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unsan coastal sea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27초

통계분석기법을 이용한 군산연안해역의 수질평가 (The Evaluation of Water Quality in Coastal Sea of Kunsan Using Statistic Analysis)

  • 이남도;김종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69-376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water quality in coastal sea of Kunsan using multivariate analysis. The analysis data in Coastal Sea of Kunsan use of surveyed data by the NFRDI from April 2000 to November 2002. Twelve water Quality parameter were determined on each sample. The results was summarized as follow ; Water quality in coastal sea of Kunsan could be explained up to 62.782% by four factors which were included in loading of nitrogen-nutrients by Keum river(24.688%), suspended solids variation (12.180%), seasonal climate variation (18.367%) and variation of DIP (10.546%). To analyze spatially and monthly variation by factor score, it was divided by inner area and outer area spatially, and spring and summer monthly. The result of time series analysis by factor score, inner area of Kunsan coastal sea(St.1 and St. 2) was the most affected by nitrogen-nutrient and suspended solids due to runoff by Keum river. It could be suggested from these results that it is important to reduce tile pollution loads from Kuem river for the control of the water quality in coastal sea of Kunsan.

Mitigation in Saemangeum Bay

  • Shin, Moon-Seup;Tetsuo Yanagi;Hong, Sung-Kun
    • 한국해안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안해양공학회 1995년도 정기학술강연회 발표논문 초록집
    • /
    • pp.139-140
    • /
    • 1995
  • The reclamation area of Saemangeum(Kunsan) located between 126。10´E - 126。50´ E and 35。35´N - 36。05´N at the western coast of Korea. The construction of the 33km sea dike is building in the Saemangeum area. When the construction of the sea dike in the coastal region takes plase, there exists, a certain amount of soil which is diffused by the tidal current. (omitted)

  • PDF

Distribution of Suspended Particulate Matters in the East China Sea, Southern Yellow Sea and South Sea of Korea During the Winter Season

  • Choi, Jin-Yong;Kim, Seok-Yun;Kang, Hyo-J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9권4호
    • /
    • pp.212-221
    • /
    • 2004
  • Concentrations of suspended particulate matters (SPM) and their distribution patterns were monitored three times in the East China Sea during the winter season in 1998 and 1999. SPM concentrations showed significant temporal variations controlled by the atmospheric conditions and sea states. In coastal area, SPM values were about 10-20 mg/l in fair weather conditions, but exceeded 100mg/l during the storm periods. Turbid waters were distributed widespread in the continental shelf of the East China Sea and the coastal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se two areas were connected along a NE-SW direction.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turbid waters were interpreted as representing the transport behavior of suspended matter. Although the primary source of inner shelf mud deposits of Korea seems to be the Korean Peninsula, contribution from the East China Sea to the coastal area of Korea increases especially during the winter season.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ing for the Yellow Sea - Initial approach -

  • Suh, Seung-Won;M.G.G. Foreman
    • 한국해안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안해양공학회 1996년도 정기학술강연회 발표논문 초록집
    • /
    • pp.14-14
    • /
    • 1996
  • In order to understand the tidal hydrodynamics of the Yellow Sea and Parts of the East China Sea, we have developed a three-dimensional, fine resolution, nonlinear, harmonic finite element model. Major four tidal constituents, M$_2$, S$_2$, K$_1$ and O$_1$ are used as forcing along the open boundary. Due to the shallowness of the region, tidal results are strongly affected by the bottom roughness coefficients, especially for the quadratic form. (omitted)

  • PDF

여름철 황해 동부 연안을 따라 흐르는 연안 경계류: 수치 모델 실험 (Coastal Current Along the Eastern Boundary of the Yellow Sea in Summer: Numerical Simulations)

  • 권경만;최병주;이상호;조양기;장찬주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6권4호
    • /
    • pp.155-168
    • /
    • 2011
  • 여름철 황해 동부 연안 저층에 형성되는 수온전선을 따라 북쪽으로 흐르는 연안 경계류의 크기와 위치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3차원 수치모형인 ROMS를 이용하여 살펴보았다. 여름에 수심이 깊은 외해에서는 태양 가열로 강한 성층에 존재하지만 수심이 얕은 연안에서는 조류가 일으키는 저층 혼합으로 해수물성이 연직으로 잘 혼합된다. 이 과정에서 성층화된 외해와 연직 혼합이 잘되고 수온이 높은 연안 사이에서 수온전선이 형성되며, 수온전선을 가로 지르는 방향의 밀도 구배에 의해 수온전선을 따라 북쪽으로 흐르는 연안 경계류가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해류계를 이용한 현장 관측에서도 약 10 cm/s로 북상하는 연안 경계류가 관측되었다. 이러한 수온전선을 따라 북쪽으로 흐르는 연안 경계류는 주로 조류와 바람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조류에 의한 저층 혼합과 바람에 의한 표층 혼합이 여름철 황해 동부 경계류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소다. 바람에 의한 표층 혼합은 북쪽으로 흐르는 황해 동부 연안 경계류의 폭을 더 넓게 하여 수송량을 증가시킨다. 강물의 유입과 일사량의 변화는 연안 경계류의 세기와 위치 변화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 성층이 강하게 이루어지는 여름철 황해 동부 연안 $36^{\circ}N$에서는 대조기(소조기) 동안 강한(약한) 조류가 북쪽으로 흐르는 해류의 수송량을 증가(감소)시키지만, 동안 경계류의 위치를 크게 변화시키지는 않는다. 연안 경계류의 평균적인 위치는 바람의 세기 변화에 따라 변화하였다.

해수면 상승과 빈도 합성태풍이 고려된 월파범람 위험성 분석 (Vulnerability Analyses of Wave Overtopping Inundation by Synthesized Typhoons with Sea-Level Rise)

  • 김현정;서승원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31권5호
    • /
    • pp.253-264
    • /
    • 2019
  • 태풍으로 인한 폭풍해일은 주로 여름철에 발생하는데, steric 효과 특성으로 하계에는 연평균 해수면보다 높은 해면이 나타나 이들의 복합적 효과를 고려한 해안 저지대의 월파범람 해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이 하계에 발생하는 태풍해일 및 월파범람 취약성 해석을 위해 서남해안에 위치한 인천, 군산, 목포, 서귀포에서 관측된 1시간 간격의 기압과 조석 자료를 분석하였다. 여름철 평균 해수면 상승은 연평균 해수면 상승보다 서해안에서 약 20 cm, 남해안에서 15~20 cm 높게 나타난다. 해수면 상승 변화는 계절적 해면기압 변화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데, 1.58~1.73 cm/hPa의 범위에 있다. 이들의 상호 기작에서 한 달 또는 그 이상의 위상차가 발생한다. 해수면 상승 이외에 18.6년 장주기 조석 성분의 변화에 의해 2090년에 $M_2$ 분조의 진폭이 서남해안에서 최대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지구 온난화 및 해수면 상승과 관련된 목표 연도를 2090년에 맞춰서 분석할 필요성이 있다. 해수면 변화에 영향을 주는 연평균 해수면 상승, 하계 해수면 상승, 그리고 nodal factor 변동에 의한 복합적 효과와 100년 빈도 해일고를 고려한 월파 침수 범람을 모의한 결과 부산 수영만 일대 대부분이 월파에 의한 침수 범람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아울러 마린시티에서 최근 발생한 태풍 차바에 의한 월파량 보다 2090년에 2배 이상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월파범람 위험성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할 수 있는 적절한 연안 설계가 필요하다.

Circulation in the Central South Sea of Korea in Spring 1999

  • Lee, Jae-Chul;Lee, Sang-Ho;Kim, Dae-Hyun;Son, Yong-Tae;Perkins, Henry-T.;Kim, Jeong-Chang;Pang, Ig-Ch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8권3호
    • /
    • pp.143-155
    • /
    • 2003
  • Current and sea level were observed in spring 1999 by a bottom mounted ADCP and tide gauge in the central part of the South Sea of Korea. With respect to the front, the distribution of isotherms is prograde in the offshore region whereas that of isohalines is retrograde, especially in the coastal area. The combined effect results in shoaling of isopycnals at the front. This distribution corresponds to a westward coastal flow on the northern side of the front and the eastward Tsushima Warm Current (TWC) to the south, determined by vessel-mounted ADCP observations. The low-frequency current shows either alternating clockwise-counterclockwise rotation or else persistent eastward motion depending on the frontal motion. Fluctuations of wind, sea level and current are coherent at period of 3-4 days and show some characteristics of Ekman-like dynamics.

A Case Study on Industrialization on West coast of the Yellow Sea (A Preliminary Study by Stellite Image Data)

  • Abe, K.;Inomata, Y.;Ogata, S.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89년도 한국자동제어학술회의논문집; Seoul, Korea; 27-28 Oct. 1989
    • /
    • pp.1011-1015
    • /
    • 1989
  • Time series satellite image data were used to discuss the possibility of the industrialization of the Kunsan area. The satellite observation was performed from 1979 to 1987 and it revealed a big change in the geographical features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this area. From the previous experience regarding the industrialization of the coastal district of the Seto Inland Sea, the Kunsan area is very promising as an industrialized world trade center.

  • PDF

우리나라의 연안기후와 해면수온과의 관계 (Relation between the Sea Surface Temperature and the Coastal Climate in Korea)

  • 안유신;한영호;김영섭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566-574
    • /
    • 1984
  • 1962년부터 1981년까지 기온, 습도, 해면수온 자료를 이용하여 연안기후에 대한 해양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해면수온은 서해안에서 9월부터 3월 까지 약 6 개월동안, 동해안에서는 9월부터 4월까지 약 5개월동안 해안기온보다 높았다. 연안기온이 해면수온 보다 높아지는 것은 서해안에서는 3월, 남해안과 동해안에서는 4월로 서해안이 1개월 정도 빨랐다. 연안기온과 내륙기온, 연안기온과 해면수온과의 차, 그리고 연안습도와 해면수온, 해안습도와 내륙습도와의 차로 중회귀분석을 한 결과, 연안기후요소(기온과 습도)에 대한 해양 영향의 계수는 남해안과 동해안보다 서해안에서 약하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