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Korean movies

Search Result 547, Processing Time 0.03 seconds

영상자극에 의한 감성적 반응 연구 (Kansei Measure in Movies : A study on Emotional Movements)

  • 김다현;이승희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9-82
    • /
    • 2009
  • Movies are not only for projecting graphical contents but also for Kansei evaluation that stimulate human beings' sense and emotion in real time. Also, when one views movies or moving images with stories, including movies and dramas, the audience would often be sympathized through various factors of movies, such as performances of actors/actress, graphics, and music, are moved to tears and feel fear. Especially, emotional movement is different from impression and brought about as a result of responding to joy, which is one of the basic emotions of human beings. Moreover, it is suggested that emotion is the most positive aesthetic measurement toward objects. In this study, focusing on emotional movement that is one of many aesthetic reactions in human beings' watching movies, we developed an interface for measuring of emotional change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pply the output of our quantitative analysis on the results of the measurements to the effective designing and production of movies.

  • PDF

영화 자료를 활용한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와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Instruction using Movies on the Attitude toward Science and Learning Achievements in Elementary Students)

  • 권난주;이재용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9권2호
    • /
    • pp.113-123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struction using movies on the attitude toward science and learning achievements in Elementary Students. For this study, it was chosen two classes of the fifth grades in H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 province. One class was an experiment group and the other class was a control group. Instruction using movies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instruction using data of site T-nara that most teachers are using usually present was applied to the control group. Instruction using movies composed of seven steps was administered during the school hou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struction using movies was positive effect in the Attitude toward Science. Second, there was significance between the score of the learning achieveme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by instruction using movies. Third, there were many positive reactions of students about instruction using movies.

  • PDF

1950년대에서 1980년대의 영화에 나타난 한복 (The Hanbok in the Korean Movies from 1950's to 1980's)

  • 소황옥;김유승
    • 복식
    • /
    • 제64권2호
    • /
    • pp.126-134
    • /
    • 2014
  • This study studied female Hanbok that appeared in Korean movies in different periods, and investigated the changes and flow of the Hanbok in the movies based on the design and the form. Research scope is limited to Hanbok in Korean movies released between 1950' and 1980', and in order to study Hanbok in movies, snapshots of Korean movies for each period are used. Pictures are sourced from the Korean movie database, and forms and colors of Hanbok in the pictures are classified into 7 categories. Based on this, characteristics, changes and flow of Hanbok for each period are studied. Based on this, by investigating the Hanbok in Korean movies from silhouette and design perspectives and comparing each period, it is found that the following changes have been made: From 1950' to 1980', generally Min Jeogori (Normal Korean traditional jacket) had a higher rate. Up to early 1960', wide collar and collar strip were trends, but from 70' to 80', they have been remarkably narrowed. After liberation, ease and functional elements of western clothing were accepted. From 1950' to 80', generally wide and round shape sleeve were used. Also, from 50' to 80', normally skirt and Jeogori had the same color and fabric. Lastly. as Hanbok with western style fabric, rather than traditional Hanbok fabric was increasing, Hanbok with variously patterned fabric was shown. The lack of colored pictures led of limited research materials, and so a more accurate and sophisticated research on material and design was not possible, However,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has investigated changes and flow of Hanbok in modern Korean movies.

개봉 규모와 수익성에 따른 영화의 분류와 확산 패턴 분석 (Identifying the Diffusion Patterns of Movies by Opening Strength and Profitability)

  • 김태구;홍정식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412-421
    • /
    • 2013
  • Motion picture industry i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fields in the cultural industry and has experienced constant growth both worldwide and within domestic markets. However, little research has been undertaken for diffusion patterns of motion pictures, whereas various issues such as demand forecasting and success factor analysis have been widely explored. To analyze diffusion patterns, we adopted extended Bass model to reflect the potential demand of movies. Four clusters of selected movies were derived by k-means clustering method with criteria of opening strength and profitability and then compared by their diffusion patterns. Results indicated that movies with high profitability and medium opening strength are most significantly influenced by word of mouth effect, while low profitability movies display nearly monotonic decreasing diffusion patterns with noticeable initial adoption rates and relatively early peak points in their runs.

한국 및 미국 스포츠 영화 콘텐츠 특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Comparative Study on Characteristics of Sports Movies between Korea and the U.S.)

  • 정은정;전범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152-161
    • /
    • 2011
  •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 스포츠 영화가 어떤 특성을 가지며, 그 성과는 어떠한지에 대한 탐색적인 분석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 영화의 외적 특성을 살펴본 결과, 영화 소재를 제외한 상영연도, 장르, 등급 등은 모두 한국 및 미국 영화에서 유사한 특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및 미국 스포츠 영화 공통적으로 영화 상영연도는 글로벌 스포츠 이벤트 개최 여부와는 연계성이 높지 않았으며, 장르로는 휴먼 장르 비율이 가장 높았다. 등급의 측면에서는 전체 관람가 등급 점유율이 가장 높았다. 반면, 영화 소재의 경우에는 미국은 미식축구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한국은 야구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 영화의 내적 특성을 살펴본 결과, 주인공 성별 분포 및 내적 구조는 한국 및 미국 스포츠 영화 모두에서 비교적 유사하게 나타난 반면, 실화 여부에 있어서는 미국 영화가 한국 영화보다 실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인공 성별 분포에서는 한국 및 미국 스포츠 영화 모두 공통적으로 남자 주인공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내적 구조에서는 미국은 인물 중심 비율이 약간 높았던 반면 한국 영화는 인물 및 사건 중심 비율이 50%로 같게 나타났다. 셋째, 성과 측면에서는 한국 스포츠 영화들이 미국 스포츠 영화 보다 상업적 성공 비율이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스포츠 영화에 접근하는 양 국가의 제작방식 차이를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 스포츠 영화가 비주류 스포츠의 인간 승리에 초점을 집중함으로써 주제 참신성이나 다양성이 높지 않은 점을 나타내는 반면, 미국 스포츠 영화는 주류 스포츠 영화의 인간 승리에 집중한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한국 및 미국 스포츠 영화는 내적 구조에서나 외적 구조 모두에서 유사성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스포츠 영화의 장르적 속성이 영화 기획 및 제작에 그대로 반영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다만, 미국 영화는 상업적 성공을 위해 한국 영화보다 특정 스포츠 종목에 집중하는 추세가 나타나고 있다.

한국 영화시장의 집중화 현상에 대한 논의 : 흥행영화의 공급과 소비를 중심으로 (A Study on Centralization of the Korean Film Market : Focusing on the Supply and Consumption of the Top 100 Movies)

  • 박승현;이푸름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109-124
    • /
    • 2020
  • 이 연구는 한국 영화시장에서의 집중화 현상을 고찰하기 위해 스크린 규모와 흥행, 그리고 국적을 중심으로 이를 분석했다. 분석대상은 2005년부터 2019년까지 15년 동안의 연도별 흥행 100위권 영화로, 총 1,500편이다. 분석결과 스크린수는 매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였고, 스크린 집중화는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흥행 100위 기준 스크린 집중도는 2005년의 12%에서 30% 이상으로 상승했으며, 흥행 10위 기준에서는 2005년 21%에서 큰 상승폭을 보이며 2014년 이후 매년 50% 이상을 차지했다. 개봉 스크린 규모가 증가하면서 멀티플렉스는 흥행유인력이 높은 영화에 보다 많은 스크린을 할당했다. 오랫동안 스크린 독과점에 대한 비판이 있어왔지만 멀티플렉스는 2011년과 2012년 이후 이를 더 심화시키면서 한 편의 영화가 전체 스크린의 60% 이상을 차지하고 개봉되는 상황을 발생시키고 있다. 멀티플렉스의 이런 방식은 흥행 100위권 영화의 시장 점유율을 95%까지 상승하게 하고 있다. 또한 멀티플렉스는 한국영화보다 할리우드 영화에 보다 더 많은 스크린을 할당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흥행성과가 높은 100위권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 영화 국적은 한국과 미국으로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제외한 18개 국가의 경우 공급 측면에서 9.3%만 차지했다. 영화의 국적별 소비를 살펴보면, 두 국가로의 집중화 현상은 더 강하게 나타났다. 공급 차원에서 90.7%를 차지하고 있지만 소비 측면에서 96.6%를 차지했다. 공급에서의 집중화 현상은 소비에서의 집중화 현상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여주었고, 소비 측면에서의 집중화가 공급 측면보다 조금 더 높게 나타났다. 한국 영화시장은 스크린의 증가가 공급과 소비의 집중화를 심화한 사례로 드러났다.

On the Costume Culture in South Korean Movies and Television Series and Its Creative Industries

  • Shi, Vajuan;Guo, Pingjian
    •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Culture
    • /
    • 제13권1호
    • /
    • pp.5-8
    • /
    • 2010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costume culture of South Korean movies and television series on the development of fashion industry. South Korean movies and television series make full use of the influence of costume culture to advocate Korea's national spirit and character as well as the confidence and vigor of the young generation. They contribute to establishing South Korea as a country with a graceful, modern appearance and great cultural heritage. The presentation and promotion of its costume culture in movie and television series stimulates its cultural competence and advances its cultural creative industry. The spread of Korean costume culture has become the pioneer and foreshadowing of clothing industries and greatly underpins its advancement overseas. In concert, the development of clothing industry helps the spread of Korean costume culture.

  • PDF

애니메이션, 실사영화, 디지털영화의 프레임과 미장센 특성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n Frame And Mise-en-Scene in Animation, Live-Action Movies & Digital Cinema)

  • 금보상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11호
    • /
    • pp.41-53
    • /
    • 2007
  • 최근의 영화는 기존의 애니메이션과 실사영화라는 범주로 나눌 수 없을 만큼 그 경계가 모호하다. 디지털영화의 등장이 애니메이션과 실사영화의 경계를 허물고 있는 것이다. 이 논문은 애니메이션과 실사영화, 디지털영화의 프레임과 이를 근간으로 한 미장센의 특성을 다루고 있다. 애니메이션과 실사영화는 각각 회화적, 사진적 프레임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합성이미지를 근간으로 하는 디지털영화는 두 양식의 프레임 특성을 모두 갖게 된다. 이는 결국 영화작가의 표현스타일인 미장센의 차이로 나타난다.

  • PDF

영화 「친절한 금자씨」에 나타난 팜므파탈 이미지 분석 (An Analysis of Image of Femme Fatale Represented in the Movie 「Sympathy for Lady Vengeance」)

  • 양은진;이언영;이인성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97-202
    • /
    • 2007
  • The femme fatale image presently observable in various fields is reproducing its image through repetitive imitation, change and application, in particular, through 'movies' which have a greater ripple effect on the public than any other mass media by incessantly producing a countless number of images.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the intrinsic mean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age of femme fatale, understand the modern expression of it in movies and finally shed light on its image represented in Korean movies. For this study, the literature and internet materials related to the image of femme fatale in the movie "Sympathy for Lady Vengeance" and the general concept of femme fatale were comprehensively surveyed. The femme fatale image which is represented in this movie is classified into 4 images ; disguise & mystery, retribution & cruelty, enchantment & beauty, salvation & redemp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an insight into how the femme fatale image is expressed in movies, the mass media which has a gigantic ripple effect, and provide the momentum to recognize the need and significance of understanding the femme fatale image represented in Korean movies.

한국의 영화정책과 스크린 쿼터제의 변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s of the Screen quota system as a Film policy in Korea)

  • 조희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982-991
    • /
    • 2006
  • 스크린쿼터제는 한국영화계의 가장 중요한 쟁점 중의 하나다. 이 제도가 한국의 영화산업의 보호와 성장에 크게 유용하다는 주장과 오히려 과도한 제도적 보호가 자생력을 약화시키는 요인이 된다는 주장이 대립하고 있기 때문이다. 2006년 7월 1일부터 연간 73일 수준으로 축소되었는데, 이전에 비해 절반으로 줄어든 것이다. 역사적으로 한국에서 스크린쿼터제는 두 번의 시행과정을 겪었다. 첫 번째는 일본이 한국을 식민통치하고 있던 1935년부터 1945년의 해방까지의 기간 동안에 시행된 것이며 또 한 번은 1967년부터 시작해 현재까지 이르는 기간이다. 전자는 식민지 기간 동안 영화를 정치선전 수단으로 활용하려던 일본인들이 외국영화 특히 미국영화의 수입을 제한하기 위한 조치로 시행되었다. 1935년에는 외국영화의 상영비율이 전체 영화의 4분의 3 수준을 넘지 못하도록 제한했으며 1936년에는 3분의 2, 1937년에는 절반을 넘지 못하도록 점진적으로 제한 비율을 확대했다. 일본이 미국 진주만을 공격한 이후 태평양전쟁이 일어난 이후에는 미국영화의 수입을 전면적으로 금지했다. 외국영화의 상영을 제한했던 이유는 일본영화와 한국영화를 모두 포함하는 국산영화의 상영을 강제적으로 늘리기 위해서였다. 전쟁수행을 위한 정치적 선전 수단으로 활용하려고 한 것이다. 후자는 한국영화의 산업적 성장을 유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그러나 제도의 시행에도 불구하고 한국영화의 경쟁력은 개선되지 않았으며 극심한 불황에 시달렸다. 정책의 보호로 시장을 독과점한 한국의 영화사들은 관객이 원하는 영화를 개발하는 대신 외국영화의 수입을 통해 이익을 극대화하는데 만족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영화사 설립은 엄격하게 제한되었으며 외국영화 수입도 마찬가지였다. 영화사는 경쟁자가 없는 상태에서 특별한 보호를 받는 것에 만족하고 있었다. 관객들은 그런 한국영화를 외면했으며 외국영화를 딘 좋아했다. 게다가 스크린 쿼터제는 극장측에 일방적인 의무를 부과함으로서 제작과 유통을 적대적인 관계로 대립하게 만들었다. 경쟁력이 미약한 한국영화를 의무적으로 상영해야 하는 극장측은 정부의 정책에 지속적으로 반발했다. 스크린 쿼터제는 영화제작자, 극장 운영자, 관객 어느 누구도 만족시켜주지 못했다. 과도한 보호가 오히려 한국영화의 경쟁력을 약화시킨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