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wangyang bay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026초

진주만의 해수순환 구조 (Water Circulation Structure in the Chinju Bay of Korea)

  • 김차겸;이종태;장호식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4호
    • /
    • pp.215-223
    • /
    • 2010
  • 진주만에서 계절별 해수순환구조의 특성을 해석하기 위해 진주만의 서쪽인 노량수로와 동쪽인 대방수로에서 해수유동을 2005년부터 2008년까지 장기간 관측하였다. 진주만의 해수유동은 주로 노량수로와 대방수로를 통한 해수교환에 의해 지배된다. 동계 노량수로의 표층에서 조류는 광양만에서 동쪽인 진주만으로 유입하는 흐름이 발생하고, 저층에서는 진주만에서 서쪽인 광양만으로 유출하는 흐름이 발생하고 있다. 하계 노량수로의 표층에서 조류는 진주만에서 서쪽인 광양만으로 유출하는 흐름이 발생하고 있다. 즉, 노량수로에서 해수순환은 전형적인 열염분순환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춘계 동-대방수로의 표층에서 조류는 진주만에서 외해로 유출하는 중력순환류가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하계 서-대방수로에서는 전층에 걸쳐 진주만내로 유입하는 흐름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유속의 크기는 서-대방수로에서 유속이 동-대방수로에서 유속보다 약 50~70 cm/sec 정도 크게 나타났다. 노량수로와 대방수로에서 계절별 해수순환 패턴을 보다 정확하게 해석하기 위해서는 현장관측과 3차원 수치모형실험에 관한 상세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광양만 다모류군집의 시.공간적 변화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of Polychaete Community in Kwangyang Bay, Southern Coast of Korea)

  • 신현출;고철환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05-216
    • /
    • 1990
  • 1987∼1988년의 4계절에 한국 남해안에 위치하는 광양만의 다모류군집을 조사하 고, 이를 1982년의 연구결과(최, 1984)와 비교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른 다모류군집의 변화를 기술하고 이러한 변화를 유발한 원인에 대하여 토의하였다. 조사결과 총 79종, 평균 520ind.m/SUP -2/ 의 다모류가 채집되었으며 주로 주수로지역과 모도 북수로지역 에서 종조성이 다양함을 알 수 있었다. 주요 우점종은 longifolia (28.2%), Nephtys polybranchia (16.3%) Stermaspis scutata (8.3%)등이었다. 1987년 여름과 1982년 여 름의 다모류군집을 비교하면 1982년에 최우점종이었던 Lagis bocki, Chone teres가 1987년에는 거의 소멸하고, 반면에 Lumbrineris longifolia, Nephtys polybranchia, Terebellides horikoshii, Sternaspis scutata 등의 서식밀도가 2배 이상 증가한 것이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다. 1982년 묘도 북수로지역은 Lagis bocki가 집중적으로 출현함 으로써 여타 지역과 뚜렷이 구별되었으나, 1987년에는 이 지역에서 완전히 소멸하여 주수로지역과 종조성에 있어서 상당히 유사해졌다. 서부내만지역은 1982년에는 주수로 지역과 군집조성이 비슷하였으나 1987년에는 L.longifolia가 사라지고 대신에 S. scutata, Tharyx sp.가 집중적으로 출현하여 주수로지역과 확연히 구별되었다. 광양만 다모류군집의 종조성에 있어서 지역간 및 1982년, 1987년의 차이는 섬진강 하구의 삼 각주에서 행해진 대규모 간척공사와 북수로지역의 준설공사로 인한 영향으로 생각된 다. 즉, 공사 후 지형이 변하고 이 때문에 조류의 유속과 같은 수리적 환경이 변화되 었고 이는 퇴적환경의 변화를 초래하여 광양만에 서식하는 다모류군집의 변화에 영향 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예를 들면, 묘도 북수로 지역에 대량 번성했던 Lagis bocki는 간척, 준설공사에 의한 서식지 교란으로 이 지역에서 완전히 소멸되었으며 서부내만지 역에는 간척공사 등에 의해 만내 조류의 유통이 극히 불량하여져서 세립질 퇴적물이 계속 침전되었게, 이 결과 S. scutata, Tharyx sp.가 우점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 PDF

준설공사시 발생하는 부유물질의 확산 및 단일오탁방지막의 효과분석 (Diffusion of the Suspended Matter Caused by Dredging and the Effect of the Single Silt Protector)

  • 김계영;정종률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12권3호통권29호
    • /
    • pp.1-8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distribution of the suspended matter caused by dredging at the northeastern part of Kwangyang Bay and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single silt protector for it.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tidal current, six sampling stations were chosen from the dredging site to the southeast. At the high tide, the high concentration of the suspended matter was observed below the mid-depth near the dredging site. As the tidal currents were stronger. its concentrations below the mid-depth at the inner stations of the single silt protector were rapidly increased, but those of the outer station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 The concentrations at the inner stations of the silt protector at that time were from 20~140mg/l and those of the outer stations, which was only about 30 m apart from the inner station, were from 20~30mg/l. It suggests that the large amount of suspended matter caused by dredging were moved to the inner stations near the silt protector at the ebb tide and that the silt protector is very effective for the suspended matter.

  • PDF

베도라치(Pholis nebulosa)의 식성 (Feeding habits of Pholis nebulosa)

  • 허성희;곽성남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2-29
    • /
    • 1997
  • 1994년 1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광양만 대도주변 잘피밭에서 채집된 베도라치의 식성을 조사하였다. 베도라치는 잘피의 잎에 부착하여 서식하는 단각류(카프렐라류 및 옆새우류)를 주로 섭이하였으며, 그 외, 새우류, 등각류, 요각류, 갯지렁이류, 주걱벌레붙이류 등을 소량 섭이하였다. 베도라치는 성장함에 따라 섭이된 먹이생물의 조성 및 크기의 변동이 뚜렷하였다. 체장이 작은 크기군에서는 요각류를 주로 섭이하였으며, 체장이 증가하면서 단각류를 주로 섭이하였다. 대체적으로 계절에 관계없이 단각류인 옆새우류와 카프렐라류가 주로 섭이되었으나, 그들의 섭이 비율은 계절에 따라 변하였다. 가을에는 옆새우류가 휠씬 많이 섭이되었으며, 다른 계절에는 카프렐류가 더 많이 섭이되었다.

  • PDF

현장입도분석기를 이용한 섬진강하구 부유퇴적물의 특성 연구 (In situ Particle Size and Volume Concentration of Suspended Sediment in Seomjin River Estuary, Determined by an Optical Instrument,'LISST-100')

  • 김석윤;이병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23-329
    • /
    • 2004
  • In situ particle size and volume concentration of suspended sediment was measured at the mouth of Seomjin River Estuary In February 2001, using an optical instrument, 'LISST-100'. Time variation of in situ particle size and concentration shows: (1) during ebb tide, Seomjin River supplies relatively fine-grained particles with less-fluctuated, compared to during flood tide, and well-behaved concentrations following the tidal cycle; and (2) during flood tide, relatively coarse-grained particles with highly variable in size distribution and concentration flow upstream from Kwangyang Bay. This explains a poor correlation $(r^{2}=0.10)$ between sediment concentration and beam attenuation coefficient during flood and a high degree of correlation $(r^{2}=0.80)$ during ebb tide. Relatively fine grained and well defined, monotonous size distribution may promote the correlation between concentration and beam attenuation coefficient due to optical homogeneity of particles during ebb tide. Abundance of large aggregates with time-varying size and shape distributions may be mainly responsible for variations in optical properties of the sediment during flood tide, and thus may confou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The difference in particle sizes and shapes between flood and ebb tides can also be observed on SEM images.

광양 폐광산의 산성광산배수의 유동경로 및 폐광석 탐지를 위한 지구물리탐사 (Geophysical surveys for delineation of leachate flows from AMD and buried rock wastes in Kwangyang abandoned mine)

  • 김지수;한수형;윤왕중;김대화;이경주;최상훈;이평구
    • 자원환경지질
    • /
    • 제36권2호
    • /
    • pp.123-131
    • /
    • 2003
  • 광양 폐광산의 갱구와 폐광석 적치장에서 발생되는 산성광산배수에 의한 침출수의 특성, 유동경로, 투기채널 및 매립된 폐광석의 탐지를 위해 복합 지구물리탐사(전기비저항, 자연전위, 지하투과레이다, 탄성파굴절법)를 수행하여 상관 해석하였다. 폐광산에서 유출되는 침출수는 강우에 의한 영향으로 우기에 많이 유출되며 산성광산배수의 지표용출 지점에서 측정된 침출수의 전기전도도는 0.977-1.110 mS/cm이다. 전기비저항탐사 결과 침출수는 두 개의 유동경로로 흐르다가 좁아지는 합류지점에서 일부는 그대로 통과하고 일부는 지표용출의 형태로 나타나 지표 및 지하 수계 및 토양을 오염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침출수의 유동경로는 자연전위탐사 결과 음의 최소값, 지하투과레이다탐사 결과 낮은 투과심도와 탄성파굴절법탐사 격과 저속도대의 분포 특성과 일치한다. 전기비저항탐사 결과에서 나타나는 천부 고비저항대는 레이다파의 회절현상과 상관되어 매립된 폐광석의 영향으로 추정된다. 약 1-1.25 m 깊이에서 일관성 있게 나타나는 지하투과레이다 반사 영상은 산성광산배수의 배출 통로인 매설 파이프에 의한 것으로 해석된다.

교통안전특정해역에서의 항법 적용에 대한 VTSO의 인식도 : 광양만 출입항로를 중심으로 (VTSO recognition of the navigation rule application to the traffic safety designated area)

  • 박정록;김재수;김재일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02-304
    • /
    • 2015
  • 교통안전특정해역은 선박사고의 위험성이 특히 높아 정부가 채택한 연안해역을 의미하나 정작 이 곳에서 적용되는 항법에 대하여는 여전히 논란이 있는 게 사실이며 여수VTS 관제구역에 있는 광양만 출입항로에 있어서는 그 적용이 더 난해한 부분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 대한 대책으로서 적극적 관제를 위한 교통안전특정해역에서의 항법적용에 대한 통일된 해석과 적용 방침을 마련하고, 나아가서 해사안전법에서의 특별항법 부분을 별도로 분리 입법하는 방법으로 선박교통안전을 향상하고, 선박교통관제사가 적극적인 업무자세로 집중관제의 토대를 마련하는데 조금이나마 기여하고자 한다.

  • PDF

여수지역 대기확산의 수치 모사 -II. 일사에 의한 일변화- (Simulation of Atmospheric Dispersion over the Yosu Area -II. Diurnal Variations by Solar Radiation-)

  • 오현선;김영성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25-236
    • /
    • 2000
  • Diurnal variations of wind field and pollutant dispersion over the Yosu area under the insolation conditions of summer and winter were investigated by using the Regional Atmospheric Modeling System (RAMS). Initially, horizontally homogeneous wind field were assumed on the basis of sounding data at the Kwangju upper-air station for days whose morning wind speeds were below 2m/s. In these days, the sea breeze prevailed in summer while the land breeze lasted for a few hours in the morning; the effect of synoptic winds was strong in winter with some inclusion of wind variations owing to the interaction between sea and land. The predicted wind direction at the location of the Yosu weather station captured an important change of the sea-land breeze of the observed one. The predicted wind speed and the air temperature agreed with observed ones in a reasonable range. In the morning, both in summer and winter, winds around the source location were diverged and became weak between the mountainous area to the southeast and the Kwangyang Bay to the north. Winds, however, accelerated while blowing to the east and south and blowing on the mountainous area. Complicated wind fields resulted in high pollutant concentrations at almost all receptors considered. These high concentrations in the morning were even comparable to the ISCST3 calculations with the worst-case and typical meteorological conditions designated by USEPA(1996). On the other hand, in the afternoon, the wind field was rather uniform even in the mountainous area with development of mixing layer and the concentration distributions being close to the Gaussian distributions.

  • PDF

한국산 흰비늘가자미의 후기 자어와 치어 출현 (Occurrence of Post-larvae and Juveniles of Laeops kitaharae (Bothidae, Pleuronectiformes) in Korea)

  • 윤창호;허성회;김익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00-206
    • /
    • 1998
  • 분류학적으로 둥글넙치과(Bothidae)에 속하는 표본율 1996년 3월과 1998년 6월에 남해의 광양만과 가덕도 주변 해역에서 채집하였다. 조사 결과, 흰비늘가자미 Laeops kitaharae (Smith and Pope)의 후기 자어와 치어로 확인되었다. Amaoka(1972)의 기준에 의하면, 채집된 4개체는 중-후기 자어(middle metamorphic post-larval stage), 1개체는 후-후기 자어(late metamorphic post-larval stage)에 해당되었다. 그리고 나머지 2개체는 흰비늘가자미의 치어에 해당되었다. 중-후기 자어는 등지느러미 기조부와 우측 눈부위 사이에 결각이 있는 특징과 등지느러미의 2번째 극조가 긴 사상인 특징에 의하여 후-후기 자어와 구분되었다. 치어의 경우는 소화관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지 않은 특정을 보였다. 전-후기 자어(early metamorphic post-larval stage)는 이번 연구에서 채집되지 않았다.

  • PDF

간척지의 염분농도 차이가 토양의 화학적 조성과 벼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alinity Content on Soil Chemical Composition and Productivity of Rice in Reclaimed Saline Paddy Field)

  • 권병선;백선영;신정식;임준택;신동영;김학진;현규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81-186
    • /
    • 2003
  • 간척지 논에서 쌀 생산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2000년 전남 광양만 간척지에서 토양염분농도별 수량과 토양의 이화학적 조성간의 관계를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출수기는 0.1%의 염분농도 토양은 8월 15일, 0.4%의 염분농도 토양은 8월 20일, 0.8%의 염분농도 토양은 8월 25일로서 0.1%의 염분농도 토양이 가장 빨랐다. 2. 쌀수량은 토양의 염분농도가 0.1%로 낮은 토양이 599kg/10a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0.4%의 염분농도 토양이 568kg/10a이었고 0.8%의 염분농도 토양은 446kg/10a로 가장 낮았으며 쌀수량 구성 요소 역시 같은 경향으로 0.1%의 염분농도 토양에서 가장 우수하였고 다음으로는 0.4%, 0.8%순으로 나타났었다. 3. 쌀수량과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간의 상관에서는 pH와는 부의상관, 유기물, 인산, 질소, 가리, 칼슘, 마그네슘의 함량간에는 정의 상관이었다. 4. 전남광양만 간척지에서 쌀수량과 수량구성 요소면에서 볼 때에 적합한 토양의 염분농도는 0.1%이라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