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Korean red pepper

Search Result 1,382,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Lesser known indigenous vegetables as potential natural egg colourant in laying chickens

  • Abiodun, Bolu Steven;Adedeji, Aderibigbe Simeon;Abiodun, Elegbeleye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6권5호
    • /
    • pp.18.1-18.5
    • /
    • 2014
  • Background: A six-week study involving two hundred and fifty (250) Harco Black layer birds at point of la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otential natural colorant on performance and Egg quality traits. The birds were assigned to five (5) dietary treatments, each containing supplements either of control, Baobab Leaf (BL), Waterleaf (WL), Red Pepper (RP), Canthaxanthin (CTX) at 40 g/kg feed and 50 mg/kg feed of natural and commercial colorants, respectively. Results: Performance records shows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p > 0.05) difference in feed intake across the supplements of Red pepper, Water leaf, Canthaxanthin and control diet, however, birds fed Baobab leaf treatment had a significantly lower (p < 0.05) feed intake value (94.07 g) when compared with other treatments. Body weight gain and Hen Day Production were not significant influenced (p > 0.05) by the dietary treatments, although laying hens fed Baobab leaf supplement had lowest mean HDP of 48.80%, while birds fed Red pepper and Water leaf supplement had an average value of 52.79%.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p > 0.05) of colorants on egg external traits, compared with the control; birds fed Canthaxanthin treatment had higher mean egg weight (51.79 g), egg length (4.55 g), egg breadth (3.29 g); Red pepper treatment had highest mean shell thickness (0.29 g), however these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p > 0.05). Yolk height, Albumen height, Yolk index, and Haugh unit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p > 0.05) across treatments. Yolk width was lowest (p < 0.05) in Baobab leaf treatment (2.54 cm); Red pepper, Water leaf and Canthaxanthin (2.89 cm, 2.62 cm and 2.89 cm respectively) were not significantly (p > 0.05) different from the control (2.73 cm). Yolk colour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st (p < 0.05) in Red pepper treatment (7.50); Water leaf, Baobab leaf and Canthaxanthin ranged between 2.25-3.31 on the DSM yolk colour fan, Control treatment had the lowest yolk colour score (p < 0.05) of 1.31. Conclusion: The study showed Red pepper as a worthy alternative to commercial yolk colorant. Water leaf and baobab are not good substitutes for canthaxanthin as a yolk colourant.

살균고춧가루를 이용한 오징어젓갈 제조 II. 양념오징어젓갈의 보존성 연장 (Preparation of Squid-Jeotkal with Pasteurized Red Pepper II. Shelf-Life Extension of Squid-Jeotkal)

  • 이현숙;이원동;고병호;이명숙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8-24
    • /
    • 2000
  • 오징어젓갈을 5$^{\circ}C$, 15$^{\circ}C$$25^{\circ}C$에 보존하면서 관능품위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5$^{\circ}C$에서 보존하였을 때는 일반고춧 가루사용 오징어젓갈에 비해 살균고춧가루사용 오징어젓갈의 품질변화가 안정적이었다. 그러나 보존온도가 증가할 수록 품질변화의 차이가 적어져, $25^{\circ}C$에서 보존하였을 때는 거의 차이가 없었다. 생균수는 5$^{\circ}C$에서 보관 60일째까지 서서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15$^{\circ}C$에서는 일반고춧가루사용 오징어젓갈의 경우 30일경에 약 $10^{8}$ CFU/g에 달하였고, $25^{\circ}C$에서는 일반고춧가루사용 오징어젓갈이 15일경에, 살균고춧가루사용 오징어젓갈이 30일경에 약 $10^{8}$ CFU/g으로 살균고춧가루사용 오징어젓갈이 일반고춧가루사용 오징어젓갈보다 생균수의 증가속도가 느렸다. pH, VBN, 아미노태질소 및 암모니아태질소의 변화를 살펴보면 5$^{\circ}C$에서는 두 시료간에 큰 차이가 있었으나, 보존온도가 증가할 수록 차이가 적어져 $25^{\circ}C$에서 보관하였을 때는 거의 차이가 없었다. 관능검사결과로 분석해 볼 때 pH는 약 5.5, VBN은 약 80mg%에서부터 젓갈로서의 가치를 상실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일반고춧가루사용 오징어젓갈의 주요 유리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leucine, glycine, aspartic acid 및 alanine으로 전체 유리아미노산에 대해 47.95%를 차지하였으나, 살균고춧가루사용 오징어젓갈은 glutamic acid, glycine, aspartic acid, leucine 및 Iysine으로 57.58%를 차지하였다.

  • PDF

간장, 고추장 및 된장 양념으로 발효한 진공포장 돈육의 저장기간 동안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Vacuum Packaged Fermented Pork with Soy Sauce, Red Pepper and Soybean Paste Seasoning during Storage)

  • 진상근;김일석;하경희;류현지;박기훈;이제룡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5호
    • /
    • pp.825-836
    • /
    • 2005
  • 이 연구는 간장, 고추장 및 된장 양념을 이 용한 발효 돈육의 품질 특성에 관한 것으로 돼지 뒷다리를 채취하여 7 × 10 × 2 cm3 크기로 자른 후 육을 동일한 비율의 소스(간장소스 T1, 고추장소스 T2, 된장소스 T3)에 침지하여 1±1℃에서 10일간 발효숙성한 후 진공포장하여 1±1℃에서 1, 14 및 28일 동안 저장하면서 품질 변화를 측정한 것으로 결과는 다음과 같다. pH는 된장 발효 돈육이 저장 1일과 28일에 간 장과 고추장 발효 돈육에 비해 높았지만, 저장 14일에는 낮았다. 보수성은 간장 발효 돈육이 저장 28일에 고추장과 된장 발효 돈육에 비해 높았다. 전단가는 된장 발효 돈육이 간장과 고 추장 발효 돈육에 비해 낮았다. 표면 육색의 L*값은 된장 발효 돈육이 간장과 고추장 발효 돈육에 비해 높았지만, a*와 b*값은 고추장 발 효 돈육이 간장과 된장 발효 돈육에 비해 현저하게 높았다. VBN은 저장 1일과 28일에 된장 발효 돈육이 간장 발효 돈육에 비해 현저하게 낮았다. TBARS는 된장 발효 돈육이 간장과 고 추장 발효 돈육에 비해 현저하게 낮았다. 총균 수는 저장 14일에 된장 발효 돈육이 간장과 고 추장 발효 돈육에 비해 높았지만, 저장 28일에 는 현저하게 낮았다. 대장균수는 저장 1일에 간장과 된장 발효 돈육이 고추장 발효 돈육에 비해 현저하게 낮았고, 저장 14일과 28일에는 고추장과 된장 발효 돈육은 대장균 성장을 나타내지 않았다. 유산균수는 고추장 발효 돈육 이 간장과 된장 발효 돈육에 비해 현저하게 낮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된장 발효 돈육은 간장 과 고추장 발효 돈육에 비해 전단가, 단백질변 패, 지방산화도가 낮게 나타났고 미생물 중 총 균수와 대장균수가 적게 나타났다.

고추밭 잡초 피와 명아주 발생밀도에 따른 경합 및 고추 수량 감소 (Competitiveness and Yield Loss of Red Pepper by Densities of Echinochloa crus-galli (L.) P. Beauv. and Chenopodium album L.)

  • 원종건;장길수;황지은;권오훈;전수경;박상구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71-77
    • /
    • 2011
  • 본 시험은 2010년에 경상북도 농업기술원 영양고추시험장 고추 재배포장에서 밭 잡초로 가장 문제시 되고 있는 잡초 중 피와 명아주를 대상으로 잡초 밀도별 고추와의 경합력을 구명하고 rectangular hyperbola 모델을 기초로 잡초의 밀도에 따른 건고추수량 감소를 예측하여 경제적인 방제 필요수준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잡초를 완전 방제 했을 경우를 가상한 건고추 수량은 명아주에서 10a당 323.2kg으로 피의 317.0kg 보다 다소 높았으며, 고추와 잡초의 경합력은 명아주에서 0.29으로 피의 0.1707 보다 높았고, 수량 예측식은 명아주가 y=323.2kg/(1+0.29x), $R^2$=0.896, 피가 y=317.0kg/(1+0.1707x), $R^2$=0.895로 나타났다. 제초제 구입 비용을 10a당 6,500원, 제초제 살포 인건비를 20,000원, 건고추의 가격을 kg당 8,000원, 제초제 방제가 95%로 적용하여 구한 경제적 피해 한계 밀도는 잡초 완전 방제시 수량이 10a당 323.2kg이고 잡초 1본당 수량 감수 정도가 0.29인 명아주는 $100m^2$당 3.7본, 잡초 완전 방제시 수량이 317.0kg이고 잡초 1본당 수량 감수 정도가 0.1707인 피는 $100m^2$당 6.5본이었다.

토양 미생물 활성과 다양성에 미치는 고추 품종과 퇴비의 단기적 효과 (Short-term Effects of Cultivars and Compost on Soil Microbial Activities and Diversities in Red Pepper Field)

  • 박기춘;권태룡;장길수;김영숙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39-144
    • /
    • 2008
  • 고추 재배지 포장에서 고추 품종과 퇴비 시용 수준이 토양 미생물 활성과 다양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본 시험을 실시하였다. 2007년 4월에 퇴비를 30톤과 60톤 $ha^{-1}$을 살포한 다음, 영고4호와 고은 고추를 5월에 정식하였으며 8월 초에 토양을 채취하였다. 토양 미생물 활성은 탈수소 효소활성과 fluorescein diacetate(FDA) 수화도로 측정하였으며, 토양 미생물 군락은 $EcoPlate^{TM}$와 인지질 지방산을 분석하여 조사하였다. 모든 조사 항목에서 품종간 유의성 있는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퇴비 30톤과 60톤 $ha^{-1}$처리는 토양의 pH와 미생물 군락을 변화시켰고, 퇴비 60톤 $ha^{-1}$처리는 토양 유기물과 칼리 함량 증가 그리고 탈수소효소 활성과 FDA 수화도 증가에 효과적이었다. 결론적으로 단기적으로는 토양 화학적, 미생물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이 고추 재배 품종보다는 퇴비 등의 유기 개량제의 영향이 크지만, 장기적으로 고추재배 품종 특히 '영고4호'가 일반 재배 품종과는 다른 토양 미생물적 특성을 유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경운깊이 및 퇴비 시용량이 고추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illage Depth and Amount of Compost on Red Pepper Growth)

  • 이경자;김영상;송인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798-803
    • /
    • 2010
  • 노지 고추재배시 경운 깊이에 따른 유기물 함량을 구명하여 지속적 안전생산에 활용하고자 경운 깊이는 10, 30 및 50 cm로 하고 퇴비의 양을 1, 3 및 5 톤 $10a^{-1}$으로 처리하여 고추를 재배한 결과 다음과 같다. (1) 시험후 토양의 pH는 모든 처리에서 시험전 토양보다 낮아졌으며 EC를 비롯한 Av. $P_2O_5$, K, Ca, Mg, Na는 시험전보다 높았다. 퇴비 시용량 별로는 퇴비 1 톤 $10a^{-1}$ 및 3 톤 $10a^{-1}$ 처리에 비해 퇴비 5 톤 $10a^{-1}$에서 높았다. (2) 고추 생육은 퇴비 1 톤 $10a^{-1}$처리에 비하여 퇴비 3 톤 및 5 톤 $10a^{-1}$에서 좋았으며, 경운깊이 10 cm 및 30 cm에 비해 경운깊이 50 cm에서 좋았다. (3) 고추 수량은 경운깊이 10 cm에서는 퇴비 3 톤 $10a^{-1}$ 처리에서 5,880 kg $ha^{-1}$으로 가장 좋았고, 경운깊이 30 cm 에서는 퇴비 5 톤 $10a^{-1}$ 처리에서 5,610 kg $ha^{-1}$으로 가장 좋았다. (4) 고추식물체의 T-N 함량 및 흡수량은 퇴비 3 톤 $10a^{-1}$ 및 5 톤 $10a^{-1}$ 처리에서 1 톤 $10a^{-1}$처리에 비해 높았다.

Plant Regeneration via Organogenesis from Seed Explants in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 Lee, Kwang-Woong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9권3호
    • /
    • pp.167-172
    • /
    • 1996
  • Efficient plant regeneration has been achieved via organogenesis in the red pepper plant (Capsicum annum L.). Shoots were induced from seed explants of cultivar 'Friendship' on Murashige and Skoog's (MS) basal medium supplemetned with; NAA or IAA, and BAP or zeatin. Seed explants on the medium supplemented with 0.1-0.3 mg/L IAA and 2-5 mg/L zeatin for 2 weeks vigorously formed normal shoots in more than 90% of the explants. When these were transferred to MS medium containing 0.5-1.0 mg/L GA, 90-100% of the shoots have elongated within 1-2 weeks. The elongated shoots rooted in media supplemented with 0.3 mg/L NAA. It was revealed that this method is very rapid and efficient regeneration system for red pepper and regenerated plants can be obtained after only 5-6 weeks of culture.

  • PDF

한국의 전통 - 고추의 우리나라 전래에 대한 재고 -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고추가 임진왜란 훨씬 이전에 '그쵸'로 있었다 -

  • 정경란;장대자;양혜정;권대영
    • 식품문화 한맛한얼
    • /
    • 제2권1호
    • /
    • pp.5-31
    • /
    • 2009
  • Prior to 1970, it was known that Korean had our own red pepper named as Kochu and we used Kochu in preparing kimchi and kochujang. However, after Professor Lee insisted that Korean red pepper (Kochu) was transferred from Japan during the Seven Years War (Imjinwaeran(壬辰倭亂)),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sim}$1598), it has been generally accepted without any criticisms. But many old literatures have shown that Korean Kochu already existed in Korea before the war. For example, the books, Kukubkanibang ((救急簡易方) published in 1489) and Hunmongjahoi ((訓蒙字會) published in 1527), demonstrated that Kochu was cultivated as food substances or medicinal purposes. In another old literature (1460), Siklyochanyo(食療撰要), kochujang was used as an uncomfort-stomach stabilizer. In addition, Korean red pepper was genetically different from South-Mid America's red pepper called as Aji. It has been also insisted by Professor Lee that Aji was transferred to Europe by Columbus in 1492 and then to Korea by Japanese Army in order to kill Korean during the war, and the Aji was modified to Korean Kochu. In conclusion, in Korea our own Kochu was cultivated and used in the Korean native fermented foods such as kimchi and kochujang.

  • PDF

밭 작물의 최적관개수준과 계획용수량 산정 (The Optimum Irrigation Level and the Project Water Requirement for Upland Crops)

  • 윤학기;정상옥;서승덕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72-86
    • /
    • 199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get the basic information of irrigation plans for upland crops such as the optimum irrigation level and the project water requirement. Red peppers and cucumbers were cultivated in PVC pot lysimeters filled with 60cm deep clay loam soil. Four tensiometers were installed in each pot to measure the soil water pressure head. Six levels of irrigation were use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The optimum irrigation level. The irrigation level of FC-PF2.7 was found to be the optimum level for both red pepper and cucumber with respect to the yield and the weight per fruit. In case of FC-PF2.7, total ET during the irrigation period were 1005.2mm for red pepper, and 429.6mm for cucumber, respectively. 2.soil moisture extraction patterns. Average soil moisture extraction patterns (SMEP)during the irrigation period were from 1st soil layer 43% : 32% : 16% : 9% for red pepper and 39% : 34% : 15% : 12% for cucumber, respectively. The extraction ratio of the upper soils showed very large values during the early stage of growth and decreased largely during the middle stage, and became larger in the last stage. 3.The project water requirement. Among the reference crop evapotranspiration(ETo) computation methods presented by FAO, the Penman method was found to be the best. The effective rainfall was computed by a modified USDA-SCS curve number equation. Availability ratios of the total rainfall during irrigation season were 59.2% for red pepper and 48.9% for cucumber, respectively. Net project water requirement of design year are 837.3mm for red pepper. and 502.Smm for cucumber, respective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