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umiss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6초

Sensory Profiles of Koumiss with added Crude Ingredients extracted from Flaxseed (Linum usitatissimum L.)

  • Kim, Dong-Hyeon;Jeong, Dana;Song, Kwang-Young;Chon, Jung-Whan;Kim, Hyunsook;Seo, Kun-Ho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5권3호
    • /
    • pp.169-175
    • /
    • 2017
  • Recently, the health-promoting effects of functional foods have been shown to prevent nutrition-related diseases, improve physical and mental well-being, satisfy hunger, and provide necessary nutrients for the human body. Koumiss is a common type of fermented mare's milk that has been shown to have beneficial therapeutic effects on cardiovascular disease, tuberculosis, and diarrhea as it can nourish vessels, relieve ill mood, and improve digestion. Hence, in this study, we aimed to prepare health-promoting koumiss using different concentrations of flaxseed (Linum usitatissimmum L.), which has the potential to control heart disease, hypertension, inflammation, and lung function. The pH was decreased to around 4.42-4.43, whereas the total anthocyanin (TA) content was increased to around 0.78~0.82% after fermentation of the koumiss premix.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H and TA among the three groups, including the control group. In sensory profile analysis, the taste, flavor, color, texture, and overall acceptability decreased in proportion to the added amount of flaxseed. These findings provided the first data describing the effects of flaxseed on koumiss fermentation, establishing a basis for commercial-scale production of koumiss containing fermented flax seed and for improving the health-promoting activity of koumiss.

Yoghurt와 Koumiss를 급여한 Rat 혈액중(血液中)의 ${\gamma}$-globulin과 Cholesterol의 변화에 관한 연구 (Studies on Changes of ${\gamma}$-Globulin and Cholesterol of Rat Blood Fed on Yoghurt and Koumiss)

  • 조기환;김동신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3권
    • /
    • pp.151-157
    • /
    • 1985
  • 이 실험은 yoghurt와 koumiss를 급여한 rat의 혈액중(血液中) ${\gamma}$-globulin과 cholesterol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Yoghurt와 Koumiss는 Lactobacillus bulgaricus와 Streptococcus thermophilus와 Saccharomyccs fragilis strain을 이용하여 환원유(還元乳)로서 제조(製造)하였다. 20마리의 rat을 완전 임의배치법에 의하여 4개의 군으로 나눈 후 각각 5마리씩 배치하였으며 실험구(實險區)는 대조구(對照區)와 milk, yoghurt 그리고 koumiss를 급여한 구(區)로 구분하였다. 실험결과(實驗結果)는 다음과 같다. Lactobacillus bulgaricus, Streptococcus thermophilus 그리고 mixed strain은 $42^{\circ}C$에서 8시간 배양(培養)하였으며 배양물(培養物)의 pH는 3.7, 4.6, 3.5로 각각 나타났다. Koumiss의 평균(平均) alcohol생산(生産)은 1.2%로 나타났다. Yoghurt와 Koumiss의 평균점도(平均粘度)는 총고형분함량(總固形分含量) 11%의 milk에서 각각 1500cp와 390cp를 나타내었다. Yoghurt와 Koumiss를 급여한 rat의 혈액중(血液中) ${\gamma}$-globulin 함량(含量)은 대조구(對照區)와 milk를 급여한 구(區)보다 높았다. Yoghurt와 Koumiss를 급여한 rat의 혈액내(血液內)에서의 cholesterol함량(含量)은 대조구(對照區)와 milk 구(區)보다 낮은 수준을 보였다.

  • PDF

Manufacture of Functional Koumiss supplemented with Cichorium intybus L. (chicory) Extract - Preliminary Study

  • Kim, Dong-Hyeon;Jeong, Dana;Oh, Yong-Taek;Kim, Hong-Seok;Kim, Yun-Gyeong;Song, Kwang-Young;Kang, Il-Byung;Kim, Young-Ji;Park, Jin-Hyeong;Chang, Ho-Seok;Lim, Hyon-Woo;Chon, Jung-Whan;Kim, Hyunsook;Jeong, Dong-Kwan;Seo, Kun-Ho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5권1호
    • /
    • pp.1-7
    • /
    • 2017
  • Made using a natural mixed starter of lactic acid bacteria and yeast, Koumiss is a slightly alcoholic fermented mare's milk beverage, and a traditional drink of the nomadic populations of Central Asia. Cichorium intybus L. (chicory) is a sedative with potential cardioactive properties, and its oligosaccharides are beneficial in maintaining healthy gastrointestinal flora. Hence, in this study, we have generated a functional Koumiss containing two different concentrations of chicory. After fermentation of the Koumiss premix, the TA increased to 0.85~0.88%, and the pH decreased to ~4.3. The addition of either concentration of chicory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pH and TA. However, the taste, flavor, color, texture, and overall acceptability decreased in proportion to the added amount of chicory. This study has provided the first data on Koumiss supplemented with chicory. The results could be useful in developing high-quality Koumiss with functional activity using chicory, and allowing large-scale industrial production.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determine if chicory root extract is beneficial for lifestyle-related diseases.

우유발효에 이용되는 Starter Culture와 그 특성 (Starter Clutures for Milk Fermentation and Their Characteristics)

  • 금종수;김종우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1호
    • /
    • pp.97-118
    • /
    • 1996
  • All over the world there is an increasing consumer awareness of the potential influence of various foodstuffs on our health. Today dairy products are expected to be more just food. They have to taste well, appeal and give pleasure, provide of well-being, provide specific health benefits and prevent disease. This paper reviews the different types of fermented milks and their microflora and includes recent work on yogurt, soft cheese and buttermilks, kefir and koumiss. There is considerable interest in the new health promoting products which are now available. Meanwhile during the last decade a new generation of fermented milk products containing selected intestinal bacteria has been introduced to the markets. These are discussed in the light of some recent findings on the ability to lower the blood cholesterol concentration and stimulate the immune response and also describes some fermented milk products available, selection criteria for commercial starter cultures.

  • PDF

한국형 Koumiss제조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Manufacturing Properties of Korean-type Koumiss)

  • 이종익;송광영;천정환;현지연;서건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67-375
    • /
    • 2011
  • 본 연구는 효모 Kuyveromyces fragilis와 유산균 Streptococcus thermophiles, Lactobacillus bulgaricus의 starter를 유청 분말(대조구: A, 2%: B, 4%: C, 6%: D, 8%: E)이 첨가된 탈지분유에 혼합 접종하여 한국형 Koumiss를 제조하였다. 이 제품의 지방, 단백질, 유당, 적정산도, pH, 생균수, 알코올 함량, 휘발성 지방산, 휘발성 유리아미노산 및 무기물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유청 분말의 농도에 따라 지방 함량은 대조구 0.74%, B는 1.14%, C는 1.57%, D는 2.00%, E는 2.30%로 증가하였고, 단백질함량은 대조구 2.95%, B는 3.66%, C는 3.87%, D는 4.22%, E는 4.39%로 증가했으며, 유당 함량은 대조구 3.10%, B는 4.74%, C는 5.78%, D는 6.59%, E는 7.43%로 증가하였다. 농도에 따라 적정산도 및 pH도 점진적인 증가를 보였다. 유산균의 경우 유청 분말의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는데, 대조구는 $2.4{\times}10^9\;cfu/m{\ell}$, B는 $2.7{\times}10^9\;cfu/m{\ell}$, C는 $3.1{\times}10^9\;cfu/m{\ell}$, D는 $3.4{\times}10^9\;cfu/m{\ell}$, E는 $3.8{\times}10^9\;cfu/m{\ell}$로 검출 되었고, 효모수는 유청 분말의 농도에 따라 대조구는 $6.1{\times}10^7\;cfu/m{\ell}$, B는 $8.6{\times}10^7\;cfu/m{\ell}$, C는 $1.08{\times}10^8\;cfu/m{\ell}$, D는 $1.27{\times}10^8\;cfu/m{\ell}$, E는 $1.65{\times}10^8\;cfu/m{\ell}$로 역시 증가하였다. 알코올 함량은 대조구의 평균이 0.863%, B의 평균은 0.963%, C의 평균은 0.890%, D의 평균은 1.290%, E의 평균은 1.313%로 유청 분말의 농도가 높을수록 알코올 함량도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E에서 알코올 함량 평균 1.313%는 카자흐스탄 Koumiss의 알코올 함량 평균 1.08%보다 높게 나타났다. 유리아미노산은 모두 16종의 아미노산이 검출되었다. Glycine은 대조구에서 0.38 mg/$m{\ell}$로 E에서는 0.64 mg/$m{\ell}$로 유청 분말 농도에 따라 높아졌으며, histidine도 대조구가 0.42 mg/$m{\ell}$에서 E는 0.65 mg/$m{\ell}$로 높아졌다. 반면에 glutamic acid는 대조구가 4.13 mg/$m{\ell}$에서 E가 6.96 mg/$m{\ell}$로 함량이 높아졌으며, proline도 대조구가 1.71 mg/$m{\ell}$에서 E가 2.80 mg/$m{\ell}$로 높아졌다. Aspartic acid, leucine도 대조구보다 E가 더 많이 함유된 것으로 나타났다. 휘발성 유리지방산의 경우에서도 대조구와 B, C, D, E의 휘발성 유리지방산의 함량이 대체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고, 초산은 대조구의 함량이 $12,661{\mu}g/100 m{\ell}$이었고, E에서는 $37,140{\mu}g/100m{\ell}$로 증가하였다. 낙산은 대조구에서는 측정되지 않았고, E에서 $1,950{\mu}g/100m{\ell}$로 측정되었으며, 가프른산에서는 대조구가 $177{\mu}g/100m{\ell}$이었고, E에서는 $812{\mu}/100m{\ell}$로 함량이 증가하였다. 발레린산은 대조구에서 $22{\mu}g/100m{\ell}$로 미량 측정되었으나, 다른 시험구에서는 측정되지 않았다. 무기물 Ca, P, Mg, Na, K의 각각의 성분은 Ca의 경우 대조구가 1,042.38 ppm에서 E는 1,535.12 ppm으로, P의 경우 대조구가 863.61 ppm에서 E는 1,336.71 ppm으로, Mg의 경우 대조구가 101.28 ppm에서 E는 162.44 ppm으로, Na의 경우 대조구가 447.19 ppm에서 E는 1,001.57 ppm으로, K의 경우 대조구가 1,266.39 ppm에서 E는 2,613.93 ppm으로 유청 분말의 함량이 높을수록 무기물 또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는 유청 분말의 첨가가 많을수록 전반적으로 점수가 높음을 보여주었다. 풍미는 대조구가 6.3점으로 가장 낮았고, E는 8.2점으로 가장 높았다. 조직은 유청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가 4.2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외관은 시험구들 사이에 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Characterization of airag collected in Ulaanbaatar, Mongolia with emphasis on isolated lactic acid bacteria

  • Choi, Suk-Ho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8권3호
    • /
    • pp.10.1-10.10
    • /
    • 2016
  • Background: Airag, alcoholic sour-tasting beverage, has been traditionally prepared by Mongolian nomads who naturally ferment fresh mares' milk. Bi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compositions of airag samples collected in Ulaanbaatar, Mongolia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isolated lactic acid bacteria were investigated. Methods: Protein composition and biochemical composition were determined using sodium dodecyl sulfate-gel electrophoresis and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respectively. Lactic acid bacteria were identified based on nucleotide sequence of 16S rRNA gene. Carbohydrate fermentation, acid survival, bile resistance and acid production in skim milk culture were determined. Results: Equine whey proteins were present in airag samples more than caseins. The airag samples contained 0.10-3.36 % lactose, 1.44-2.33 % ethyl alcohol, 1.08-1.62 % lactic acid and 0.12-0.22 % acetic acid. Lactobacillus (L.) helveticus were major lactic acid bacteria consisting of 9 isolates among total 18 isolates of lactic acid bacteria. L. helveticus survived strongly in PBS, pH 3.0 but did not grow in MRS broth containing 0.1 % oxgall. A couple of L. helveticus isolates lowered pH of skim milk culture to less than 4.0 and produced acid up to more than 1.0 %. Conclusion: Highly variable biochemical compositions of the airag samples indicated inconsistent quality due to natural fermentation. Airag with low lactose content should be favorable for nutrition, considering that mares' milk with high lactose content has strong laxative effect. The isolates of L. helveticus which produced acid actively in skim milk culture might have a major role in production of airag.

시판 막걸리로 제조한 전통발효유 타락의 발효 특성 (Fermentation and Microbial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Milk, Tarak)

  • 정진경;고성희;오세욱;임지영;전태훈;김수아;명길선;장성식;허철성;한영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602-609
    • /
    • 2015
  • 한국 전통 발효유인 타락을 제조하기 위하여 4종의 시판 막걸리와 시판 우유를 사용한 '타락'을 제조하여 발효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관여 미생물을 분석하였다. 제조된 타락에서의 pH는 발효시간에 따라 유의적으로(P<0.001) 감소되어 pH 5.56~6.49를 나타내고 산도는 유의적으로(P<0.001) 증가하여 0.17~0.40%의 값을 나타내었다. 점도는 유청이 분리되기 전까지 유의적으로(P<0.001) 증가하였다. 당도는 유의적으로(P<0.001) 감소하였다. 에탄올 함량은 시간에 따라 증가하여 발효 24시간에 0.51~0.71 mg/mL를 나타내었다. 발효산물로는 주된 유기산이 lactic acid로 발효시간에 따라 점차 증가하여 발효 24시간에서는 모든 시료에서 전체 유기산 생성량의 80%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이외에 미량의 acetic acid, citric acid, succinic acid도 검출되었다. 발효와 더불어 검출된 주된 유리당은 lactose였고 소량의 glucose가 나타났다. 타락의 젖산균 수는 발효시간에 따라 증가하여 발효 24시간에는 9.87~10.41 log CFU/mL로 나타났으며 효모 수는 6.99~7.73 log CFU/mL였다. 타락에서의 분리된 균주는 효모인 Saccharomyces cerevisiae와 다양한 Pediococcus acidilactici, Lactobacillus fermentum, Leuconostoc mesenteroides 등의 다양한 젖산균이 나타났다. 따라서 타락은 효모와 젖산균이 공존하는 효모-젖산균 발효유임을 알 수 있었다.

알코올 발효유(醱酵乳)의 제조(製造)에 대(對)하여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Alcohol Fermented Milk)

  • 유진영;강통삼;민병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337-343
    • /
    • 1978
  • 우유(牛乳)의 이용도(利用度)를 다양화하기 위하여 새로운 발효유(醱酵乳)를 개발(開發)할 목적(目的)으로 몇가지 기초실험(基礎實驗)을 실시(實施)하고 알코올함량 및 산도(酸度)를 달리하여 8종(種)의 알코올발효유(醱酵乳)를 제조(製造)하고 관태검사(官態檢査)를 실시(實施)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산균(乳酸菌)은 4종(種)을 분리(分離)했고 그중 Y-2균주(菌株)가 산생성도(酸生成度)가 우수했고 모든 균주(菌株)는 우유배지보다 합성배지에서 산 생성도가 높았다. 2. 우유배지(牛乳培地)에 Y-2균주(菌株)를 접종(接種)하고 $30^{\circ}C$ 24시간(時間) 배양(培養)하면 pH는 6.2에서 5.2로 하강되며 배양중(培養中) Amino-N의 함량은 증감하였다. 3. K. fragilis 균주(菌株)를 우유배지에 접종(接種)하고 $30^{\circ}C$ 7일간(日間) 배양(培養)하면 pH는 6.2에서 5.2로 하강되며 Amino-N의 함량은 $0.12{\sim}0.27mg/ml$의 분포(分布)를 나타냈다. K. fragilis균주는 E-2, E-4 균주에 비해 알코올생성도(生成度)가 높았으며 각 균주(菌株)의 알코올생성도(生成度)는 우유배지(牛乳培地)와 합성배지(合成培地)에서 별 차이가 없었다. 4. 효모(酵母)를 접종배양(接種培養) 후 유산균(乳酸菌)을 접종(接種)하면 유산균(乳酸菌)의 증식(增殖) 및 산생성도(酸生成度)는 억제된다. 5. 효모와 유산균(乳酸菌)을 동시에 접종배양(接種培養)하면 일단 유산균의 산생성(酸生成)이 완료된후 알코올 생성(生成)이 급격히 증가되었다. 6.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알코올 1% 산(酸) 0.8%의 제품(製品)이 가장 기호도가 좋았다. 7. 일반분석(一般分析) 결과 최종제품(最終製品)의 성분(成分)은 회분, 단백질, 수분함량에서 우유쿠머스와 비슷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