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traditional restaurants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18초

Analysis of American Consumer Interest in Bulgogi: Application of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n the U.S. Market

  • Lee, Min-A;Park, So-Hyu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5권4호
    • /
    • pp.348-355
    • /
    • 2010
  • This study use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different attributes of Bulgogi to investigate Americans' interest in this food.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determine the potential of expanding its consumption in the American foodservice market.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200 diners in Korean restaurants located in New York, U.S.A. from July 13 to Oct 8, 2009. A total of 172 copies were returned and analyzed in this study.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SPSS 17.0. Of the total subjects, 74.4% were already familiar with Bulgogi and 69.2% had at least one experience trying it. Targeting the respondents who had eaten Bulgogi, preference and satisfaction toward the dish, as well as the intention to repurchase and recommend it to others, were examined, and scores were found to be very high at 4.53, 4.46, 4.26, and 4.47 points, respectively, on a 5-point scale. According to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the top five Bulgogi attributes in importance were taste, freshness, flavor, tenderness, and juiciness, and those for performance were freshness, flavor, taste, tender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However, sweetness and saltiness showed relatively lower performance and ease of purchase was noted as an attribute needing improvement. Therefore, American consumers' needs for Bulgogi should be met by enhancing its flavor, while maintaining the traditional taste, as well as by supplementing the channels providing Bulgogi.

주한 독일인의 한국 음식에 대한 인식 및 기호도 조사 (A Survey on the Knowledge and Preferences for Korean Food Targeting Germans Residing in Korea)

  • 장정자;정희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1-14
    • /
    • 2011
  • 본 연구는 한국에 6개월 이상 거주하고 있는 독일인들을 대상으로 한국의 음식에 대한 관심 및 인식을 조사하여 향후 한국음식의 세계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독일인의 식습관에 대한 분석 결과에서는 전체적으로 한국 내에서 일상적으로 선호하는 음식이 한식과 자국 음식인 독일식으로 나타났고, 사회활동이 많은 남성이 여성에 비해 다양한 한국음식을 접할 기회가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국음식의 직접조리현황에 있어서는 응답자의 대부분이 거의 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한국음식을 직접 조리하지 않는 이유로는 복잡한 조리방법과 레시피의 이해부족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한국음식의 세계화를 위해서는 레시피의 간편화, 표준화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독일인의 외식습관에 따른 한국 음식의 선호도 분석 결과는 위치적으로 식당 밀집 지역이나 도보로 갈 수 있는 곳 등이 가장 많았으며, 분위기적인 측면으로서는 조용한 분위기나 우아한 분위기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음식이 독일인, 더 넘어서 유럽인의 입맛을 사로잡기 위해서는 외국인을 위한 한국음식교육 및 적용 가능한 레서피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 PDF

관광 기념품용 앞치마 디자인 개발 - 전주막걸리연구센터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pron Design for Cultural Tourism Souvenirs - Focused on Jeonju Makgeolli Research Center -)

  • 김주연;이효진;양아랑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1161-1172
    • /
    • 2012
  • The recent trend in tourism souvenirs has shifted from traditional products to modern, practical, and budget oriented products. As a result, tourism souvenirs that meet the changing demands of consumers need to be studied and developed. Aprons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accessories worn for housework, and are also an important part of uniforms worn at restaurants and hotels. As a result, aprons typify the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 practical products that meet the needs of modern consumers.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tourism souvenirs targeting tourists that seek Jeonju Makgeolli is expected to bring substantial social and economic benefit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designs for aprons for promotional and tourism souvenirs for the Jeonju Makgeolli Research Center. Th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with a survey on design preferences of aprons, design proposals, production of actual aprons, and selection of the final design. The study is empirical in nature and realistic in scope since it is anticipated that the trial and manufacture of aprons will be commercialized as tourism souvenirs. It is expected that aprons, which can be produced at low cost, will meet the needs of recent consumers who prefer elegant, modern, and practical goods as compared to simple and bland folk crafts or traditional products. More studies and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designs of aprons as tourism souvenirs is expected to be conducted based on this study.

쾌락적 가치와 실용적 가치가 소비감정과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Hedonic and Utilitarian Values on Consumption Emotions and Customer Satisfaction)

  • 송자현;김현정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180-191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지각된 가치(쾌락적 가치, 실용적 가치)가 소비감정과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나아가 각 개념들의 측정변수 사이에 내재한 관계를 파악하는데 있다. 연구 자료는 최근 한 달간 아시아 레스토랑을 방문한 경험이 있는 미국인들을 대상으로 수집하였으며, 총 435개의 자료를 가지고 기술통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쾌락적 가치와 실용적 가치 모두 긍정적 감정과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실용적 가치만이 부정적 감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측정변수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쾌락적 가치인 전통음악, 전통음식, 레스토랑 배치가 긍정적 감정에 영향을 미쳤으며, 인테리어 디자인은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실용적 가치인 음식의 맛과 건강한 음식종류는 긍정적 감정과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쳤으며, 음식의 맛만이 부정적 감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대한 실무적 시시점을 결론에 제시하였다.

EMTDC를 이용한 IGBT Dimmer 시뮬레이션 (Simulation of IGBT Dimmer Using EMTDC)

  • 김보경;박민원;성기철;유인근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전력기술부문
    • /
    • pp.194-196
    • /
    • 2001
  • Light dimming is based on adjusting the voltage which gets to the lamp. Light dimming has been possible for many decades by using adjustable power resistors and adjustable transformers. The power electronics have proceeded quietly since 1960. Between 1960-1970 thyristors and triacs came to market. Using those components it was quite easy to make small and inexpensive light dimmers which have goof efficiency. This type of electronic light dimmers became available after 1970 and are nowadays used in very many locations like homes, restaurants, conference rooms and in stage lighting. But the problem of thyristor dimmer have been that it has poor efficiency and voltage drop. Recently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control is a new way to do light dimming for improving this problems. IGBT dimmer has many other advantages over traditional thyristor dimmer there are no huge current spikes and EMI caused by turn on Using IGBT it is possible to make the turn-off rate relatively slot to achieve quite operations in terms of EMI and acoustical or incandescent lamp filament noise. For the development of IGBT dimmer. This paper shows the effects of IGBT dimmer compared with thyristor dimmer through a simulation using EMTDC.

  • PDF

향토음식점 이용고객의 구전정보 이용 특성 분석: 전북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se of Word-of-Mouth(WOM) Information in the Customers of Korean Local Food Restaurants: Focused on Jeonbuk Area)

  • 김철호;차진아;최미경;정현영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0-32
    • /
    • 2011
  • 본 연구는 향토음식점에 대한 구전정보에 대한 고객행동을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설문조사는 전북지역 거주자 500명을 대상으로 총 455부(회수율 91.0%)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향토음식점에 대한 구전정보 중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는 정보원에 있어서는 '직접 경험해 본 주위사람들의 추천'$(M=3.57{\pm}1.24$)과 '주변사람들을 통한 구전'($M=3.52{\pm}1.20$)이 높게 나타났고, 향토음식점에 대한 구전정보를 구할 때 소비자들이 중요시하는 속성에 대해 분석한 결과에서는 '음식의 맛'($M=4.16{\pm}1.15$), '음식점의 종사원 서비스'($M=3.79{\pm}1.11$)를 가장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토음식점을 주위사람들에게 추천을 하는 동기에 대해 분석한 결과 '맛, 영양, 품질 모두 현지에서만이 유지할 수 있으므로'($M=3.53{\pm}1.10$)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향토음식을 통해 지역 방문 기약을 오래도록 남기기 위하여'($M=3.52{\pm}1.03$), '향토음식을 구전을 통해 적극적으로 알릴 필요가 있으므로'($M=3.51{\pm}1.06$)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비자의 향토음식점에 대한 추천이 음식 자체의 품질과 방문지역의 특성에 있음 보여준다. 연구결과 향토음식점에 대한 고객행동에 있어 구전정보의 중요성을 시사해 주고 있다.

  • PDF

경영자의 인적자원관리에 따른 고객만족, 고객충성도 그리고 재무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식당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an Executive's Human Resources Management, Customer Satisfaction, Customer Loyalty, and Financial Performance: Focusing on Korean Traditional Restaurants)

  • 이보순;김기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6-41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한식당 경영자의 인적자원관리수행 수준에 따라서 고객만족(제품만족, 서비스만족)과 고객충성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고객만족이 고객충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고객충성도와 재무성과 간의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 살펴보고, 경영자의 인적자원관리와 재무성과 간의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조사기간은 2012년 1월 2일부터 1월 17일까지 15일 동안 점심시간과 저녁시간에 진행되었다. 객단가 12,000원 이상의 대구, 경북지역 15개 한식당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경영자 15부와 고객 336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한식당 경영자의 신규직원교육 및 합리적인보상에 대한 인적자원관리수행 수준이 높은 경우 고객들이 지각하는 제품만족과 서비스만족수준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신규직원채용, 신규직원교육, 업무성과평가에 대한 인적자원관리수행 수준이 높은 경우 고객들이 지각하는 충성도의 수준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품만족과 서비스만족은 고객충성도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충성도와 재무성과는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경영자의 인적자원관리와 재무성과 간에도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부산 향토음식 동래파전의 조리표준화 및 영양분석 (Recipe Standardization and Nutrient Analysis of 'Dong-rae Pajeon' (Local Food in Busan))

  • 김상애;신은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1호
    • /
    • pp.1472-1481
    • /
    • 2007
  • 동래파전의 유래에 대한 문헌이 없어 문헌적 고찰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사례연구에 의하면 조선조에서 삼짇날 임금님께 진상한 음식(동래할매파전 옥호의 주인의 구술)인 상류층 음식으로, 벚꽃 피기전의 초봄의 계절음식 및 재실음식(이씨 및 왕씨 부부, 추씨 등의 민간구술)으로 이루어졌고 이로써 부산 향토음식임이 입증되었다. 동래파전의 식재료는 조선쪽파, 미나리, 해산물(대합, 홍합, 조갯살, 굴, 새우, 논고동), 쇠고기, 계란, 찹쌀 및 멥쌀가루, 맛국물(멸치, 다시마 국물)등이며, 이들 식재료를 조리 순서대로 얹어 참기름으로 구워낸 것으로 5가지 기초 식품군이 골고루 배합된 음식이다. 동래파전의 표준화에서 맛에 관련된 인자는 식재료 인자와 열원인자를 들 수 있다. 식재료 인자 중 찹쌀 및 멥쌀 가루에 멸치와 다시마의 국물을 섞은 반죽에서 쌀가루의 전분과 파가 어우러져 파전에 깊은 맛을 주고, 맛국물은 구수한 맛과 칼슘을 공급하여 파전에 맛과 영양의 상승효과를 주고 있으며, 참기름은 불포화지방산의 공급과 함께 파전에 유지맛과 고소한 맛을 주고 있다. 또한 조리 시, 강한 열원에서 번철을 달구어 식재료를 순서대로 얹어 뒤집고, 다시 반죽을 얹어 뚜껑을 덮은 후 열원을 약하게 하여 쌀 전분의 완전호화를 도와 파전의 깊은 맛을 배가시킨다 동래파전의 100g 당 에너지는 148 kcal, 단백질 8.8 g, 지방 2 g, 식이섬유 8.6 g, 칼슘 57.7 mg, 철분이 1.8 mg이었으며 1인분(245 g)당 에너지는 364 kcal, 단백질은 21.6g, 칼슘은 141 mg, 철분은 4.4 mg으로, 철분과 단백질의 함량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미노산 조성은 시스틴, 리신, 루이신, 발린, 이소루이신 등의 필수 아미노산의 함량이 높았으며 필수 및 비필수 아미노산의 조성이 균형된 음식이다. 구성 지방산 중 올레인산, 리놀레산, 리놀렌산의 함량이 각각 20.5%, 20.1%, 10.4%로 불포화지방산이 58.3%이었으며 P/M/S가 0.73/0.67/1이었다. 동래파전의 섭취 증가를 위하여서는 자주 먹을 수 있는 일상의 음식으로, 또 저 연령층의 섭취확대를 위한 급식메뉴로, 그리고 때와 장소의 구애 없이 간편히 이용할 수 있고, 우리국민은 물론 외국인의 입맛을 공략할 수 있는 조리방법 개발에 많은 노력과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 향토적 동래파전의 식재료 종류와 분량, 조리법에만 중점을 둔 조리표준화를 행하였으나 향후의 연구는 동래파전의 산업화에 중점을 두고 젊은 층을 중심으로 고 연령층 등 각 연령층이 선호할 수 있는 우리전통음식인 동래파전 패스트푸드화에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중국인, 일본인 대상 가정식사 대용식 개발을 위한 한식섭취 현황 및 요구도 조사 (Survey on the Status and Needs of Korean Food Consumption for the Development of Home Meal Replacement for Chinese and Japanese)

  • 한규상;최지유;권수연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20-430
    • /
    • 2017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atus of Korean food consumption and the need for home meal replacement of Korean food for Chinese and Japanese in order to export Korean food to China and Japan. In total, 78.2% of Chinese and 33.0% of Japanes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experiences of visiting Korea. The most common place to consume Korean food was a Korean restaurant for Chinese (55.8%), whereas Japanese (44.9%) consumed Korean food at Korean restaurants in Japan. In the purchasing experience of Korean home meal replacement, 59.2% of Chinese and 40.5% of Japanese responded that they had 'purchase experience', and the reason for purchasing was 'delicious' (32.5%) for Chinese and 'convenience' (34.8 %) for Japanese. The place to purchase Korean home meal replacement was large marts in both countries. Most Chinese (92.2%) and Japanese (62.1%) respondents said they were willing to buy Korean home meal replacement. Both Chinese (54.8 %) and Japanese (48.0%) said that 'taste'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consider when developing Korean home meal replacement. The favorite tastes were 'spicy' (35.3%) for Chinese and 'savory' (38.8%) for Japanese. For the taste of Korean home meal replacement, Chinese answered that the product should be developed by maintaining 'Korean traditional taste as it is' (57.7%), whereas Japanese responded 'change according to the taste of Japanese' (65.2%). For the preferred packaging form of home meal replacement, Chinese preferred 'vacuum' package while the Japanese preferred 'froze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domestic food companies to establish marketing strategies to enter the Chinese and Japanese home meal replacement markets.

한식당의 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울산광역시를 중심으로 - (The Impact of Korean Restaurant Service Quality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Management Performance - Focused on Ulsan Metropolitan City -)

  • 전유명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99-212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한식의 세계화에 대해 정부, 학계 및 외식업계에서 많은 관심을 갖고 있는 이 시점에 외식업체 중 한식당을 대상으로 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과 경영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울산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고객 188명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SPSS 12.0 프로그램을 통해 빈도분석, 요인 분석, 신뢰성 분석, 상관 분석,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보면, 한식당의 서비스 품질은 3개의 요인으로, 고객만족과 경영성과는 1개 요인으로 추출되어졌으며, 서비스 품질과 고객만족, 경영성과간의 관계 분석에서 모두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식당의 서비스 품질은 물리적 환경, 인적 서비스, 편리성 순으로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식당의 서비스 품질은 인적 서비스, 물리적 환경 순으로 경영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식당을 이용한 고객의 만족은 경영성과에 p<0.001로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