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mathematicians

검색결과 147건 처리시간 0.022초

On the spectral rigidity of almost isospectral manifolds

  • Pak, Hong-Kyung
    • 대한수학회보
    • /
    • 제29권2호
    • /
    • pp.237-243
    • /
    • 1992
  • Let (M, g, J) be a closed Kahler manifold of complex dimension m > 1. We denote by Spec(M,g) the spectrum of the real Laplace-Beltrami operator. DELTA. acting on functions on M. The following characterization problem on the spectral rigidity of the complex projective space (CP$^{m}$ , g$_{0}$ , J$_{0}$ ) with the standard complex structure J$_{0}$ and the Fubini-Study metric g$_{0}$ has been attacked by many mathematicians : if (M,g,J) and (CP$^{m}$ ,g$_{0}$ ,J$_{0}$ ) are isospectral then is it true that (M,g,J) is holomorphically isometric to (CP$^{m}$ ,g$_{0}$ ,J$_{0}$ )\ulcorner In [BGM], [LB], it is proved that if (M,J) is (CP$^{m}$ , J$_{0}$ ) then the answer to the problem is affirmative. Tanno ([Ta]) has proved that the answer is affirmative if m .leq. 6. Recently, Wu([Wu]) has showed in a more general sense that if (M, g) and (CP$^{m}$ ,g$_{0}$ ) are (-4/m)-isospectral, m .geq. 4, and if the second betti number b$_{2}$(M) is equal to b$_{2}$(CP$^{m}$ ).

  • PDF

TEACHING APPLIED MATHEMATICS FOR ENGINEERS - A NEW TEACHING PARADIGM BASED ON INDUSTRIAL MATHEMATICS

  • Taavitsainen, Veli-Matt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dustrial and Applied Mathematics
    • /
    • 제11권2호
    • /
    • pp.31-40
    • /
    • 2007
  • What is the "new paradigm"? It is impossible express it in one or two words, but if one had to; the closest might be the "holistic approach". The expression can be justified by the fact that the conclusions above lead to a greater intermixing of mathematics with engineering and natural sciences subjects, typically expressed in the form of examples of simplified real problems. They also lead to a greater intermixing of subjects within mathematics so that the courses should have less separation e.g. between symbolic and numerical mathematics. The conclusions also lead to the spreading the mathematics courses throughout all study years, not just the first two years. Of course, this should be done with great care in order to guarantee studies that are logically linked together. The new paradigm also means that the needs arising from industrial mathematics must be taken into account in the contents of engineering mathematics courses. Such topics are e.g. multivariate methods, statistics and use of mathematical software. What are we expected to gain from the paradigm shift? The primary benefit should be in obtaining more productive engineers equipped with a better degree of mathematical preparedness for engineering problems. But in addition, it should also promote more intensive use of applied mathematics and easier communication with professional mathematicians, often needed in complicated industrial problems.?Finally, it can be noted that the new paradigm is in harmony with the basic ideas of the CDIO (Conceive - Design - Implement - Operate) initiative for producing the next generation of engineers [1]. New ideas for engineering education can be found also in the homepage of SEFI (European Society for Engineering Education) [2].

  • PDF

COMPACTNESS AND DIRICHLET'S PRINCIPLE

  • Seo, Jin Keun;Zorgati, Hamd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dustrial and Applied Mathematics
    • /
    • 제18권2호
    • /
    • pp.193-207
    • /
    • 2014
  • In this paper we explore the emergence of the notion of compactness within its historical beginning through rigor versus intuition modes in the treatment of Dirichlet's principle. We emphasize on the intuition in Riemann's statement on the principle criticized by Weierstrass' requirement of rigor followed by Hilbert's restatement again criticized by Hadamard, which pushed the ascension of the notion of compactness in the analysis of PDEs. A brief overview of some techniques and problems involving compactness is presented illustrating the importance of this notion. Compactness is discussed here to raise educational issues regarding rigor vs intuition in mathematical studies. The concept of compactness advanced rapidly after Weierstrass's famous criticism of Riemann's use of the Dirichlet principle. The rigor of Weierstrass contributed to establishment of the concept of compactness, but such a focus on rigor blinded mathematicians to big pictures. Fortunately, Poincar$\acute{e}$ and Hilbert defended Riemann's use of the Dirichlet principle and found a balance between rigor and intuition. There is no theorem without rigor, but we should not be a slave of rigor. Rigor (highly detailed examination with toy models) and intuition (broader view with real models) are essentially complementary to each other.

수학사에 근거한 수학영재의 창의적 산출물 평가 준거 개발 (Development of the Evaluation Criterion for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Creative Product in View of Mathematical History)

  • 김선희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75-94
    • /
    • 2005
  • 이 연구는 창의적 생산력 계발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에서 수학영재 학생들이 생산한 창의적 산출물을 평가할 수 있는 준거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수학사를 통해 수학자들이 이룩한 산출물을 토대로 창의적 산출물 생산 모델을 제안하였는데, 이 모델은 수학적 지식, 수학적 사고, 수학적 탐구 기술의 세 가지 요소와 창의적 산출물 전체에 대한 평가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학생들의 산출물은 모델의 각 요소에 초점을 둔 것에 대응시킬 수 있었다. 수학에서의 창의적 산출물에 대한 평가 준거는 창의적 산출물 생산 모델의 요소에 근거하여 개발하였으며, 이 준거에 의한 평가는 타당성과 신뢰성을 가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복소수 개념의 발달과 교육적 함의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complex number and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 이동환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53-75
    • /
    • 2012
  • 본 논문은 복소수 개념이 정당화되는 과정에서 실수와 허수 사이의 관계가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살펴보았다. 허수가 처음 등장한 16세기에 수학자들은 현재와 동일하게 허수를 계산할 수 있었지만 허수를 수학적 대상으로 인정하기까지는 200여년의 시간이 필요했다. 수학이 발달하면서 나타나는 새로운 문제 상황이 실수와 허수의 조화를 요구하였고, 그 결과 복소수의 개념이 점차 명확해졌다. 복소수 개념 발달의 역사는 실수와 허수의 대립이 해소되어 실수와 허수를 복소수로 포괄할 수 있는 관점을 찾아가는 과정이었다. 실수와 허수가 어떤 점에서 대립을 하였고, 수학자들은 이러한 대립에 어떻게 대처하였는가에 분석의 초점을 두고, 실수와 허수의 관계를 정립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새로운 사고방식이나 관점을 확인하고 그 영향을 살펴본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결과가 보여주는 교육적 함의를 기술하였다.

시몬 스테빈(Simon Stevin)의 십진 소수체계 : 기하학과 산수의 본격적인 융합 시도 (Simon Stevin's Decimal Fraction System : An Effort for the Unification of Geometry and Arithmetic)

  • 정원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1-52
    • /
    • 2009
  • 1583년 네덜란드의 수학자 시몬 스테빈은 그의 대표작 "십분의 일" (De Thiende)을 출판했다. 이 책에서 스테빈은 모든 수를 동일하게 표현할 수 있는 십진 소수체계를 최초로 제안했다. 이 논문에서는 스테빈이 명시적 목표와 숨겨진 목표를 가지고 새로운 체계를 제안했음을 주장할 것이다. 명시적 목표는 실용 수학자들이 원활하게 사용하기를 바란다는 것이었다. 반면 "십분의 일"에서는 명확히 드러나지 않지만 그의 다른 저술들을 통해 파악되는 숨겨진 목표는 16세기까지 영향을 미치던 아리스토텔레스적인 불연속적인 수와 연속적인 크기의 구분을 철폐하려는 것이었다.

  • PDF

연립방정식 풀이의 역사발생적 고찰-종결식을 중심으로 (Historical analysis of System of Equations-Focused on Resultant)

  • 최은미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6권2_3호
    • /
    • pp.149-161
    • /
    • 2013
  • 본 논문에서 연립일차방정식의 풀이법 연구로부터 시작하여 연립고차방정식의 해법 연구로 발전되어가는 과정을 역사발생적 관점에서 고찰한다. 연립일차방정식을 푸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가우스 소거법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덜 알려져 있지만, 연립고차방정식에는 오일러의 소거이론과 베조의 종결식이 있다. 이러한 발전의 역사적 과정을 알아보고 특별히 종결식을 처음으로 정의한 베조의 연구방법을 조명해 본다.

수학적(數學的) 구조(構造)와 산학계몽(算學啓蒙) (Mathematical Structures and SuanXue QiMeng)

  • 홍성사;홍영희;이승온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6권2_3호
    • /
    • pp.123-130
    • /
    • 2013
  • 주세걸(朱世傑) 산학계몽(算學啓蒙)은 조선 산학의 발전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 산서이다. 천원술을 비롯한 산학계몽(算學啓蒙)의 내용은 조선 산학의 중요한 연구 대상이 되었다. 이 논문의 목적은 주세걸(朱世傑)이 수학적 구조를 강조하면서 산학계몽(算學啓蒙)을 저술한 것을 보여서 조선 산학자들에게 수학적 구조에 대한 이해를 크게 확장한 것을 드러내는 것이다. 이와 함께 주세걸(朱世傑) 이전의 산서에 나타나는 구조적 접근과 산학계몽(算學啓蒙)의 접근을 비교하여 주세걸(朱世傑)의 접근이 뛰어나고 또 현대에 사용되는 구조적 접근과 일치하는 것을 보인다.

APPELL'S FUNCTION F1 AND EXTON'S TRIPLE HYPERGEOMETRIC FUNCTION X9

  • Choi, Junesang;Rathie, Arjun K.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B:순수및응용수학
    • /
    • 제20권1호
    • /
    • pp.37-50
    • /
    • 2013
  • In the theory of hypergeometric functions of one or several variables, a remarkable amount of mathematicians's concern has been given to develop their transformation formulas and summation identities. Here we aim at presenting explicit expressions (in a single form) of the following weighted Appell's function $F_1$: $$(1+2x)^{-a}(1+2z)^{-b}F_1\;\(c,\;a,\;b;\;2c+j;\;\frac{4x}{1+2x},\;\frac{4z}{1+2z}\)\;(j=0,\;{\pm}1,\;{\ldots},\;{\pm}5)$$ in terms of Exton's triple hypergeometric $X_9$. The results are derived with the help of generalizations of Kummer's second theorem very recently provided by Kim et al. A large number of very interesting special cases including Exton's result are also given.

라플라스변환 사례를 통한 수학교육철학(數學敎育哲學) 모색 시론 (An Essay on Philosophy of Mathematics-Education with an Episode)

  • 오채환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59-74
    • /
    • 2010
  • '수학교육철학' 이라는 이름은, 기존의 원론적인 수학철학 이론전반의 검토를 포함하되, 주로 교육적 입각점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논의전개 양태를 두루 지칭한다. 따라서 이 같은 수학교육철학은, 새로운 고유의 수학철학 정립을 궁구하기보다는, 교육에 최적인 수학철학 이론의 모색 내지는 요청을 우선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원론적인 수학철학 논의와 성격을 달리한다. 본 소고는 그 중에서도 단초적 시론으로서, 대학교 이공계열 필수과목인 초급미분방정식 교육과정에 나타난 한 사례의 소개 및 그것을 통한 내용이해의 효율성과 수학철학 유형의 정성적관계 (qualitative relation) 를 사변적으로 일별해 보는 것으로 제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