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professional baseball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9초

한·미·일 프로야구 유니폼의 비주얼 아이덴티티 연구 - 색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Visual Identity of Professional Baseball Uniforms in Korea, America, and Japan - Focused on Color -)

  • 임송미;이미숙
    • 패션비즈니스
    • /
    • 제17권2호
    • /
    • pp.117-135
    • /
    • 2013
  • With the growth of mass media, professional baseball teams have strived to keep up team's tradition and individuality and build a distinctive image through sports marketing using visual identity. Among others, a baseball uniform is used as a sports marketing tool more than an uniform. Uniform color acts as a distinctive element in team's uniform design and is effective to raise attention, manifest a positive image to spectators, and increase trust and affinity.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color characteristics and images of professional baseball uniforms in America, Japan, and Korea as visual identity. For this, literature review was made on the history of baseball, uniforms, sports marketing, and visual identity, and then color characteristics and images were analyzed on professional baseball away uniforms in Korea, America, and Japan collected in Internet and official web sit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or color characteristics of professional baseball uniforms, the most frequently used color was R(V) color in Korea, ltGy color in America, and Bk color in Japan. Second, for color images of professional baseball uniforms, the most frequently used image was a casual image in Korea, a dandy image in America, and a modern image in Japan.

프로야구 스포츠스타에 대한 관람자의 가치인식과 추구혜택 (Spectator's Value Cognition and Expected-benefit Factors on Professional Baseball Sportstar)

  • 이종영;고정희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1권3호
    • /
    • pp.79-88
    • /
    • 2012
  • 본 연구는 프로야구경기관람자가 프로야구스포츠스타를 어떠한 가치로 인식하고 있으며, 추구하는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2011 롯데카드 프로야구경기를 일주일 6회 경기를 기준 4회 이상 경기를 관람한 사람들 중 8명을 선정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표적집단면접과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관람자의 가치인식은 A-R-C욕구충족이론을, 관람자의 추구혜택은 Holt의 소비의 메타포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관람자들은 프로야구스포츠스타를 재미추구의 대상으로서의 가치, 관계형성의 중심인물로서의 가치 및 동일시 대상으로서의 가치로 인식한다는 것과 관람자들이 프로야구스포츠스타에게 가치관의 확인지향, 영웅적 행동 지향을 추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프로야구스포츠스타에 대한 관람자의 가치인식과 추구혜택의 관계에서는 재미추구의 가치를 인식하는 관람자는 영웅적 행동지향을 추구하였고, 관계형성의 중심인물로서의 가치를 인식하는 관람자와 동일시의 대상으로서의 가치를 인식하는 관람자는 프로야구스포츠스타를 통해 가치관의 확인 지향을 추구한다는 관계를 알 수 있었다.

프로야구 라이센싱 패션제품 현황 분석 및 디자인 개발 (A Study on the Analysis and Design Development of Licensed Fashion Products of Professional Baseball)

  • 이미숙;정경희
    • 패션비즈니스
    • /
    • 제23권2호
    • /
    • pp.89-109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licensed fashion products based on the analysis of Korean professional baseball licensing. This study reviewed the introduction of sports marketing, licensing programs, and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licensing brands and products in Korean baseball clubs. Based on this analysis, high value added licensed products were developed for Korean professional baseball club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ll Korean baseball clubs operated offline shopping malls in their home stadiums and posted online shopping mall links on their websites. Moreover, licensed products were developed through agreements with sports and licensing companies, and sales were being done through official shopping malls, open markets, and shopping malls. Various marketing for specific events or targets were not done well. Second, licensed products were mostly fashion products such as clothing and hats. Most of them were unisex wear, but the proportion of fashion products for women was not large. Also, while the licensed products used elements that made the baseball team feel symbolic throughout, they sometimes sold products that did not reveal the identity of the professional baseball team, with an emphasis on motifs that were unrelated to the team. Third, this study selected KIA Tigers and developed 27 kinds of women's licensed fashion products including textile designs. Through this research, it was derived that there is the need for integrated marketing of Korean professional baseball, diversification of consumer-based licensing products, and enhanced entertainment products for the Korean baseball cheering culture.

한국 프로야구에서 새로운 승률제의 제안 (Suggestion of a New Method of Computing Percentage of Victories for the Korean Professional Baseball)

  • 김혁주
    • 응용통계연구
    • /
    • 제24권6호
    • /
    • pp.1139-1148
    • /
    • 2011
  • 프로야구 정규리그의 팀순위는 합리적인 기준에 따라 정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2011년 현재 한국 프로야구에서는 비합리적인 일본식 방식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 프로야구에서 사용된 적이 있는 팀순위 결정 방식들의 장점들을 조합하여 만든 새로운 승률 계산 방식을 제안하였다. 또한 기존의 방식들과 제안된 방식을 과거와 현재의 한국 프로야구 자료에 적용하여 그 결과를 관찰하였다.

일반화 자기회귀 조건부 이분산 모형을 이용한 한국프로야구 관중수의 예측 (Forecasting attendance in the Korean professional baseball league using GARCH models)

  • 이장택;방소영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1권6호
    • /
    • pp.1041-1049
    • /
    • 2010
  • 한국프로야구에서 관중수는 프로야구 발전을 위한 가장 큰 수입원이며 프로야구팀의 관심사이므로 수요예측 모형이 있다면 프로야구구단들은 관중유치 전략을 세우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프로야구 관중수를 예측하는 모형을 제안하고자 하며 제한된 여건 속에서 관중수에 영향을 미치는 이용 가능한 대부분의 변수들을 고려하였다. 종속변수는 로그관중수로 두고 다양한 독립변수와 오차항의 분산을 등분산, 조건부 이분산을 가정한 여러 가지 일반화 자기회귀 모형, 오차항의 분포가 t분포를 따른다는 가정을 이용한 일반화 자기회귀 조건부 이분산 모형들을 서로 비교하였는데, 그 결과 고려된 모형 중에서는 t분포를 가정한 일반화 자기회귀 조건부 이분산 모형이 가장 예측력이 뛰어났다.

한국프로야구 기록들의 장기추세 (Long term trends in the Korean professional baseball)

  • 이장택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6권1호
    • /
    • pp.1-1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한국프로야구 변천사를 야구 통계량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분석방법으로는 1982년부터 2013년까지의 한국프로야구 데이터를 이용하여 야구 통계량들의 시계열 그래프와 상관계수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 유의수준 1%에서 연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 통계량은 2루타, 타점, 4구, 삼진, 병살타, 사구, 출루율, OPS, 방어율, 폭투, WHIP이고,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인 통계량은 3루타, 도루자, 실책, 완투, 완봉, 보크였다. 상관계수가 유의한 야구통계량의 예측을 위해서는 Box-Jenkins의 ARIMA 모형을 이용하였다. 결론적으로 세월의 흐름과 가장 상관이 큰 것은 완투 횟수의 감소이며, 그 다음으로 삼진 개수의 증가를 들 수 있었다.

TV콘텐츠로서의 한국프로야구 가치분석 (An Analysis on the Value of Korea Professional Baseball as TV Contents)

  • 정지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379-388
    • /
    • 2014
  • 본 연구는 시청률을 활용하여, TV콘텐츠로서 한국프로야구의 위상이 어떠한지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른 장르의 TV콘텐츠에 대한 한국프로야구의 상대적인 위상을 시청률을 통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 2010년도 케이블TV채널 전체의 시청률에 대해 분당 시청률을 확보해 분석하였으며, 케이블 TV의 장르별, 채널별 시청률을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총 11개 장르에서 가장 높은 시청률을 기록한 장르는 드라마였으며, 예능, 영화, 어린이, 뉴스/보도, 스포츠, 음악 등의 순이었다. 가장 높은 시청률을 기록한 채널들은 드라마와 예능 채널들로 장르나 채널 수준에서 스포츠는 높은 순위를 기록하지 못했다. 하지만, 한국프로야구를 중계하는 시간대만을 별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장르와 채널 수준 모두에서 한국프로야구가 가장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즉, 케이블TV 해당 시간대에서 한국프로야구가 가장 가치 있는 콘텐츠라고 할 수 있다.

피타고라스 지수의 추정과 기록을 통한 한국프로야구 구단의 승률향상 방안 (Winning Rate Improvement of the Korea Professional Baseball teams on Pythagorean method and Record)

  • 배정섭;신선윤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5권6호
    • /
    • pp.361-373
    • /
    • 2016
  • 프로야구에서 팀 승률은 관중유지에 직결되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지표라 할 수 있다. James(1980)가 제안한 피타고라스 지수에 의거한 승률 도출은 실제 승률과 거의 일치하기 때문에 팀 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5년부터 2014년까지 10년 간 실제승률과 피타고라스 지수에 의거한 승률을 토대로 어떠한 세부기록이 이격도를 양산해내는지를 알아보고자 했고, 이를 토대로 한국프로야구 구단의 성과 향상 방안을 도출 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10년간 기대승률 대비 실제 승률은 +.062에서 -.054로 확인되었고, 이러한 결과가 도출되는 과정에서 피볼넷, 피삼진, 볼넷, 타율, 희생플라이 등의 기록이 프로야구단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구단은 타자로 하여금 선구안을 향상시키는 훈련을 통해 볼넷을 많이 얻어내고 삼진을 적게 당하는 전략을 구사해야 할 것이고, 투수의 경우 다른 요인보다 제구력 향상에 신경을 기울여 볼넷을 줄여나가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DEA/OERA를 이용한 프로야구 선수들에 대한 성과 측정 (Performance Evaluations of Professional Baseball Players using DEA/OERA)

  • 이덕주;양원모
    • 산업공학
    • /
    • 제17권4호
    • /
    • pp.440-449
    • /
    • 2004
  • The OERA(Offensive Earned-Run Average) is a methodology for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baseball players, which is based on a well- known Markov chain model. The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is an LP-based evaluation technique for performance analysis of DMUs (Decision Making Units), whose production activities are characterized by multiple inputs and outputs. In this paper, the performances of Korean professional baseball players are analytically evaluated using both OERA and DEA methods. We discuss methodological strengths and drawbacks of two kinds of baseball evaluation techniques, by comparing both results. Finally to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both methods, we develop a new analytical approach for baseball evaluation by combining OERA with DEA.

야구 피타고라스 승률의 수렴특성 (Convergence characteristics of Pythagorean winning percentage in baseball)

  • 이장택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7권6호
    • /
    • pp.1477-148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한국프로야구에서 팀의 득점과 실점을 가지고 시즌 승률을 예측하는 야구의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한 기대승률의 수렴특성을 살펴보았다. 사용한 자료는 2005년부터 2014년까지의 한국프로야구 정규시즌 초부터 정규시즌 말까지의 팀대 팀 전체기록이며, 그 결과 야구 팀의 특징 중에서 팀의 순위와 경기진행률이 수렴특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팀의 순위는 하위 팀들의 기대승률이 최종 기대승률에 빨리 수렴하였으며, 경기진행률은 20% 이하에는 최종 기대승률과 많은 차이를 보였으나 70% 이상부터는 통계적으로 최종 기대승률과 유의한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