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new records

검색결과 1,334건 처리시간 0.029초

우리나라 해안 근접지역과 일부 내륙지역 야생화들로부터 분리한 국내 미기록 효모들의 특성 (New Records of Yeasts from Wild Flowers in Coast Near Areas and Inland Areas, Korea)

  • 현세희;이향범;김창무;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74-80
    • /
    • 2013
  • 국내 해안 근접지역과 내륙 일부 지역에 서식하고 있는 야생화들로부터 분리, 동정한 효모들 중에서 국내 미기록 효모들을 선별하여 이들의 미생물학적 특성들을 조사하였다. 동해시의 야생화들에서 Candida silvae와 Cryptococcus terrestris, 안동시 부근의 야생화에서는 Auriculibuller fuscus의 국내에서 보고되지 않은 효모들을 분리하였다. 충남 내륙지역인 금산군에서는 Candida quercitrusa, Hanseniaspora opuntiae등의 미기록 효모들을 분리하였다. 또한 서해안 지역의 대천시에서는 Hannaella zeae, 태안시의 야생화에서는 Ca-ndida saopaulonensis, Sporobolomyces carnicolor, sporobolomyces phaffii등이 미기록 효모들로 분리, 선별하였고 예산군에서는 Candida oleophila와 Jaminaea angkoriensis 미기록 효모들을 분리하였다. 우리나라 서남부지역인 광주시 야생화에서는 Hanseniaspora vineae, 최남단인 완도군에서는 Pseudozyma hubeiensis, Pichia mexicana 등 모두 8곳에서 14종의 미기록 효모들을 분리하였다. 이들 미기록 효모들의 형태적, 배양학적 성질들이 조사한 결과 유포자 효모가 3종, 무포자 효모가 11종이었고 위균사 형성 효모가 7종이었으며 각기 다른 배양학적 특성을 보였다.

RiC-CM을 적용한 영구기록물 기술방안 연구 (A Study on Archive Description Using RiC-CM)

  • 김수현;이성숙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15-137
    • /
    • 2020
  • 본 연구는 영구기록물기술규칙 기반의 기술현황이 갖는 한계점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RiC-CM(Record in Context - Conceptual model)을 적용한 영구기록물 기술방안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국가기록원 영구기록원 기술현황의 한계에 대한 RiC-CM 기반의 해결방안과 그에 대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RiC-CM는 특정 영구기록물이 복수 출처맥락을 반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기록물과 각각의 출처를 개체로 정의하고 이들의 연관성을 관계로 표현하는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다. 기록물 개체들의 관계를 맺어주는 것만으로도 특정 영구기록물과 관련된 출처정보를 보다 정확히 표현 가능하고, 전체적인 생산맥락을 파악하기 용이하다. 둘째, RiC-CM는 연관이 있는 기록물 철·건 정보를 연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정 기록물 군(퐁)에 속하는 하위 기록물 철·건들은 각각 개체로 지정하고, 생산맥락에 따른 관계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실제 서비스를 제공할 때 연관된 영구기록물들의 정보를 한데모아 서비스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용자 입장에서는 영구기록물 검색의 폭을 넓힐 수 있다. 셋째, RiC-CM은 특정 생산기관과 연관된 모든 생산기관 정보를 연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만약 복수의 생산기관들이 서로 연관되어 있다면, 생산기관들을 각각의 개체로 정의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연관이 있다(associated with)'로 표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생산기관의 맥락정보, 즉 기록의 출처맥락을 종합적으로 살펴보는데 도움이 된다. 본 연구를 통해 전자기록 관리환경의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하여, 차세대 영구기록물 기술규칙인 RiC-CM에 대한 연구에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블록체인기술을 적용한 기록관리 모델 구축 방법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Blockchain Technology to the Record Management Model)

  • 홍덕용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23-245
    • /
    • 2019
  • 4차 산업혁명의 기반으로서 블록체인은 다양한 산업에서 신성장 동력을 만들어내는 중요한 핵심 인프라이면서 기술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세계적으로 블록체인에 대한 관심이 기업과 기관의 환경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블록체인 기술의 특성 및 동향을 조사 및 정리하고 공공기관 기록관리부분에 블록체인 기술의 적용이 필요한지 알아보았으며 공공기관의 기록관리분야의 구축절차 및 구축방법을 문헌으로 연구하였다. 최종적으로 기록물관리분야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여 아카이브체인(Archivechain)모델을 제안하고 어떠한 기대가 예상되는지 기술하고자 하였다. 전자문서의 기록관리 과정을 기록한 트랜잭션이 블록체인에 탑재되게 되면 단편적으로 비연계되었던 기록관리 표준업무처리 과정에 모든 단계 정보를 한 번에 확인 할 수 있다. 전자기록관리시스템에 블록체인기능이 탑재된다면 문서를 획득 등록하여 문서를 생산한 자가 메타데이터 및 정보를 입력한 후 모든 내용을 저장하고 분류한다. 그렇게 되면 생산현황보고의 절차가 간결하게 될 것이고 원문정보공개서비스를 통해 실시간으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아카이브체인(Archivechain)은 전자문서생산시스템과 기록관리시스템이 일체되었다는 가정하에 하이퍼레저 플랫폼을 적용하여 BaaS형 클라우드 인프라를 적용한 모델이다. 스마트하고 전자 정부로 진보하는 기록관리 체계를 만들기 위해 공공 기록물관리의 모든 생애주기에 블록체인에 배치함으로써 흩어져 있는 정보를 하나로 모을 수 있는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

A New Species and Two New Records of Cheilostomata (Bryozoa) from Korea

  • Seo, Ji-Eun;Gong, Hong-Hak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2권1호
    • /
    • pp.13-16
    • /
    • 2006
  • Three cheilostomatous bryozoans from Korean waters were identified. Thalamoporella sibogae Soule, Soule and Chaney, 1992 and Schizomavella acuta Osburn, 1952 are new to Korea, and Buffonellaria acutirostris is new to the bryozoans fauna. S. acuta and B. acutirostris n. sp. are described with figures.

Andaspis 속(노린재목: 깍지벌레과)의 한국미기록 2종에 대한 보고 (Two New Records of Andaspis Armored Scales (Hemiptera: Diaspididae) from Korea)

  • 서수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75-77
    • /
    • 2011
  • Andaspis속의 Andaspis crawii (Cockerell)와 Andaspis kashicola (Takahashi) 2종을 처음으로 국내분포로 보고하고, 한국산 Andaspis속의 종 동정에 필요한 검색표, 사진자료, 분포 및 기주 정보를 함께 기재하였다.

New records of Parasitidae mites (Acari; Mesostigmata) in Korea

  • Keum, Eunsun;Kaczmarek, Slawomir;Jung, Chuleui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5권3호
    • /
    • pp.300-308
    • /
    • 2016
  • Korean fauna mites in the family Parasitidae of Mesostigmata were reported as 6 genera, 22 species. Among those 20 species were recorded from Northern part of Korea by Athias-Henriot (1977; 1980), Daele (1975) and Tichomirov (1977), but two from Southern part of Korea by Choi (1994) and Korean zoological record (KSSZ, 1997). During the faunal study of soil predatory mites of diverse habitats in South Korea, four species of P. beta, P. fimetorum, P. insignis and Poecilochirus carabi are the new records to Korean peninsula. Taxonomic details and other biological characteristics are reported.

Five new records of ostracods (Crustacea) from Korea

  • Yoo, Hyunsu;Huyen, Pham Thi Minh;Karanovic, Ivana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6권spc호
    • /
    • pp.220-226
    • /
    • 2017
  • We briefly report the observation of five ostracod species: Scottia birigida Smith, Matzke-Karasz, Kamiya and Ikeda, 2002; Codonocera mortenseni Poulsen, 1962; Pyrocypris noctiluca Kajiyama, 1912; Euconchoecia cf. chierchiae Muller, 1890; and E. pacifica Chavtur, 1976. All five species are new records of Korean ostracod fauna. Specimens were collected during the 2014-2016 Korean Indigenous Species project. For three species we also include mtCO1 sequences. Currently, there are 65 published reports of indigenous Korean ostracod species.

한국산 원집게벌속 (벌목: 집게벌과: 원집게벌아과)의 한국 미기록 3종의 보고 (Three New Records of the Genus Anteon Jurine, 1807 (Hymenoptera: Dryinidae: Anteoninae) from South Korea)

  • 김창준;이종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197-203
    • /
    • 2016
  • 한국산 원집게벌속(Anteon)의 국내 미기록 3종, 짧은원집게벌(Anteon brachycerum (Dalman)) (신칭), 한줄원집게벌(Anteon confusum Olmi) (신칭), 광교원집게벌(Anteon infectum (Haliday)) (신칭)을 기록한다. 검색표, 식별형질, 주요 형질에 대한 그림 및 사진을 함께 제시한다.

Twenty new records of mycophagous gall midges (Diptera: Cecidomyiidae) from Korea

  • Ham, Daseul;Jaschhof, Mathias;Bae, Yeon Jae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8권2호
    • /
    • pp.238-246
    • /
    • 2019
  • Mycophagous gall midges in the family Cecidomyiidae (Diptera) are poorly known in Korea, with only 14 recorded species. From our sampling throughout South Korea during 2015-2017, we present evidence of the Korean distribution of another 20 species as follows-Lestremiinae: Anarete angusta Mo & Xu, 2009; Micromyinae: Anodontoceras saigusai Yukawa, 1967, Campylomyza appendiculata Jaschhof, 2015, Campylomyza furva Edwards, 1938, Peromyia gotohi Jaschhof, 2001, Peromyia pumila Jaschhof, 2001, and Tekomyia populi Möhn, 1960; Winnertziinae: Leptosyna nervosa (Winnertz), 1852, Winnertzia nigripennis (Kieffer), 1894, and Winnertzia solidaginis Felt, 1907; Porricondylinae: Bryocrypta indubitata Mamaev, 1964, Camptomyia flavocinerea Panelius, 1965, Coccopsilis obscura (Mamaev), 1964, Coccopsilis paneliusi (Yukawa), 1971, Cryptoneurus muscicola (Kieffer), 1896, Dirhiza abludentis(Mamaev), 1998, Divellepidosis separata (Yukawa), 1971, Larimyia lavalis Fedotova & Sidorenko, 2007, Parvovirga latostylata Jaschhof, 2013, and Porricondyla nigripennis(Meigen), 1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