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won, Soo Jeong;Lee, Ui Gun;Moon, Young Ja;Cho, Gab Yeon;Woo, Sun Hee;Boo, Hee Ock;Koo, Jin-Woog;Kim, Hag Hyun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pp.172-172
/
2017
Pollen germination and its' viability in bellflower hybrid system are of great importance.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everal factors underlying the pollen germination of Platycodon grandiflorum and obtain the basic data for effective artificial pollination for the production of sound specifies. The pollens of Platycodon grandiflorum started germination from one hour after planting, and the germination was actively progressed as time dependent manner. For lighting conditions, the germination of pollens under the light was faster by more than twice than that without the light. Furthermore, the germination was better in the high temperature rather than in the low temperature. The germination rate was higher in the $30^{\circ}C$. For the carbon source, the germination rate was better at the concentration of 15% regardless of the kinds. In particular, the highest value was observed with glucose. The germination rate was decreased substantially as the increasing with the higher pH. The dynamic germination of pollens was observed at the pH 5. With respect to the growth regulator, the higher concentration of NAA induced the higher the germination rate. $GA_3$ showed a good germination rate in $0.05mg{\cdot}L^{-1}$. Meanwhile, for kinetin, lower concentration increased the germination rate, unlike NAA. The higher concentrations of boric acid degraded the germination rate, and the addition of boric acid of $10mg{\cdot}L^{-1}$ demonstrated higher germination rate than the addition of other growth regulators. Notably, the addition of asparaginic acid exhibited the similar results in all test sectors regardless of concentration, whereas a little higher result was observed in the high concentration sector. Taken together, the results concluded that the boric acid was considered as one of the essential minerals that played an important role on the germination of pollens.
Ma Chang-Jin;Kasahara Mikio;Tohno Susumu;Kang Gong-Un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
제21권E3호
/
pp.107-113
/
2005
Using a sampling device of our own making, airborne pollen has been monitored in Kyoto, Japan from the middle of February to the end of May 2004. From the morphological analysis of pollen grains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it was possible to identify some pollen types like Cryptomeria, Pine, Alder, Cyclobalanopsis, Chamaecyparis, and Equisetum. Daily average airborne pollen counts show strong variations from the day to day which makes the appropriate daily forecasts that could be of practical use for patients difficult. Diurnal variation of airborne pollen grains at our local sampling site is very irregular and shows no similarity between pollen types. The highest concentrations of Cryptomeria and Alder pollens in the south -west wind directions might be attributed to the airborne pollen transport, while the increase in Pine pollen grain in the southern wind direction was probably due to the local spread. Prevailing wind direction (SW) during the pollinating periods of Cryptomeria and Alder pollens could suggest a long-distance transport from a distant mountain.
미나리아재비의 약을 배양하여 미숙화분 유래의 식물체를 획득하는데 있어서 생장조절제의 종류와 농도 및 배양 적기를 구명하기 위해 화분의 발육단계별로 캘러스, 배발생및 식물체 재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캘러스 및 배발생에는 2,4-D 및 kinetin 처리보다 NAA 및 BA처리에서 효과적이었으며 특히 0.5 mg/L NAA와 1.0 mg/L BA 처리구에서 가장 왕성하였다. 화분의 발육과정중 1핵성과 초기2핵성의 pollen mitosis 전후기인 개화 3일전의 약의 발육상태가 캘러스, 배발생 및 식물체 재분화에 적합하였다. 화분유래의 배발생은 영양세포의 계속적인 분열에 의해 이루어졌다.
Arabidopsis mutants deficient in flavonoid and sinapate ester (tt4 and fah1-7, respectively) were evaluated in vivo and in vitro to study the possible role of flavonoid compounds in pollen tube growth. In vivo, we investigated pollen tube growth in the pistils of the mutants and wild type(Ler). The growth of pollen tube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genotypes. In the fal1-7 pistils, the tubes grew to a greater length relative to those of the wild type or tt4. To examine in vitro pollen tube growth, a solid medium was devised for pollen germination and subsequent growth. In vitro, the identical result was obtained; fahl-7 pollens developed the longest tubes and elongated most rapidly. Therefore, the growth response of pollen tubes to phenolic compounds was examined by adding quercetin or sinapate ester in various concentrations to the media. Quercetin enhanced both germination rate and tube growth in the pollens of the mutants and the wild type, especially in tt4. In contrast, sinapate ester inhibits pollen germination and pollen tube growth in three genotyp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flavonoids and related phenolic compounds have physiological role in the plant reproductive system.
Plants pollination are conducted through various pollinators such as wind, animals, and insects. Recently, the necessity for artificial pollination is drawing attention as the proportion of natural pollinators involved is decreasing over the years. Likewise, the trade in pollen for artificial pollination is also increasing worldwide. Through these imported pollens, many unknown microorganisms can flow from foreign countries. Among them, spores of various fungi present in the particles of pollen can be dispersed throughout the orchar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omposition of fungal communities in imported pollen was revealed, and potential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fungi were investigated in four types of imported pollen. Top 10 operational taxonomic unit (OTU) of fungi were ranked among the following groups: Alternaria sp., Cladosporium sp., and Didymella glomerata which belong to many pathogenic species. Through FUNGuild analysis, the proportion of OTUs, which is assumed to be potentially plant pathogens, was higher than 50%, except for apple pollen in 2018. Based on this study of fungal structure, this information can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pollen quarantine process and contribute to fungal biology in pollen
Pollens of 20 species of Sedum were investigated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pollen morphology of Sedum was rather variable, within particular species or even within a single inflorescence. Differences occurred in the number and shape of apertures and surface sculpture. Besides 3-colporate, various aperture types including 2-syncolporate, 3-syncolporate, 40stephanocolporate, 5-stephanocolporate, zonate, and irregular types were found in a single specimen. Also, striate-rugulose and psilate sculpture were found in S. viviparum. No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pollen morphology and the floral formula. Pollen characters appeared to be not useful for infrageneric classification of Korean Sedum.
리기테다소나무 일대잡종(一代雜種) 종자(種子) 생산용(生産用) 잡종채종원(雜種採種園)에서 테다소나무와 개화기(開花期)가 일치(一致)될 가능성이 큰 리기다소나무의 암꽃 조기개화(早期開花) 개체(個體)들을 예비조사에 의해 선발한 후, 이들에 대해 자배(自配)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자배후(自配後) 구과(毬果)의 발달(發達)은 개체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여 주었으나 평균(平均) 83.8%의 착과율(着果率)을 나타내어 자배후(自配後)에로 대부분의 구과(毬果)가 정상적으로 발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리기다소나무의 경우 자가수정(自家受精)에 의한 충실종자(充實種子) 발달비율(發達比率)은 평균 34.5%로서 풍매수분(風媒受粉)에 의한 충실종자 발달비율 91.7%에 비하여 훨씬 저조하였으나 구주소나무에 비하여 자가수정에 의한 충실종자 발달비율이 비교적 높은 편이었다. 특히 몇몇 개체들은 그 비율이 70.0~83.5%에 이르러 $F_1$ 잡종채종원(雜種採種園) 조성용(造成用) 모수(母樹)로서의 그 가치(價値)가 의문시 된다. 새로운 일대잡종채종원(一代雜種採種園)을 조성할 때에는 선발된 종자모수들에 대하여 예비적인 자배시험(自配試驗)을 통하여 종자모수(種子母樹)로서의 적합성(適合性) 여부를 검정할 필요성이 충분히 있다고 생각되며 나아가서는 양친수종(兩親樹種)의 종간(種間) 혼합화분교배(混合花粉交配)에 의한 잡종종자(雜種種子) 생산능률(生産能率)도 검토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진달래 화분의 다양한 이용성과 기능성에 관한 연구를 위한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추출조건별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페놀성 화합물과 DPPH에 의한 전자공여능은 물보다 80%에탄올이 우수하였으며, 용매비에 따른 페놀성 화합물과 전자공여능은 용매비가 20배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온도에 따른 페놀성 화합물은 $45^{\circ}C$에서 347.60 mg%로 높게 나왔으며, 전자공여능은 $25^{\circ}C$에서 67.93%로 높게 나타났다. 추출시간에 따른 페놀성 화합물의 추출물은 6시간동안 추출한 추출물이 312.63 mg%로 가장 높았으며, 전자공여능은 추출시간에 따라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으나, 바로 추출하였을 때 가장 높게 나타났다. 추출 횟수에 따른 페놀성 화합물의 단위당 추출물과 전자공여능은 2회 추출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진달래 화분의 추출물은 페놀성 화합물과 DPPH에 의한 전자공여 활성은 용매비 20배, 추출온도 $25{\sim}45^{\circ}C$, 추출횟수 2회, 추출시간 6시간에서 전반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참나무속(Q. serrata, Q. dentata, Q. mongolica var. crispula, Q. aliena)의 인공교배에 의 한 종간잡종의 묘목을 조취(鳥取)대학농학부 구내의 묘포장에 식재하였다. 또한 조취(鳥取)대학 산산(蒜山)연습림에서 자연교잡종(Q. fabri와 $Q.{\times}mccormickii$) 가계의 묘목을 선발하여 조취(鳥取)대학 산산(蒜山)연습림에 식재하였다. 인공종간잡종 $F_1$은 4년생, 자연교잡종 $F_1$은 3년생 때에 개화하였다. 2001년도에 이 중에서 개화한 개체로부터 화분과 종자를 채취하여 화분의 크기와 임성, 종자의 활력을 조사하였다. 인공종간잡종 화분의 발아율은 1개체를 제외하고 84% 이상이었고, 화분관의 신장도 양호하였다. 인공종간잡종의 건전한 종자의 발아율은 90% 이상으로 양친과 비슷한 높은 발아율을 보였다. 자연잡종 가계의 종자도 건전한 종자의 발아율은 각 가계의 평균이 64% 이상이었고, Q. fabri, $Q.{\times}mccormickii$의 자식종자도 높은 번식 능력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F$_1$ hybrid seeds production(KF 114), som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a greenhouse this year. Mother plant(MSNC567) and pollen plant(NC) were grown in some pots (30 x 30cm, WxH). The gathered pollens were mixed with celite, pollen deluent dusts and stored in refrigerator at l$0^{\circ}C$ before pollination. To establish the critical range of the mixed rate and the storage period of pollens, the change in a percent of capsule set, number of seed and seed weight per capsule, weight of 1000 seeds and germination percent of seed resulted of pollination with pollen deluent dust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Percent of capsule set showed the mixed rate 1:5 resulted in no difference and those of 1:10 and 1:20 decreased about 5 ~15% when compared with trials using pollen alone.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duration of storage in a same mixed rate. Numbers of seed per capsul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mixed rates and among durations of storage. Numbers of seed per capsule were decreased about 55 ~ 90 % as the mixed rate increase, about 2 ~ 28 % as the duration of storage increase. Weight of seed per capsule decreased about 16 ~ 23 % as the duration increase and decreased about 3 ~ 89 % as the mixed rate increase when compared with trials using pollen alone. Weight of 1000 seeds showed non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duration of storage but were higher than trials used pollen alone as the mixed rate increase.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