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sauces

검색결과 304건 처리시간 0.023초

속양(速釀) 어장유(魚醬油)에 대한 색(色) 측정(測定) 및 관능검사(官能檢査) (The Color Measurement and Sensory Evaluation for the Accelerated Fish Sauce Products)

  • 채수규;이등관;신국좌행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49-654
    • /
    • 1989
  • 속양(速釀) 어장유(魚醬油)의 색(色)의 분포(分布)가 100nm당 log 흡광도의 변화$({\Delta}A)$를 색조의 파라메터로 이용하여 연구되었다. 오장유의 색에 있어서 log 흡광도와 450nm와 650nm 사이의 파장간에는 직선관계가 성립하였다. 속양(速釀) 어장유(魚醬油)의 ${\Delta}A$ 값은 $0.55{\sim}0.59$ 범위에 있었으며, 450nm에서의 흡광도 (A450)는 장유(醬油)코오지가 첨가된 어장유(魚醬油)가 대조(對照) 및 시판 단백분해효소 첨가 어장유(魚醬油)에 비하여 높았다. 장유(醬油)코오지가 첨가된 어장유(魚醬油)의 색(色)은 어두운 적황색(赤黃色)이었으며, 그 색(色)은 장유(醬油)의 색(色)과 비슷하였다. 모든 어장유(魚醬油)에 있어서 A450은 발효가 진행함에 따라 증가되었으나, ${\Delta}A$는 발효 초기에 약간 증가되다가 발효 후기에는 감소되었다. 속양(速釀) 어장유(魚醬油)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 장유(醬油)코오지를 첨가하고 초기에 20% 식염을 가하여 제조한 어장유(魚醬油)가 풍미강도, 맛, 후미 등에 있어서 가장 바람직하였으며 또한 종합적인 선호도(選好度)가 있어서도 가장 우수하였다.

  • PDF

새우, 게 및 바다가재의 부산물로 만든 소스의 휘발성 향기 성분 (Volatile Flavor Compounds Identified from the Sauces Made with Waste of Shrimp, Crab and Lobster)

  • 이경임;조지은;안형기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19-128
    • /
    • 2007
  • 식품의 조리과정 중에 부산물로 나오는 갑각류 폐기물을 이용하여 소스를 제조하여 canister system을 이용하여 농축한 후 GC/MSD를 이용해 휘발성 성분을 동정하였다. 그 결과 총 휘발성 성분의 개수는 72종이었으며 그 중 새우를 사용하여 만든 소스의 휘발성 성분이 45개로 가장 많았다. 새우 소스의 휘발성 성분은 10종의 alkane, 4종의 ketone, 3종의 aldehyde 및 7종의 alcohol이었으며 3-methyl-2-butanone, 2-pentanamine, isobutane, 3- methyl-butanal, furan, carbon disulfide, dimethyl sulfide가 주요한 성분이었다. 꽃게 소스에서는 18개의 휘발성 성분이 동정되었고, 4종의 alcohol류, 5종의 alkane류, 3종의 aldehyde류 및 ketone, acid와 amine이 각각 1종 검출되었으며, 2-methoxy ethanol, trimethyloxirane, 3-buten-1-ol이 꽃게 소스에서 주요한 휘발성 성분으로 나타났다. 바다가재 머리부분을 이용한 소스에서 16종의 휘발성 성분이 동정되었으며 alkane류 2종, aldehyde와 alcohol이 각각 1종씩 동정되었고 formic acid, 1-propanethiol, $\beta$-pinene, allyl sulfide가 주요한 향기 성분으로 나타났다. 바다가재 껍질을 이용한 소스에서 휘발성 성분이 18종 검출되었으며, acid류, pentane, 3-methyl 1-butanol 및 2, 4-dimethyl- 3-pentanone이 주요한 휘발성 성분인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매생이소스 개발에 관한 선호도 조사와 개발된 매생이소스별 선호도 비교분석 (Preference Investigation for Maesengee Sauce Development and Comparative Analysis of Preference for Developed Maesengee Sauce)

  • 인선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51-262
    • /
    • 2011
  • 매생이 소스 개발을 위한 선호도를 조사하였고, 세 종류의 매생이소스를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매생이소스법 선호도를 비교분석함으로써 건강기능성 식품으로서의 매생이소스 개발과 향후 매생이 가공 식품을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에 목적이 있다. 매생이 성분분석은 2009년 7월에 전남 강진군에서 구입한 매생이틀 재료로 하였고, 매생이 소스 개발을 위한 선호도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세 종류의 매생이 소스 즉 매생이 플레인 요거트 소스, 매생이 홍초 소스, 매생이 밀쌈 소스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매생이소스별 선호도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완성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개발된 시제품은 광주 소재 조리과학과 학생 42명을 대상으로 2009년 11윌 9일부터 11윌 16일 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통계기법은 빈도분석을 이용하였다. 매생이 성분분석 결과 무기질로는 K 227.98mg/100g, Ca 58.32mg/100g, Fe 7.8mg/100g 로 나타났고, 바타민은 Vitamin A(${\mu}gRE$/100g) No Detection Vitamin $B_1$ 0..0837mg/100g Vitamin $B_2$ 0.0641 mg/100g Vitamin B6 0.0261 mg/100g Vitamin C 19.9877 mg/100g Vitamin E 0.3607 mgaTE/100g Vitamin K 7.2079 ${\mu}g$/100g Niacin 1.5057 mgaNE/100g으로 나타났다. 설문조사 결과를 통한 매생이 플레인 요거트 소스, 매생이 홍초 소스 매생이 밀쌍 소스 시제품 제작 및 조리법을 개발하였다.

  • PDF

간장 및 이를 활용한 식품의 레불린산 분석방법 검증 및 모니터링 (Analytical method validation and monitoring of levulinic acid in soy sauce and their application to food)

  • 김단비;김선영;이상희;유미영
    • 분석과학
    • /
    • 제30권5호
    • /
    • pp.295-302
    • /
    • 2017
  • 본 연구는 High liquid chromatograph-photodiode array detector (HPLC-PDA)를 사용하여 간장 및 이를 활용한 식품에서의 레불린산을 측정하기 위하여 신속 정확한 분석법을 개발하였다. 시료 중 레불린산은 증류수로 추출한 후 C18 Sep-Pak 카트리지로 정제하여 기기분석을 수행하였다. 직선성은 비교적 넓은 농도 범위 ($2.5-400{\mu}g/mL$)에서 우수한 선형성 (R > 0.999)을 나타내었으며, 간장 시료에 대하여 레불린산의 회수율을 확인한 결과, 6 가지 농도범위($2.5-400{\mu}g/mL$)에서 87.58-97.26 %로 확인되었으며, 모두 15 % 미만의 표준오차를 나타내었다. 검출한계(LOD)와 정량한계(LOQ)는 각각 0.64와 $1.64{\mu}g/mL$이었다. 간장 및 이를 활용한 식품에서의 레불린산 함량을 조사한 결과 59 개의 샘플 중 43 개의 샘플에서 검출되었다. 검출 수준은 간장의 경우 0.44-1.23 mg/mL, 간장 소스의 경우 0.03-0.83 mg/mL, 양념육의 경우 8.43-38.94 mg/mL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분석법은 신속하고 정확하게 레불린산을 정량하고 간장 및 이를 활용한 상품의 적절한 품질 관리 방법으로 사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조사 선량에 따른 품목별 PSL과 TL 시험법 적용 가능성 검증 (Application of PSL and TL Detection Method by Irradiation doses on the Foods Approved to Irradiation in Korea)

  • 조준일;이지애;정형욱;이순호;황인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43-48
    • /
    • 2010
  • 침출차와 소스류, 전분류의 각 품목에 대하여 PSL과 TL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각 품목별로 다른 선량으로 방사선 조사를 실시하여 PSL과 TL 분석을 하였다. 침출차 2종은 0, 2, 7kGy, 소스류 2종은 0, 5, 7, 10 kGy, 전분류 3종은 0, 2, 5 kGy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PSL의 분석 결과, 침출차는 비조사구에서는 threshold value $T_1$(700) 이하의 낮은 값을 나타내었고 2kGy 이상의 조사구에서는 $T_2$(5000) 이상의 높은 값을 나타내어 방사선 조사 여부 확인이 가능하였다. 이에 비해 소스류는 비조사구에서는 $T_1$ 이하의 값이 나타났지만, 5kGy 이상의 조사구에서 1173, 1773의 $T_1$보다 높고 $T_2$보다 낮은 photon count를 나타내어 중간시료로 나타났다. 또한 전분류에서는 비조사구에서 $T_1$보다 높고 $T_2$보다 낮은 중간값을 나타내어 TL 확인 시험을 필요로 하였다. TL 분석에서는 3가지 품목 모두 비조사구에서는 $300^{\circ}C$ 부근에서 최고의 peak를 가지는 glow curve를 나타내거나 특정적인 TL glow curve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리고 조사구에서는 $150{\sim}250^{\circ}C$ 부근에서 비조사구에서 보이지 않았던 특유의 glow curve를 나타내었고, 조사선량에 따른 intensity의 차이도 보이고 있었다 한편 TL 결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재조사에 의한 TL ratio를 산출한 결과 비조사구에서는 0.08 이하를 나타내었으나, 각 선량별 조사구에서는 전분류의 경우 0.07 이상의 낮은 값을 나타내기도 하였으나 TL온도범 위와 glow curve의 형태에 따라서 방사선 조사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PSL과 TL 분석법의 적용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Assessment of the Human Risk by an Intake of Ethyl Carbamate Present in Major Korean Fermented Foods

  • Noh, I-Woo;Ha, Mi-Sun;Han, Eun-Mee;Jang, In-Sook;An, Youn-Joo;Ha, Sang-Do;Park, Sang-Kyu;Bae, Dong-H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12호
    • /
    • pp.1961-1967
    • /
    • 2006
  • Levels of ethyl carbamate, a potential carcinogen produced naturally during fermentation, in major Korean fermented foods and alcoholic beverages were determined by GC/MS/SIM, and their average daily intake and excess cancer risk in Korean people were estimated. In GC/MS/SIM analysis n.d.-4.26, 1.40-58.90, n.d.-3.76, n.d.-1.87, and 0.40-10.07 $\mu$g/kg of ethyl carbamate were detected in kimchi, soy sauces, fermented pastes, fermented dairy products, and alcoholic beverages, respectively. The average daily intake of ethyl carbamate and excess cancer risk through major Korean fermented foods and alcoholic beverage consumption were 6.0 ng/kg bw/day and $3.0\times10^{-7}$, respectively for the average Korean person aged 3-64 years, and were mainly contributed by Chinese cabbage kimchi, soy sauces, and Soju.

조선왕조후기의 궁중연회음식의 분석적 고찰 (An analysis of foods used in the Royal parties during the latter half period of Yi Dynasty)

  • 이효지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79-100
    • /
    • 1985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stablish Korean food culture by analyzing 17 sets of Jinyounuigue, Jinchanuigue, and Jinjarkuigue which were the records of royal party procedures in Yi dynasty, Analysis was made on royal parties in terms of table setting, kinds of dishes served, composition of foods, frequency of the food materials used, and food items changed over the period from 1719 to 1902, the latter half period of Yi dynasty. Foods used in those parties were classified into seven groups in this study; rice and noodoes, side dishes, Docks, desserts, fruits and nuts, beverages, and sauces. There were about 10 kinds of steamed rice and noodles including Mandoo and Byungtang, 140 different kinds of side dishes, 53 kinds of Kocks, 142 kinds of various desserts, especially Dasik and Korean cookies, 38 kinds of fruits and nuts, 10 kinds of beverages including Hwachae and Sujeongkwa, and 10 kinds of sauces such as soy sauce, mustard, honey, and etc. There was no tendency in omission or addition of food materials, but the number and heights of dishes were designated by the scale or character of the party. There were unique measuring units that were quite different from metric system. More than 30 different units were appeared in the differences. Most of them were used for typical items such as Sari for noodles only. However some were quite general and used until now. Mal and Dye were the units for volume, Kwan and Kuen for weight, and Chock and Chon for length.

  • PDF

형상이 다른 메주로 제조한 재래식 간장 중의 유리당과 알코올 함량 (The Contents of Free Sugar and Alcohol in Traditional Soy Sauce Prepared from Meju under Different Formations)

  • 서정숙;이택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03-108
    • /
    • 1993
  • The Kinds of soy sauce were prepared using the brick type of conventional meju(A), the brick type of meju of Aspergillus oryzae(B), and the grain type of meju of Aspergillus oryzae(C). Free sugar and alcohol were analyzed in accordance to aging time of those products. Galactose, glucose, arabinose, xylose, and mannose were detected in all kinds of soy sauce. In soy sauce 4 galactose, glucose, arabinose, and xylose were shown in the order of content. The content of galactose in soy sauce A and soy sauce C were shown higher than that in soy sauce B alt during the time. The content of glucose was highest among that of all kinds of free sugars at the beginning of preparation, but the content of glucose was lower than that of arabinose and xylose after 60 days. The contents order of total free sugar was soy sauce C > soy sauce B > soy sauce A. The content of ethyl alcohol was shown 6.23∼19.10mg%, and that of isobutyl alcohol was 8.70∼ 169.03 ppm in all soy sauces, but those of soy sauce C was higher than those of other soy sauces.

  • PDF

오미자 첨가량에 따른 Demi-glace 소스의 무기성분 함량과 점도 및 관능적 특성 (The Mineral Contents, Viscos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Demi-glace Sauce According to the Varying Quantity of Omija added)

  • 김현덕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667-677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contents of mineral, viscosity in the Demi-glace with added quantity of Omija extracts. Firstly, The level of mineral content in order was K, Na, P, Ca, Mg, Fe, Zn, Mn, B. The more Omija extracts, Ca, Mg, Fe, Zn, Mn, B was increased, but K, Na, P was decreased. Secondly, Viscosity of control was 538.13cP at rpm 100, and the sauce added with Omija extracts was $464.80{\sim}578.00cP$. Regardless of Omija quantity there was Psedoplastic characteristic which showed apparent viscosity was decreased even though shear rate was increased. Thirdly, Sensory characteristics of Demi-glace sauces based on preference of 5 tastes, It was founded that 2% added Omija was the best, and 1%, 0%, 3%, 5% added Omija was next in order. Finally, Sensory intensities of Demi-glace sauces based on gender and occupation of the 5 tastes : As the sourness, bitterness, hotness, salines taste of all over was Omija added quantity was many more, appeared strong intensity, it was sensory intensities of 5% Omija added sauce was the highest. But sensory intensities of sweetness, Male showed 2% Omija added sauce, Female student and cook showed control was the high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