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social welfare research

검색결과 1,721건 처리시간 0.026초

한국 사회복지학 연구방법론에 대한 분석과 고찰 - 질적 연구방법의 유용성 제고를 위한 논의 - (Research Methods in Korean Social Welfare Research: Analysis of the Trend and Discussion for Promoting Application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 강철희;김미옥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5권
    • /
    • pp.55-81
    • /
    • 2003
  • 본 연구는 한국 사회복지학 연구방법론에 대한 분석과 고찰을 통하여 질적 연구방법의 사회복지학에 대한 유용성을 논의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사회복지학의 가장 대표적인 학술지인 "한국사회복지학"에 실린 학술논문 538편을 연구 방법론에 초점을 두고 분석한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 사회복지학은 양적 연구방법에의 과도한 편향이 매우 극심한 상황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1990년대 중반이 되면서 이러한 한계가 지적되어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한 논문들이 등장하기 시작하는데, 엄밀성 측면에서 볼 때 방법의 적절성과 수준은 매우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한국 사회복지학 연구방법론의 동향 분석과 함께 본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의 특성과 유형을 정리하면서 한국 사회복지학과 질적 연구방법의 적합성(fitness) 즉 '질적 연구방법이 왜 필요한가' 그리고 '그 유용성은 무엇인가'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한다. 이러한 논의를 통하여 본 연구는 한국 사회복지학의 양적 연구방법에 편향된 상황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며, 사회현상의 본질과 실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방법론이나 패러다임에 얽매이지 않고 사회과학의 많은 연구방법을 적절하게 활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을 제시한다.

  • PDF

사회복지학에서의 실행연구(Action research) 적용과 유용성 (Utilities and Application of Action Research in Korean Social Welfare Research)

  • 김미옥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1권3호
    • /
    • pp.179-204
    • /
    • 2009
  • 본 연구는 사회복지학에서의 실행연구 이해와 적용을 높이기 위해 실행연구의 연구 설계 과정에 따라 실행연구 사례를 소개하면서, 사회복지학에서의 유용성을 논의하고자 한 것이다. 즉, '장애인거주시설에서의 이용자 참여 매뉴얼 개발 연구'의 수행 과정을 설명하고, 실행연구과정에서 연구참여자들에게 어떠한 변화가 나타나는지 질적 양적 자료 분석을 통해 실행연구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이와 함께 실행연구의 사회복지학에의 유용성은 무엇인지를 논의하였다. 이 연구는 국내 최초로 사회복지학에서의 실행연구를 적용한 연구 수행과정 및 그 효과를 탐색함으로써, 사회복지학 실행연구의 이해 및 확산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

  • PDF

주거복지에 대한 사회복지업무 종사자의 의식조사 연구 (Perception on Housing Welfare of Social Welfare Practitioners)

  • 김영주;김미희;박남희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1권6호
    • /
    • pp.119-129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erception on housing welfare of social welfare practitioners. Specific research interest was focused on the area of housing welfare services and necessity, problems when execute housing welfare services, and activating strategy of housing welfare. For the research purpos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537 people who work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including social welfare officials in local government authorities and social workers at community welfare centers nationwide by mail and e-mail and 405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SPSS 15.0 program. Respondents thought that the supply of public rental housing was the most important service to promote housing welfare. They also indicated the most serious problem was the lack of budget and housing welfare services and programs. As main reasons of local government's passive attitude toward housing welfare services and programs, respondents mentioned low interest level of housing welfare and lack of housing welfare education. Most of the respondents agreed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the curricula related to housing welfare and expected to spread interest toward housing welfare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한국 사회복지 질적 연구: 동향과 의미 (A Study on the Social Welfare Qualitative Research in Korea: Trends and Implications)

  • 김인숙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9권1호
    • /
    • pp.275-300
    • /
    • 2007
  • 이 연구는 한국 사회복지 질적 연구의 동향과 그 의미를 탐색한다. 연구결과, 한국사회복지 질적 연구는 "태동기"에 진입하고 있었고 그 지형적 특징은 후실증주의 혹은 발견주의의 압도적 열세, 연구물 산출에서의 지역간, 대학간의 현격한 편차, 학문후속세대의 질적 연구에 대한 급격한 관심 증가, 질적 연구의 리드 집단으로서 학문후속세대의 두각으로 드러났다. 한국 사회복지 질적 연구 동향의 중요한 축이라고 할 수 있는 산출된 연구물에 대한 비평에서는 해석적 패러다임의 주도, 절차주의에의 경도, 주제의 빈약성, 특정 질적 연구 전통에의 편향이라는 특징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한국 사회복지 질적 연구의 동향은 그것이 가진 한계에도 불구하고 우리 학문공동체에 다양한 함의를 시사하고 있었다. 그것은 실증주의라는 지배적 지식기반에 대한 비판의 의미와 함께 실증주의에 비견할 대항적 인식론, 대항적 담론을 형성할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또한 비록 서구와 같이 격렬한 "논쟁"의 방식으로 패러다임의 다원화를 위한 노력이 가시화되고 있지는 않지만 "저변확대"의 형태로 패러다임의 다원화를 촉진할 수 있는 토대를 형성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인과론적이고 시장중심적인 사회복지 현상에 대한 사유방식을 비인과적이고 덜 시장중심적인 내러티브적 사유방식의 확산이라는 의미를 내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한국 사회복지학에서의 질적 연구 경험에 관한 연구 : 엄격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Experiences of Social Welfare Qualitative Researchers in Korea : Focus on the Rigor)

  • 김미옥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9권4호
    • /
    • pp.163-189
    • /
    • 2007
  • 본 연구는 한국 사회복지학에서의 엄격성과 관련된 질적 연구자의 경험을 심층 분석하여 향후 과제를 논의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질적 연구방법으로 학위논문을 쓰거나 학술지에 질적 연구를 활발히 발표하고 있는 질적 연구자 9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개별 및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결과보고에 엄격성이 어떠한 형태로 글쓰기 되는지를 보고자 사회복지학관련 주요학술지 8종에 개재된 2,112편의 논문을 내용 분석하여 질적 인터뷰 결과 분석을 보완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사회복지학에서의 질적 연구는 국내에서 학위를 받은 학문 후속세대에 의해 '필요에 의해 확산' 되는 독특한 형태로 아래로부터 위로 나아가는 정향을 보여주었다. 또한 인식론적 입장으로는 후기실증주의적 관점과 약한 구성주의적 관점이 혼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엄격성과 관련해서는 연구시작부터 결과보고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연구자의 책임성을 바탕으로, 진실하고 기본에 충실하게 하는 것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한국 사회복지학문공동체가 지향해야 할 주요 과제들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의 엄격성에 대한 담론이 활성화되어, 보다 질(Quality) 높은 연구결과가 산출되기를 기대한다.

  • PDF

사회복지연구를 위한 페미니스트 인식론의 비평과 함의 (The Implications of Feminist Epistemology for Knowledge Production in Social Welfare)

  • 성정숙;이나영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2권2호
    • /
    • pp.349-373
    • /
    • 2010
  • 본 연구는 사회복지 연구의 주요 경향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면서 페미니스트 인식론과 사회복지 연구의 절합을 모색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한국사회복지학"에 게재된 양적 질적 연구의 주요 경향과 여성에 관한 연구를 분석하고, 방법론 및 인식론적 쟁점을 논의하면서 페미니스트 인식론의 내용과 사회복지적 함의를 살펴보았다. 페미니스트 인식론으로부터 출발하는 연구는 실증주의적 전통에서 출발하는 객관성의 개념을 재고하고, 지식구축 과정에 작용하는 권력관계와 주체-타자와의 관계를 성찰하게 하여 연구자와 연구참여자와의 민주적이고 변증법적인 관계를 새롭게 정립시킨다는 점에서 사회복지 연구에 대안적 전망을 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들은 페미니스트 인식론과의 조우가 억압받는 사람들의 삶으로부터 사고를 시작하는 사회복지(학)의 비판적 이론과 실천적 전망을 회복시켜 줄 것이라 기대한다.

  • PDF

사회복지조직의 조직성장유형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시설운영 사회복지법인을 중심으로 - (Exploring the Growth Process Types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in Korea - Focusing on Social Welfare Corporations Operating Social Welfare Facilities -)

  • 강영숙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3권4호
    • /
    • pp.225-251
    • /
    • 2011
  • 이 연구는 우리나라 사회복지조직의 조직성장유형을 알아보고 각 조직성장유형의 조직운영방식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서 사회복지서비스 제공 역사가 40년 이상된 사회복지법인의 설립자와 동일 법인에서 20년 이상 근무한 관리자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자는 연구에 참여한 20명과의 심층인터뷰, 문헌을 통한 정보수집, 결과에 대한 참여자의 확인과 동료연구자와의 협력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자료분석은 근거이론 방법을 활용하여 총 169개의 개념, 49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21개의 상위범주가 유목화되었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사회복지조직의 조직성장유형은 '가족애(家族愛) 실천형', '지역사회변화 유도형', '선도(善導)적 선도(先導)형' 등 3가지 유형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우리나라 사회복지조직이 가지고 있는 태생적 특성에 대한 심층적 이해, 사회복지조직성장유형의 이론 구축 그리고 사회복지조직운영에 대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고 있다.

  • PDF

세대 간 교류를 위한 국내 종합사회복지관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Composition Plan of Social Welfare Centers for the Intergenerational Interactions in Korea)

  • 김봉애;김수희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4권2호
    • /
    • pp.131-139
    • /
    • 2016
  • This study analyzes the welfare services and spatial composition of social welfare centers that represent complex welfare facilities in order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 spatial planning of social welfare centers. We examined 15 social welfare centers built in the 2000s. A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were used as research methodology. The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services provided at the surveyed facilities overlapped for seniors and the handicapped. Most social welfare centers provided welfare services for seniors, young children, and teenagers. Second, the proportion of common area, program rooms was high for spatial composition. Third, front access by car was most common (used at nine centers) for the design of the access area and used by. Fourth, shared entry and exit was most common (used at 10 centers) for the design of the entrance. Fifth, regarding space combining style, a mixed style was most frequently used (observed at seven centers) where different private areas for different service users were partly mixed on certain floors. Sixth, a corridor type was most common (used at seven centers) for the design of a corridor space where visitors could walk along the corridor to access individual rooms. Based on the findings, we propose spatial composition of social welfare centers to promote mingling and exchanges among users of different generations.

전라북도 내 노인복지시설의 실태 분석 (A Research for Aged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Jeollabuk-do)

  • 유옥순;조재경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03-206
    • /
    • 2009
  • As the rate of the elderly is proportionally increasing in society, the demands of this group and the services pertaining to them is increasing. The demand for improved services is in relation to national income, the development of medical techniques and the interests of elderly. Therefore, the demand for aged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management of them is increasing. This paper will focus on the types and states of aged social welfare facilities under the revised aged social welfare law in 2008. Following this research, The Social Welfare Corporation is the highest management level. To date the establishment of more infrastructure has increased rapidly, since 2000. There are many small facilities and a few large facilities.

  • PDF

The Most Important Social Determinants of Slum Dwellers' Health: A Scoping Review

  • Nejad, Farhad Nosrati;Ghamari, Mohammad Reza;Kamal, Seyed Hossein Mohaqeqi;Tabatabaee, Seyed Saeed;Ganjali, Raheleh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4권4호
    • /
    • pp.265-274
    • /
    • 2021
  • Objectives: Given the importance of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in promoting the health of slum resid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identifying the main dimensions and components of these determinants. Methods: This scoping review study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PRISMA-ScR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Extension for Scoping Reviews). A comprehensive search was performed of PubMed, ProQuest, Scopus, and Web of Science for articles conducted from 2010 to the end of 2019. Studies were selected based on inclusion criteria, with a special focus on studies dealing with the social determinants of physical and mental health or illness. Results: Thirty-three articles were selected to extract information on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After reviewing the articles, 7 main dimensions (housing, socioeconomic status of the family, nutrition,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social support and social capital, occupational factors, and health behaviors) and 87 components were extracted as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among slum dwellers. Conclusions: This framework could be used by planners, managers, and policy-makers when making decisions affecting the health of these settlements' residents due to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slums around the world, especially in developing count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