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wave attitude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24초

엔터테인먼트상품의 성공으로 인한 한류열풍이 한국제품의 이미지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일본시장을 중심으로- (An Influence on Image and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Product of the Korean Wave Storm by Success of Entertainment Product -Focused on Japanese Market-)

  • 배일현;김장현
    • 국제지역연구
    • /
    • 제12권2호
    • /
    • pp.175-201
    • /
    • 2008
  • 본 연구는 엔터테인먼트제품의 성공으로 인한 한류열풍이 한국제품의 이미지와 태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할 목적으로 일본소비자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는데, 연구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류에 대한 태도는 한국제품에 대한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류에 대한 태도는 한국제품에 대한 태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제품에 대한 이미지는 한국제품에 대한 태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한국제품에 대한 이미지는 한국제품의 구매의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한국제품에 대한 태도는 한국제품에 대한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류를 이용하여 일본시장을 공략하려는 기업, 정부, 지방자치단체 등에게 유용할 것이다.

우즈베키스탄 시장에서의 한류열풍이 한국제품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An Influence on Attitude of Korean Product of the Korean Wave Storm in Uzbekistan Market)

  • 배일현;김장현
    • 국제지역연구
    • /
    • 제16권1호
    • /
    • pp.175-195
    • /
    • 2012
  • 본 연구는 한류열풍이 전 세계에서 불고 있음에도 기존의 연구가 중국과 일본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지적하며 연구범위를 이슬람국가인 중앙아시아의 우즈베키스탄으로 확장하였다. 우즈베키스탄의 수도인 타슈켄트에 거주하는 소비자 285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하였으며, 중앙아시아에 진출하려는 엔터테인먼트 기업은 물론 소비재기업에게 유의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해 연구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각 변수들 즉, 한류에 대한 지각, 자아 일치성, 한국 엔터테인먼트 제품에 대한 태도, 한국 소비재제품에 대한 태도 간의 관계는 유의적으로 나타나다. 한편, 한류지각이 소비재제품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서 엔터테인먼트 제품에 대한 태도와 자아 일치성이 모두 매개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울러 자아 일치성이 소비재제품태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엔터테인먼트 제품에 대한 태도가 매개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한국엔터테인먼트 제품에 대한 태도를 호의적으로 만들기 위해 자아 일치성과 한국 엔터테인먼트 제품에 대한 태도를 이용한 전략이 유효함을 실증적으로 밝히고 있다. 본 연구는 한류에 관하여 우즈베키스탄 소비자를 대상으로 실증분석한 최초의 연구인 관계로 한류를 이용하여 중앙아시아 시장을 공략하는데 있어서 많은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The Effects of Thai Consumers' Attitudes of Korean-Wave on the Visit Intentions of Korean Restaurants-Focusing on the Mediation Effects of Perceived Consumption Value of Restaurant

  • Anuntapong, Napol;Kim, Hyung-Jun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2권4호
    • /
    • pp.1-12
    • /
    • 2021
  • Purpose - This study is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Thai consumers' attitude toward Korean Wave with the visit intention of Korean restaurants and a mediation effect of consumption value of Korean restaurants. Design/Methodology/Approach -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of 245 Thai consumers and the hypotheses presented were verified by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s. Findings -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attractiveness and favorableness of Thai consumers for K-Wave, the higher the intention to visit Korean restaurants, and the Korean Wave attitude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functional and symbolic values of Korean restaurants. In particular, the important result that can be presented in this study is that the better the attitude toward K-Wave, the higher the consumption value (functional/symbolic value) of Korean restaurants and the symbolic value plays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of the attitude of K-Wave and visiting intention, while the effect of functional value is not verified. Research Implication or Originality - These results means that in order to lead Thai consumers to a Korean restaurant using K-Wave, a strategy to make Thai ones perceive symbolic value of a Korean restaurant higher would be more effective. The main strategic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a high-end positioning strategy with a high symbolism, which make Korean restaurant as a suitable place as a means to show off one's value (or self) or as a means to show off one's social status (or role) to Thai consumers, will be relatively effective.

Country Image and Product Attitude: An Estimation of Switching Costs for the Korean Wave

  • Shen, Yan;Kwak, Ro-Sung
    • Journal of Korea Trade
    • /
    • 제23권8호
    • /
    • pp.45-72
    • /
    • 2019
  • Purpose -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 of switching costs (economic risk costs and setup costs) on the relationships of country image with product attitude and product attachment. Switching-cost effects for the Korean Wave, which are insufficiently addressed in the literature, were investigated using the country image of Korea as a proxy for the Korean Wave. Moreover, this study examined the economic effects of the Korean Wave and the negative effect of the Terminal High Altitude Area Defense (THAAD) deployment on these economic effects. Design/methodology - A total of 302 Chinese consumers were surveyed using a questionnaire. Because this was an exploratory study and was not based on a classical model, the PLS-SEM method was employed to test the stability of the model and its hypotheses. Findings - Switching costs had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s of country image with product attitude and product attachment. The switching-cost effects for the Korean Wave were verified. However, neither the economic image nor cultural image of Korea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economic risk costs. Moreover, the economic image of Korea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set-up costs. Originality/value - This study broadened the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s among country image, switching costs, product attitude, and product attachment and advanced the knowledge of relevant theories. The results contribute theoretically to the literature on switching-cost effects for the Korean Wave. The results confirmed the negative effect of THAAD deployment on the economic effects of the Korean Wave. In the rapidly developing international environment, these research results could serve as theoretical reference guidelines for suppliers when developing marketing strategies.

한류브랜드의 세계성과 지역성이 베트남 소비자들의 한국제품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화장품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Korean Wave Brand's Globalness and Localness on Vietnamese Consumers' Attitude toward Korean Products and Purchase Intention: Focussing on Cosmetics)

  • 이혜리;채명수
    • 국제지역연구
    • /
    • 제22권1호
    • /
    • pp.161-187
    • /
    • 2018
  • 본 연구는 베트남 소비자들이 한류브랜드를 어떻게 지각하느냐에 따라 한국 제품에 대한 소비자 태도와 구매하고자 하는 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기존연구를 바탕으로 한류의 관점에서 지각된 한류브랜드의 세계성과 지역성의 두 가지 하위개념으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베트남 현지 조사기관과 기존연구에서 조사된 바와 같이 한국화장품이 한국과 한류를 가장 잘 반영한다는 점에서 한국화장품을 대표적인 한국제품으로 선정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베트남 소비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한 결과, 총 212부가 유효 표본으로 선정되었다. 분석 결과 베트남 소비자들이 지각하는 한류브랜드의 세계성과 지역성 모두 한국제품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이러한 제품에 대한 호의적인 태도는 한국제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대 중국 여성들의 패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의복 구매행동과 한류 및 한국 패션에 대한 태도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and Attitude toward the Korean Wave and Korean Fashion according to the Fashion Lifestyle of Chinese Women in their 20s)

  • 박혜선;해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6권7호
    • /
    • pp.690-702
    • /
    • 2012
  • This study examined the fashion lifestyle of Chinese women in their 20s and analyzed the purchasing behavior of clothing and attitudes toward the Korean image, Korean Wave, Korean fashion, and preference for Korean fashion brands according to a fashion lifestyle.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1) Fashion lifestyle was comprised of factors for the pursuit of personality, pursuit of aesthetic, pursuit of brand, and pursuit of economy. The cluster analysis classified them into groups of: Economy/Personality Oriented, Aesthetic/Brand Oriented, and Fashion-Indifferent. 2) Information source and store patronage were different among the three consumer groups. 3) Attitude toward the Korean image, Korean Wave, Korean fashion, and preference for Korean fashion brands were different among the three consumer groups.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or information for fashion companies that are developing marketing strategies for Chinese women in their 20s.

한류 영상 콘텐츠의 시청동기가 시청태도, 한국에 대한 국가 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 영상 플랫폼 'bilibili'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Viewing Motivation of the Korean Wave Video Content on Viewing Attitude, National Image of Korea, and Behavioral Intention: Focused on the Chinese Online Video Platform, 'bilibili')

  • 왕이민;배소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762-772
    • /
    • 2021
  • 본 연구는 중국 영상 플랫폼 'bilibili' 이용자의 한류 영상 시청동기가 시청태도, 한국에 대한 국가 이미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총 355부의 유효데이터를 수집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제시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먼저 시청동기 중 오락, 정보습득, 사회관계, 대리만족은 시청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실시간 토론은 시청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청태도가 한국의 국가 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국가 이미지는 방문의도와 구전의도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중국의 영상 플랫폼에서 다루어지는 한류 영상 콘텐츠를 중심으로, 중국의 주요 문화산업인 플랫폼산업과 한국문화, 한국관광을 함께 다루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실무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한류 콘텐츠가 베트남 소비자의 한국화장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Korean Wave Contents on Vietnames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Cosmetics)

  • 찬티바오엔;김원겸;안영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145-153
    • /
    • 2020
  • 한류문화의 확산과 더불어 한류 콘텐츠의 효과와 제품구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초창기 한류는 K-Pop과 K-Drama를 중심으로 시작되었으나 현재는 그 범위가 확장되어 다양한 콘텐츠를 포함하고 있는데, 최근 베트남에서는 K-Sport와 K-SNS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베트남의 한국화장품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국화장품에 대한 제품이미지 및 태도, 구매의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검정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한류 콘텐츠 요인 중 K-Pop, K-Drama, K-SNS는 제품이미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K-Sport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화장품 제품이미지는 제품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제품태도는 한국화장품 구매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베트남 화장품시장에서 한류 콘텐츠를 선택적으로 활용해 제품이미지 제고를 위한 촉진활동을 한다면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효과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e Effect of the Korean Wave Phenomenon toward Imitation Intention: Korean Product Purchase Intention in the Global Market

  • Robetmi Jumpakita Pinem;Kim TaeIn
    • Journal of Korea Trade
    • /
    • 제27권4호
    • /
    • pp.45-60
    • /
    • 2023
  • Purpose - This research focused on women who enjoy watching Korean dramas and K-pop, as well as how their desire to imitate are influenced by their viewing habits. Due to the influence of their idols, women who aspire to copy and are influenced by their idols will desire to purchase Korean products. This cultural export strategy has effectively persuaded the global community, particularly women. Indonesia with a large population can be a reference for the industry to increase sales of South Korean beauty products, especially in the ASEAN region. Design/methodology - This research used a quantitative approach with an online questionnaire. This questionnaire had two steps: the pre-questionnaire and the questionnaire itself. The different measuring tools that were already in use when the data were being collected helped to determine how much each variable meant. As a part of this research project, 410 Indonesian women filled out the questionnaire in order to share their thoughts as they were the focus of the study. SMART PLS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Findings - One of the most essential findings from establishing the Korean Wav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was the imitation intention variable. Someone who has the aspiration to be just like their idol will be willing to give anything in order to achieve that goal. One strategy is to buy things that are similar to the ones you want to imitate in order to stimulate demand for Korean products. People's imitation intention and attitude toward Korean products will increase as a result of Korean drama and K-pop elements that display one's idols with fashionable appearances and good-looking faces, which will lead to purchase intentions. Originality/value - The Korean Wave has had a beneficial impact on the intention to imitate and the attitude toward Korean items, both of which will favorably boost the intention to acquire Korean goods. In order to boost sales in international markets, particularly in Indonesia, the Korean business sector needs to increase the number of artists and singers it employs for product promotion. . Mutualism effect between the government, the entertainment industry, and the beauty product industry to increase sales of South Korean beauty products.

광고 메시지 프레이밍이 중국인의 성격 특성에 따라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류 디지털 콘텐츠 제작을 위한 적용 가능성을 중심으로 (Effects of Ad Message Framing By Chinese Personal Traits: Based Upon Applicability to Producing Digital Contents Reflecting Korean Wave)

  • 상천서;이종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83-91
    • /
    • 2021
  • 이 연구는 중국에서 한류를 반영한 디지털 컨텐츠 개발 가이드라인을 구축하기 위해 메시지 프레이밍에 관한 효과(광고태도와 브랜드태도)를 중국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긍정메시지 프레이밍에서는 성격 특성상 신경증이 낮은 남부인들이 신경증이 높은 북부인들보다 더 큰 광고효과를 보이는 반면에 부정메시지 프레이밍에서는 반대로 신경증이 높은 북부인들로부터의 광고효과가 더 큰 것으로 예상된다. 가설 검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은 중국에서 개인적 성격 특성을 반영하는 거주 지역의 차이에 따른 한류 디지털 컨텐츠, 예를 들면 한국의 중국대상 아웃바운드 광고제작 과정 등에 있어 긍정메시지와 부정메시지와 같은 전체적인 톤앤매너(tone and manner)를 결정하는 이론적 토대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