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white gruel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19초

고아미 2호의 수침특성 및 마쇄 시간을 달리한 흰 죽의 품질 특성 (Soaking Proper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white Gruel with Different Blending Time of High-Dietary Fiber Rice'Goami 2')

  • 황인경;이지현;서한석;김수희;이정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6호통권90호
    • /
    • pp.927-935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고섬유소 품종인 고아미 2호의 수침 특성을 알아보고 이를 기반으로 흰죽의 제조 조건을 도출하여 기능성 식품으로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수침시 상온($20^{\circ}C$)에서 고아미 2호와 일품벼의 수분흡수율이 수침 1 시간까지는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p<0.01) 그 이후 더 이상 증가하지 않았다. 마쇄한 쌀의 입자분석을 한 결과 고아미 2호가 일품벼에 비해 마쇄가 용이함을 알 수 있었다. 흰죽을 제조하여 기계적인 특성을 분석한 결과 적색도(a), 황색도(b)는 고아미 2호로 제조한 흰죽이 일품벼로 제조한 흰죽에 비해 높았다. Bostwick consistometer로 측정시 고아미 2호로 제조한 흰죽이 일품벼로 제조한 흰죽에 비해 점조성이 높고 마쇄 시간을 증가할수록 점조성이 낮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마쇄 시간을 증가할수록 고아미 2호로 제조한 흰죽의 경우 물성특성이 증가되는 반면 일품벼로 제조한 흰죽은 물성 특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 평가 결과 고아미 2호를 20 초 마쇄할 경우 전반적인 수응도가 가장 높았으며 일품벼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고아미 2호로 취반한 경우 기능성은높으나 수응도가 낮은 경향이 있는데 위와 같은 죽의 형태로 제공한다면 장기적인 섭취를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농도와 온도에 따른 흰죽의 리올로지 특성 변화 (Changes in the Rheological Characteristics by Various Concentrations and Temperatures of Korean white Gruel)

  • 이창호;한억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552-556
    • /
    • 1995
  •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Korean white gruel at various concentrations (4-7%) and temperatures (30-60$^{\circ}C$) were investigated. The rheological behavior of Korean white gruel was evaluated by Herschel-Bulkley equation and showed typical Bingham psedoplastic behavior with yield stress. Flow behavior index was increased at over 5% of rice content. Consistency index was increased by the increase of concentration of rice. But, measuring temperature was not effected in the flow behavior index and consistency index. Yield stress was increased by the incerase of concentration of rice and the decrease of measuring temperature. The activation energy of flow of Korean gruel increased from 7.646 to 32.949${\times}$10/Sup 6/ J/Kg$.$ mole by increasing concentration from 4% to 7%.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from 30$^{\circ}C$ to 60$^{\circ}C$, B-value decresed from 1.214 to 0.947 Flow behavior index and consistency index was reduced during storage.

  • PDF

목이버섯과 흑미를 첨가한 즉석죽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Instant Gruel containing Ear Mushroom and Black Rice)

  • 최소라;유영진;안민실;송은주;서상영;최민경;송영은;한현아;소순영;이기권;송영주;김정곤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428-435
    • /
    • 2015
  • 본 연구는 국내 재배면적이 확대되고 있는 목이버섯의 부가가치 향상과 소비량 확대를 위해 팽화기술을 접목한 목이버섯 즉석죽을 제조하고, 품질특성을 조사하여 실버층에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제품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백미와 흑미를 75~100%와 25~0%로 혼합한 후 비타민 $D_2$와 식이섬유 함량이 높은 건목이버섯을 0~4%로 첨가하여 호화도, 영양성분, 항산화성 및 관능 등을 조사하였다. 즉석죽 분말의 호화도는 건목이버섯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흑미 첨가량이 감소할수록 최고점도와 유지강도, 강하점도, 최종점도, 노화점도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백미 80%와 흑미 20%를 혼합한 후 건목이 버섯 3%를 첨가한 즉석죽은 비타민 $D_2$ $18.53{\mu}g/100g$, 식이섬유 3.73 g/100 g이 함유되어 있어 뼈의 형성과 유지와 배변 활동 촉진 효과가 기대되었다. 또한 DPPH free radical 소거능도 56.79%로 나타나, 항산화성이 높아 실버층의 건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본 실험 결과, 목이버섯은 기능성 가공제품 개발의 소재로서 사용가치가 매우 높아 실버층뿐 아니라, 다양한 연령층에 적합한 가공제품 생산에 응용가능하리라 생각된다.

당, 소금 및 부재료 첨가에 따른 흰죽의 리올리지 특성변화 (Changes in the Rhe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White Gruel by the Addition of Sucrose, Sodium Chloride and Minor Food Materials)

  • 이창호;한억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548-551
    • /
    • 1995
  • The effects of sucrose, sodium chloride, and minor food materials on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Korean white gruel were investigated. As concentrations of sucrose and sodium chloride was increased, the yield stress was increased from 0.562 to 0.841, respectively. The pumpkin and snail drastically increased yield stress, but red bean showed no significant effect.

  • PDF

문헌(文獻)속에 나타난 죽(粥)의 분석적(分析的) 고찰(考察) (Analytical Study of Jook(Korean gruel) Appeared in the Books)

  • 신혜승;조은자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609-619
    • /
    • 1996
  • In this study, the alteration of Jook was studied by analyzing and comparing ingredients of Jook appeared in the reference of cookbooks from 1611 to 1958. 121 kinds of Jooks were mentioned 371 times. The Jooks made only with grains, mostly Hin Jook (white Gruel) made of rice, were recorded 31 times in 10 kinds. Rice or processed rice appeared most (194 times) as main ingredients in Jooks other than Hin Jook. As for condiments, honey and sugar were mentioned 37 times, accounting for one third of the condiments recorded as used for Jooks. The basic ingredient of Jooks were rice, but mostly the Jooks were named after the subsidiary materials. Chinese medicinal ingredients were most among the subsidiary materials; 35 kinds of them were mentioned 73 times. As regards the ingredients of the Jook, the other ingredients were added to the grain ingredients between the 17th century and the 19th century whereas only grains were put into Jook during the 20th century.

  • PDF

서울, 경남지역 승가(僧家)의 식생활(食生活)에 관한 조사연구 -II. 주식(主食)과 부식(副食) 중심으로- (A study on eating habits of the Buddhist Priesthood in Seoul and Kyongnam -II. Staple food and side dish-)

  • 조은자;박선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67-275
    • /
    • 1994
  • 1. 주식 밥은 쌀, 찹쌀만으로 짓는 흰쌀밥, 기름찰밥이 대부분이었고, 그외의 밥의 주재료는 쌀이었고, 부재료는 잡곡, 두류, 야채, 산채, 견과류 등을 사용하였다. 찹쌀을 주재료로 하는 경우에는 대부분이 찌는 법을 사용하였고, 조미료로는 흰쌀밥을 제외한 거의 모든 종류의 밥에는 소금을 기본으로 이용하였다. 죽은 쌀을 주재료로 한 흰죽이 가장 많았고, 부재료는 유종실류, 한방재료류, 우유등을 이용하여 왼죽상태로 끓이는 것이 특이하였다. 국수는 건국수보다는 손국수의 형태가 많았고, 주재료는 밀가루가, 부재료는 콩가루, 메밀가루, 수수가루, 찹쌀가루등이 사용되었으며, 국수 마는 국물에는 표고버섯, 다시마 이외에 들깨, 참깨, 잣, 호도, 가죽나물 등이 이용되었다. 수제비는 밀가루를 주로 이용한 밀수제비가 대부분 이었고, 찹쌀 새알심 반죽에는 쪽을 넣어 이용하는 경우도 있었으며, 국물맛은 다시마, 표고버섯외에 가죽나물을 사용하여 특이한 맛을 내었다. 2. 부식 찌게보다 국이 3배 정도 많이 이용되었고, 주재료로 국에는 엽경채류가, 찌게에는 열매채소가 주로 사용되었다. 국물맛은 간장과 된장이, 양념은 고추가루, 마늘, 파와 참기름이, 농후제로는 들깨가루가 가장 많이 이용되었다. 조림의 주재료로는 근채류가 대부분이었고, 조리법은 기름에 튀기거나 볶아서 간장, 설탕, 물엿으로 조리는 방법이었고, 찜은 각종채소와 산채류를 국물에 익혀 들깨가루, 찹쌀가루를 섞어 농후하게 하는 방법이었다. 생채, 나물, 볶음에는 엽경채류와 산채류가 주재료로 사용되었고, 조리법으로는 삶거나 데쳐서 무치는 방법이 많았다. 볶음, 나물에는 간장, 소금을, 산채류에는 된장, 고추장을 기본 간으로 하고 있었다. 생채와 나물에는 참기름이, 볶음에는 들기름과 식용유가 주로 이용되었고, 양념에는 마늘, 파 이외에 인공조미료도 이용되고 있었다. 전(튀김)에는 엽경채류와 근채류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버섯, 더덕, 도라지, 우엉, 마등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전처리한 후에 구이에 사용되었고, 사용되는 기름은 거의 모두 시판 식용유였다. 쌈의 재료는 상치가 가장 많았고, 방장은 된장, 고추장, 막장외에 멸치젓갈도 사용하였다. 회에는 생표고버섯이, 묵의 재료로는 도토리, 메밀, 녹두, 동부등이 주로 사용되었고, 조리법으로는 양념장을 뿌려서 먹는 법외에 묵볶음, 묵장아찌, 묵구이, 묵전등 매우 다양하였다.

  • PDF

Strategies to Reduce Phytate Content in the Korean Diet

  • Lee, Jee-Min;Li, Sun-Hee;Joung, Hyo-Jee;Paik, Hee-Yo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4권1호
    • /
    • pp.25-34
    • /
    • 2003
  • High dietary phytate is a known factor in reducing the bioavailability of minerals such as zinc and calcium which are already chronically low in the Korean die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methods for reducing dietary phytate through the addition of phytate and/or the substitution of high phytate foods with low phytate foods. Ten units of phytase per 100g of uncooked brown rice were added to brown rice gruel resulted in a 16.2% phytate reduction after a 3-hour incubation period; an 18.2% reduction was produced after a 6-hour incubation period. The addition of ten units of phytase per 100g of soybean curd residue at 45$^{\circ}C$, followed by refrigeration for 3 hours, resulted in a 19.1% phytate reduction. The addition of 20 units of phytase under the same conditions reduced phytate content by 24.6%. In this study, two typical Korean meals consisting of legumes and unrefined cereals were prepared as high phytate meals; these were then compared to low phytate meals that had been prepared by treating the foods with phytase and substituting unrefined with refined cereals (i.e., brown rice with white rice, whole wheat bread with white bread). The phytate content of the two high phytate meals was 1878.2mg and 1811.8mg. After the addition of phytase and the food substitution, the phytate content of the low phytate meals was reduced to 788.9mg and 606.0mg. The phytate to zinc molar ratio of high phytate diets was 22.4 and 21.3 and 9.4 and 7.9 for the low phytate meal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nutritional status of Koreans in terms zinc and other minerals can be improved by phytate reduction. This can be accomplished through the change of milling process for some cereals and/or the enzyme treatment of some high phytate food items.

우리나라 사슴고기와 노루고기 조리법(調理法)의 역사적(歷史的) 고료(考寮) (The Historycnl Study of Deer and Roe Deer Cooking in Korea)

  • 김태홍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75-287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various kinds of recipes of deer and roe deer through classical cookbooks written from 1670 to 1943. The recipes of deer and roe deer are found 31 times in the literature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from 1715 to the mid-l8th century, which can be classified six groups. Their records are less than other recipes such as beef, chicken, pork, lamb, and dog, but the deer recipe is recorded frequently as four times as the roe deer one The deer were cooked and preserved by the following six ways like large-size drying, drying, boiling, soup, roasting, and gruel, while three ones such as boiling, roasting, and drying were applied to the roe deer. However, there is little difference in recipes between deer and roe deer. In case of deer, boiling and drying were the most popular ones with the frequency of 28%. But the recipes of the roe deer, boiling, roasting, and drying are recorded with the same frequency of 33.3%. The recipes were introduced from China, and had many characteristics different from other kinds of meat, of which most process reflected the mordern cooking scientific aspect. The main ingredients were flesh meat, tail, and tongue and horn was used with uniqueness. Salt, vinegar, oil soy sauce, and the white part of the green onion were used as main seasonings. Alcohol, chuncho, sesame flower powder, and cinnamon powder are frequently added.

  • PDF

골감소증을 동반한 지속성 복막투석환자의 다빈도섭취 음식조사 및 골밀도 개선을 위한 레시피 개발 (Frequently Consumed Dishes and Development of Recipes to Improve Bone Mineral densities in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with Osteopenia)

  • 박진경;손숙미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2권4호
    • /
    • pp.411-431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frequently consumed dish consumption frequencies of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CAPD) patients with osteopenia and develop recipes to improve bone mineral density of CAPD. The subjects were 96 CAPD patients with osteopenia(male 39, female 57) (osteopenia group) and 45 CAPD patients with normal BMD(male 24, female 21), matched with key variables(normal group). Fifty dishes(foods) that most frequently consumed were determined and food consumption frequency for each dish(food) for two groups were compared. Osteopenia group showed lower consumption frequency for ice-cream but higher frequency in apple. Of the 50 most frequently consumed dishes(foods), 20 dishes assessed as safe and recommendable for CAPD patients with osteopenia based on the contents of protein and mineral were selected : white boiled rice, white gruel, beef soup, steamed cabbage, roasted dried laver, fried egg, roasted bean-curd, cooked and seasoned bean sprouts, corn-starch jelly, cheese, ice-cream, orange juice, apple, grape, peach, peanut, raw lettuce, raw cucumber, and injulmi rice cake. wenty eight new dishes with modified recipes were developed for CAPD patients. Protein and mineral contents were analyzed for frequently consumed 17 dishes, assessed as modification of recipes are needed. The recipes were modified to decrease P, Na and K contents and to increase protein and Ca contents. Twenty dishes(foods) selected as having reasonable protein and mineral contents ratio or 28 newly developed dishes modified with protein and mineral contents or ratio would be helpful for nutrition education or counseling for CAPD patients with osteopenia. Dishes(foods) suggested in this study would also be useful for all CAPD patients for preventing osteoporosis.

  • PDF

깨의 함량과 전처리에 따른 깨죽과 흑임자죽의 기호도 연구 (Sensory Characteristics of White and Black Sesame Gruels with Different Mixing Ratio and Decortication)

  • 김진숙;손정우;염초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547-556
    • /
    • 1996
  • 본 연구는 옛부터 전통죽으로 가치가 높은 깨죽과 흑임자죽의 최적의 조리조건과 방법을 알아내고자 관능검사와 기계적 검사를 위주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깨죽과 흑임자죽의 관능검사 결과, 깨함량이 150> 200>100>50%인 시료구의 순위로 점도, 고소한 맛과 전체적인 기호도가 감소하였다. 거피깨죽과 거피흑임자죽은 깨죽과 혹임자죽보다 풍미, 고소한 맛, 전 체적 선호도 등의 관능적 특성이 우수하였다. 깨 볶는 시간이 7, 3, 0(날깨)분인 순위로 색, 고소한 맛, 쓴맛 및 전체적 인 기호도가 좋았다. 이상으로 참깨와 혹임자 는 전처리과정을 거친후 각각 7분간 볶아 쌀 100 g당 거피한 깨 150 g, 물 1075 g의 재료배합으로 죽을 제조 할 때 가장 높은 기호를 나타난 것으로 평가되었다. 기계적 검사에서의 점도는 깨함량이 증가할수록, 볶음공정을 거친 시료구일수록 높아지는 경향이었으 며 색도에 있어서는 깨함량이 많을수록, 볶는 시간이 증가할수록 명도인 L값이 낮아지는 반면에 적색도인 a값과 황색도인 b값은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또한 거피한 깨로 제조한 죽은 그렇지 않은 시료구에 비해 L 값이 높았다 관능적 특성과 기계적 특성간의 상관관계를 볼 때 깨죽과 거피깨죽의 관능적 특성중에서 전체적인 기호 도는 풍미, 고소한 맛과는 p < .001 수준에서, 관능적 특성인 요소인 색은 Hunter color value인 a값과는 p < .05 수준에서, b값과는 p<.001수준에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흑임자죽과 거피흑임자죽의 전체적인 기호도는 관능적 요소인 풍미, 고소한 맛과 동시에 기계적 검사의 색도 치인 a와 b값과도 p<.01에서 유의 적인 정의 상관관계였으나 L값과는 p<.01에서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거피깨죽과 거피흑임자죽이 깨죽과 흑임자죽보다 회분, 전당, 조섬유 등의 함량이 적은 반면에 수분, 단백질, 지방 등의 함량은 많았다. 거피깨죽과 깨죽의 지방산 조성은 Linoleic > 01eic > Palmitic > Stearic > Myris-tic > Arachinic > Linolenic acid 순으로 낮게 분포되었으며 깨죽의 필수지방산은 42.53%, 거피깨죽은 43.67%로 높은 함유량을 보였다. 거피흑임자죽과 흑임자죽의 지 방산 조성도 이와 같은 경향이었으나 Myristic acid와 Stearic acid의 조성 순위 만이 달랐으며 필수지방산에 있어 흑임자죽과 거피흑임자죽은 각각 41.92%, 44.92% 로 거피흑임자죽이 약 3% 많았다. 이상으로 깨 종피를 제거함으로써 조회분, 조섬유 등이 손실되었으나 단백질, 지방 등의 영양성분이 상대적으로 많아졌고, 종피 속에 함유된 무기질의 유독 성분도 함께 제거되었으므로 일부 연구결과와 같은 경향이었다. 또한 죽은 소화흡수에 좋고 필수지방산 이 많은 참깨와 흑임자를 첨가하였으므로 맛과 영양이 크게 증진되어 현대인의 식품선택 요구에 맞는 건강식, 기호식 , 간편식, 치료식 등으로 가치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