조건을 예측하였다. 초음파를 지속적으로 가하는 조건에서 Box-Behnken design에 의해 녹차와 애엽의 혼합비, 용매와 용질의 비, 추출시간을 독립변수로 하여 15구간의 추출조건을 설정하고 추출수율(Y)을 종속변수로 하여 모니터링 하였다. 반응표면분석결과 녹차 및 애엽 혼합 추출물은 녹차의 함량과 추출용매의 양이 증가 할수록 추출수율이 증가 하였으며, 추출시간은 결과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수율을 최대로 얻을 수 있는 녹차 및 애엽 혼합물의 최적 추출조건은 녹차와 애엽의 혼합비 85.86%, 용매와 용질의 비 92.73 mL/g, 추출시간 56.52분으로 확인되었으며, 추출수율의 최대값은 30.03%로 예측되었다.

Methylobacterium sp. GL-10의 유가식 배양에 의한 Methanol로 부터 Poly-$\beta$-hydroxybutyrate의 생산 (Production of Poly-$\beta$-hydroxybutyrate from Methanol by Fed-batch Cultivation of methylobacterium sp. GL-10)

  • 이호재;이용현
    • KSBB Journal
    • /
    • 제6권1호
    • /
    • pp.35-43
    • /
    • 1991
  • The production of poly-$\beta$-hydroxybutyrate(PHB) from methanol by batch and fed-batch cultivations of Methylobacterium sp. GL-10 was studied. PHB accumulation was stimulated by the nutrients deficiency including, NH4+, SO42-, and K+. The nitrogen deficiency was the most critical factor for PHB accumulation. In batch cultivation, the maximum cell concentration and PHB content were 1.86g/l and 0.62g/l, respectively, with 1.0%(v/v) of methanol and 0.5g/1 of ammonium sulfate. The mass doubling time of Methylobacterum sp. GL-10 was in the range of 4-5 hrs. The cell growth and PHB accumulation were severely inhibited at the methanol concentration over than 2% (v/v). To overcome methanol Inhibition, constant feeding and intermittent feedillg fed-batch cultivations were adopted, using C/N molar ratio as a control factor. In constant feeding fed-batch process, cell concentration was increased up to 2.67g/1, and PHB yield was enhanced from 0.33 of batch culture to 0.53. The relatively low cell concentration was caused by methanol accumulated in culture broth at late growth phase. To prevent methanol accumulation and to maximize PHB production, DO-state intermittent fed-batch cultivation was attempted. The cell and PHB concentration was reached up to 4.55g/1 and 1.80g/1, respectively. It was possible to maintain methanol concentration low and also to feed nutrient of desired C/N molar ratio.

  • PDF

흑임자 첨가량을 달리한 구기자흑임자죽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Gugija.Heukimja Jook Containing Different Levels of Black Sesame Powder)

  • 민은설;조정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06-118
    • /
    • 2009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d optimum preparation conditions for Gugija Heukimja jook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The important materials used for the Gugija Heukimja product were Lycium chinese, Seasamum indicum L., Ziziphus jujuba Mill. and rice. Moisture content, crude protein, crude fat, crude ash and crude fiber content were 15.62, 16.60, 13.62, 4.93 and 11.17% for Lycium chinese, 3.62, 20.94, 43.56, 5.67 and 10.72% for Seasamum indicum L., 24.12, 5.38, 0.73, 2.30 and 1.25% for Ziziphus jujuba Mill., and 12.36, 6.98, 0.46, 0.43 and 0.41% for rice, respectively. Optimal extraction conditions of brix, color, pH and total acidity in the materials for Gugija Heukimja jook were temperature $80^{\circ}C$, water volume 850 mL and extraction time of 63 min. The spreadability of jook with Lycium chinese and Ziziphus jujuba Mill. extracts was the highest when black sesame was 12 g pH was the lowest when black sesame was 9 g. PH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hen the added black sesame ratio changed. The 'value L' of chromaticity was lower with an increase of the black sesame ratio, 'value a' was higher with an increase of the black sesame ratio, 'value b' was lower with an increase of the black sesame ratio. Brix was lower when black sesame in jook was added. Total acidity was highest (7.27%) when black sesame was 12 g. The degree of gelatinization tended to be lower with additional black sesame. Higher scores of sensory evaluation were found for the product containing 9 g black sesame with Lycii furctus and Ziziphus jujuba Mill. extracts ompared to the other samples with 3 and 6g.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aste occurred for Gugija Heukimja jook prepared with over 9 g black sesame, while a great difference showed in color, pH and total acid. Therefore, the Gugija Heukimja jook prepared under the optimal conditions of 9 g black sesame with Lycium chinese and Ziziphus jujuba Mill. extracts exhibited higher qualities. Gugija Heukimja jook can use the easier for Yacksun jook. It is expected to become functional in the product's development.

Biofilter 공정에서 유입 C/N비와 DO가 지하수의 질산성 질소제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fluent C/N Ratio and DO on Denitrification of Nitrate Polluted Groundwater in a Biofilter Process)

  • 이무재;박상민;박노백;전항배;김공수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55-361
    • /
    • 2006
  • 고정상 생물여과지(biofiiter)에서 유입 C/N(COD/Nitrate)비와 용존산소(DO) 농도가 지하수로부터 질산성 질소를 제거하는데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유입 C/N비 10과 4.0에서 30 mg/L로 유입된 질산성 질소는 생물학적 탈질반응에 의해 완전히 제거되었다. 반면, 유입 C/N비 2.0에서는 전자공여체가 부족하였기 때문에 5.0 mg/L의 질산성 질소가 유출되었다. 게다가, 유입 C/N비가 2로 감소함에 따라 5.0 mg/L에 달하는 아질산성 질소가 발생하였다. 유입 C/N비 5에서 DO 농도의 증가는 탈질반응을 저해하였으며, 질산성 질소제거효율을 감소시켰다. 아황산나트륨($Na_2SO_3$)을 이용하여 유입 DO농도를 조절할 경우, 0.3 mg/L의 낮은 DO에도 불구하고 유출수 중 3.6 mg/L의 아질산성 질소가 잔류하였다. 반면, 질소가스를 이용하여 DO농도를 0.3 mg/L로 조절한 경우, 유입된 질산성 질소는 완전히 제거되었으며, 아질산성 질소는 검출되지 않았다. 생물여과지에서 유입된 질산성 질소를 제거하는데 소비된 유기물은 $3.0{\sim}3.5gSCOD/g{NO_3}^--N$의 범위이었으나, DO 농도가 5.5 mg/L로 증가함에 따라 소비된 그 양은 증가하였다. 높은 DO 농도 및 낮은 유입 C/N비와 함께 아황산나트륨을 이용한 DO 농도 조절은 생물학적 탈질반응에 영향을 주었으며, 질산성 질소제거효율을 감소시키고 아질산성 질소가 축적되었다.

한강수계해서의 크롬(III,VI) 종(species) 분포 및 분석방법 정립 (New Analytical Method to Identify Chromium Species, Cr(III) and Cr(VI), and Characteristic Distribution of Chromium Species in the Han River)

  • 정관조;김덕찬;박현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590-598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HPLC와 DRC ICP-MS를 연결하여 수중의 Cr(III)와 Cr(VI) 측정을 위한 최적의 분석조건을 설정하고, 서울시 6개 취수장 원수에서의 Cr(III)와 Cr(VI)의 분포 특성을 조사하였다. 크롬 종(species) 분리를 위한 HPLC 이동상으로는 tetrabutylammonium phosphate monobasic(1.0 mM TBAP),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0.6 mM EDTA) 그리고 2% v/v 메탄올을 사용하였으며, flushing solvent로는 5% v/v 메탄올을 사용하였다. 또한 크롬 종 분리 시 방해물질인 $ArC^+$의 제거를 위한 반응가스로 암모니아($NH_3$) 가스를 사용하였으며, Cr(III)와 Cr(VI)의 최적의 분리를 위해 이동상의 solvent ratio, pH 유속 및 시료 주입량의 변화에 따른 시험을 실시하였다. 외국의 경우 Cr(III)가 Cr(VI)보다 분석 감도가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본 연구 결과 반응가스($NH_3$)를 사용할 경우, Cr(III)에 비해 Cr(VI)의 분석 감도가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검출한계는 Cr(III)와 Cr(VI)에 대해 각각 $0.061\;{\mu}g/L$, $0.052\;{\mu}g/L$로 분석시간은 3분 이내로 나타났다. 서울시 6개 취수장 원수에서의 Cr(III)는 $0.048{\sim}0.064\;{\mu}g/L$(평균 $0.054\;{\mu}g/L$), Cr(VI)는 $0.014{\sim}0.023\;{\mu}g/L$(평균 $0.019\;{\mu}g/L$)의 농도 범위로 검출되었다. 회수율은 $90.1{\sim}94.1%$ 범위로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Cr(III)가 Cr(VI)에 비해 $2{\sim}3$배 정도 높은 농도로 나타났다.

폐기물매립지의 사후관리종료 평가를 위한 안정화 지수 산정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Stability Index for Defining the End of the Post-closure Monitoring Period for MSW Landfill)

  • 이남훈;한정현
    • 유기물자원화
    • /
    • 제14권2호
    • /
    • pp.63-70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폐기물매립지의 안정화 정도를 용이하게 평가하기 위하여 매립폐기물의 분해정도를 수치화 할 수 있는 매립지의 안정화 지수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안정화 지수를 개발하기 위하여 50개소의 사용종료 매립지를 대상으로 침출수 수질, 매립가스 조성, 매립폐기물의 물리화학적 특성 자료를 수집하여 이들의 매립연령별 환경특성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들 환경지표중 폐기물매립지의 안정화와 상관도가 높은세부 환경지표로서 침출수의 BOD/CODcr, 발생가스중의 $CH_4$농도, 매립폐기물의 C/N가 안정화 지표로 선정하였다. 각 지표에 대한 매립연령별 추세선을 이용하여 지수화한 결과 매립지 안정화 지수로 다음과 같은 식을 얻을 수 있었다. $$I_{LS}=S_L+S_G+S_W$$ $$S_L=-\{4.892+16.587{\cdot}ln[BOD/COD_{Cr]\}$$ $$S_G=53.872-12.782{\cdot}ln[CH_4]$$ $$S_W=79.382-20.013{\cdot}ln[C/N]$$ (단, $S_L$, $S_G$, and $S_W$는 각각 33.3점이 최대값이다.) 여기서, $I_{LS}$ : 매립지 안정화 지수 $S_L$ : 침출수의 안정화 점수 $S_G$ : 매립가스의 안정화 점수 $S_W$ : 폐기물의 안정화 점수.

  • PDF

Optimal conditions for biological hydrogen production from food waste

  • Wongthanate, Jaruwan;Chinnacotpong, Kittibodee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20권2호
    • /
    • pp.121-125
    • /
    • 2015
  • Biohydrogen production from food waste via dark fermentation was conducted by using mixed culture under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s (initial pH, initial F/M ratio, initial ferrous iron ($Fe^{2+}$), and temperature condition) in batch reactor.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maximum hydrogen yield of $46.19mL\;H_2/g\;COD_{add}$ was achieved at the optimal conditions (initial pH 8.0, initial F/M ratio 4.0, initial iron concentration 100 mg $FeSO_4/L$ and thermophilic condition ($55{\pm}1^{\circ}C$)). Furthermore, major volatile fatty acid (VFA) productions of butyrate (765.66 mg/L) and acetate (324.69 mg/L) were detected and COD removal efficiency was detected at 66.00%. Therefore, these optimal conditions could be recommended to operate a system.

Tylosin Production by Streptomyces fradiae Using Raw Cornmeal in Airlift Bioreactor

  • Choi, Du-Bok;Choi, On-You;Shin, Hyun-Jae;Chung, Dong-Ok;Shin, Dae-Yew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7호
    • /
    • pp.1071-1078
    • /
    • 2007
  • Using a 50-1 airlift bioreactor, for the effective production of tylosin from Streptomyces fradiae TM-224 using raw cornmeal as the energy source,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were studied in flask cultures. The maximum tylosin concentration was obtained at $32^{\circ}C$ and pH between 7.0 and 7.5. When seed was inoculated after 24 h of culture, the maximum tylosin concentration, 5.7 g/l, was obtained after 4 days of culture. Various concentrations of raw cornmeal were tested to investigate the optimum initial concentration for the tylosin production. An initial raw cornmeal concentration of 80 g/l gave the highest tylosin concentration, 5.8 g/l, after 5 days of culture. Of the various nitrogen sources, soybean meal and fish meal were found to be the most effective for the production of tylosin. In particular, with the optimal mixing ratio, 12 g/l of soybean meal to 14 g/l of fish meal, 7.2 g/l of tylosin was obtained after 5 days of culture. To compare raw cornmeal and glucose for the production of tylosin in the 50-1 airlift bioreactor for 10 days, fed-batch cultures were carried out under the optimum culture conditions. When raw com meal was used as the energy source, the tylosin production increased with increasing culture time. The maximum tylosin concentration after 10 days of culture was 13.5 g/l, with a product yield from raw cornmeal of 0.123 g/g of consumed carbon source, which was about 7.2 times higher than that obtained when glucose was used as the carbon sou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