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literature

검색결과 16,392건 처리시간 0.042초

한의학과 문학의 교섭 양상 연구 -약명시(藥名詩)를 중심으로- (A Study on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TKM and Literature : Centering on Medicinal Name Verses(YakMyeongSi))

  • 이정현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77-84
    • /
    • 2010
  • In this study, YakMyeongSi were considered to define relations of Tradional Korean Medicine(TKM) and literature. In the introduction, present related studies were searched to clarify YakMyeongSi are completely different from medical property songs(YakSeongGa). Related data about YakMyeongSi and YakSeongGa were extracted for the initial findings. In chapter 2, medical name verse was defined as 'a type of free verses with one or more medical names in each verse to be interpreted ordinarily' based on records and examples of YakMyeongSi. In China, it originated from "Book of Odes" and "Songs of Chu", and it was most popular in the Song-China. Medical names actually referred to medical names in the early forms of the Warring States Period, but the complete form of YakMyeongSi started to appear in the Tang-China. In chapter 3, 34 YakMyeongSi and 5 related data were suggested in tables as the present conditions of Korean YakMyeongSi. With actual examples, better comprehension of YakMyeongSi were intended. Also, the fact that Korean YakMyeongSi were completed in forms at the end of Goryeo and beginning of Joseon dynasty. The motivations of writing YakMyeongSi were also studied. Medical names were put into verses because they well expressed landscapes and emotions. Propagation of medical knowledge was the basis of YakMyeongSi. There are limits in defining the relations of TKM and literature with some YakMyeongSi. More studies must be carried out on YakMyeongSi in various records with details and interests. Also, study to define general relations of TKM and literature must be carried out together by examining TKM in literary forms such as medical introductions or medical property songs and literature pieces that expressed principles and materials of TKM.

인문고전 독서교육이 청소년의 인성과 역량 증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Classical Literature Reading Education on Youth's Character and Competency Development)

  • 이아영;조미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245-26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인문고전 독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청소년의 인성과 역량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문고전 독서교육이 청소년의 인성과 역량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참여의지에 따른 프로그램 효과검증에서 자발적 참여집단이 비자발적 참여집단보다 높은 평균을 보이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문고전 독서교육의 지도방법에 있어서 인성키워드 중심의 토의식 수업은 낭송중심의 수업보다 더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팬터지를 이용한 독서지도에 관한 연구: 학생들의 창의력 제고를 중심으로 (A Study on Reading Guidance for Creativity Enhancement by Using Fantasy Literature)

  • 유소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27-143
    • /
    • 2002
  • 필자는 팬터지 문학작품을 이용하는 것이 학생들의 창의력 함양에 도움이 되는 이유를 밝히고 있다. 창의성이란 정보를 통합하는 두뇌활동 중에 생산되는 것인데 팬터지 작품은 등장인물이나 배경을 통하여 이질적인 현실세계와 비현실의 있을 수 없는 정보들을 하나의 이야기로 엮음으로써 이질적인 정보를 하나의 시스템에 통합시킨다. 팬터지를 읽는 독자의 두뇌는 매우 이질적 정보들이 시스템(이야기)화 하는 즉 정보 통합의 예를 경험하게 된다. 그러므로 독서지도에서 팬터지 작품을 많이 이용하면 학생들의 두뇌활동 중에 정보를 통합하는 기회가 많아 질 것이고 학생들은 자연히 창의성 함양의 기회를 많이 가질 수 있다.

가속모델의 가속계수 조사 (Investigation of the Acceleration Coefficient in Acceleration Models)

  • 박현종;김성준;박범식;박소미;성시일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135-148
    • /
    • 2024
  • Purpos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iterature on accelerated tests based on the acceleration model and to provide a compilation of results on the parameters applied in the acceleration model and the test conditions. Methods: This research is conducts a literature review on accelerated tests using the acceleration model, with a focus on test targets, test conditions, and parameter values. The study is organizing the results of this literature review to facilitate their application in the design of reliability tests. Results: A literature review investigated a variety of test targets, test conditions, and parameter value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literature research conducted revealed various acceleration model parameter. Such literature research on accelerated tests can establish the foundation for reliability test design and contribute to future product development and quality improvement

한국문학의 영어권에 있어서의 수용 및 연구 현황 - 미국을 중심으로 (The Translation and Study of Korean Literature in English Speaking Countries)

  • 권석우
    • 인문언어
    • /
    • 제7집
    • /
    • pp.205-226
    • /
    • 2005
  • Up to January 2003, the amount of English translated works of Korean Literature are 399, among which 170 are translated abroad, 189, in Korea, and 40, abroad as well as in Korea at the same time. Like other language speaking countries, the 1980s and the 1990s are peak not only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Literature but also for its scholarly attention. The statistic analysis of information, accumulated in various databases such as The Harvard Korean Studies Bibliography, Hawaii Korean Studies Bibliography, and MLA International Bibliography, shows that up to February 2004, 33 books, 16 dissertations and one thesis, 200 articles, and 84 reviews are wholly devoted to the study of Korean Literature in English speaking countries. However, why certain works of poets like Kim Sowol, Han Youngun, So Chungju, and novelists like Hwang Sunwon, Han Moosook, Kim Dongri are mostly translated in English speaking countries remain to be analysed in their socio-political details in breadth and depth. Likewise, why the works of So Chungju, Yi Kwangsoo, Kim Manjoong, Han Youngun, Kim Sowol, Chung Jiyoung are mostly taught and studied in English speaking countries are open to further scholarly discussion and debate.

  • PDF

만해축전을 통해서 본 한국문학진흥정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licies for the Promotion of Korean Literature seen through Manhae Festival)

  • 이원오;류지성;김지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234-246
    • /
    • 2015
  • 미디어가 주도하는 정보화시대의 도래로 문학은 문화의 중심적 지위를 영상 매체에 넘겨주게 되었고, 한국문학은 문학수요자의 이탈과 젊은 문학 수요자의 기반이 형성되지 못함에 따라 위기를 맞게 되었다. 1995년 지방자치제도 도입이래 급증하여 최소 110개에 달하는 문학제는 사회저변에 문학을 알리고 확산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 논문은 문학제 가운데 이미 활발히 진행 중에 있는 만해축전을 선정하여 그 현황과 성과를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여 문학정책의 진흥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만해축전은 시인이자 독립운동가인 만해 한용운을 기리는 문학축제로 강원도 인제라는 오지에서 개최됨에도 불구하고 만해대상 시상과 각종 문화예술 및 학술행사 등을 통해 국내 손꼽히는 문학제로 위상을 갖추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 향후 만해마을은 복합문화공간으로서, 흥이 있는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문학축제화 및 슬로시티와 문학 관광기행 특구 지정 등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더해지면서, 만해를 스타 브랜드화 하여 글로컬라이제이션을 추구할 경우 보다 발전적인 문학축제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국내의 대부분의 문학제가 지역 문인 위주의 소규모 행사에서 머물고 있는 데 대해 시사점이 크다. 이제 문학제는 대중성을 확보한 가운데 지역축제의 장으로 승화시킬 필요가 있다. 한편, 국내 뿐 아니라 외국의 성공적인 문학진흥정책과 사례를 심도 있게 분석하는 등 연구의 외연을 넓혀 접근할 필요성이 있다.

선행연구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한 한의학 고혈압 정보 시스템 개발 (Implement Traditional Korean Medical Information System of Hypertension through Building Database of Advanced Research Articles)

  • 예상준;김창석;김철;김영은;장현철;김상균;김보영;송미영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35-43
    • /
    • 2012
  • Objectives: Hypertension is the highest ratio among chronic disease in Korea, and the western medical information about hypertension is provided by many web sites. Advanced researches about hypertension have been conducted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TKM) for decades, but the research results are not arranged. So the results have not been utilized in following research nor contributed to the expansion of public knowledge. Methods : We did this study to improve this situation. In this study, we built database about advanced research articles related hypertension in TKM and implemented TKM information system of hypertension. Results : First, we benchmarked hypertension information systems and designed the TKM information system based on the benchmarking results and comments from TKM doctors. And it was composed of introduce, treatment, and etc. Second, we built prescription, herb, acumoxa, qigong, prevention/management, and pill database which is about 600 data extracted from papers and books. Third, we implemented JAVA/JSP based web information system which provides the database. And we created links for the each papers and books to use more easily. Conclusions : If we provide the research results about TKM hypertension diagnosis and combinational medication of western and oriental medicine, this information system will be more useful. And if we add internal and external project report about hypertension, it will be more worthy.

한국 차-연대기 문헌 DB 구축 및 웹서비스 구현 (A Construction of Korean Tea-Historical Literature DB and Implementation of Web Service)

  • 이민규;양정현;정세훈;심춘보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2권9호
    • /
    • pp.103-115
    • /
    • 2023
  • 조선왕조실록 등 8개 역사 문헌에 수록된 차 관련 정보의 열람을 위한 한국 차-연대기 문헌 DB를 구축하고 웹서비스를 구현했다. 데이터는 기존의 구축된 역사 문헌 DB 및 열람 서비스에서 수집했다. 가공 및 검수, 태그 입력을 수행하여 53,679개의 차 관련 연대기 문헌 데이터를 생성하고 DB를 구축했다. 또한 기존 분산된 열람 서비스를 일원화하여 연대기 문헌의 차 관련 정보를 단일 웹서비스로 제공한다. 문헌명·시간·태그별 검색기능 지원, 데이터별 속성 태그 지정, 원자료 링크를 통한 검색 연계와 북마크 기능을 추가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했다. 본 연구의 결과물은 차 관련 문헌 사료를 집적하고 접근성을 개선함으로써 관련 분야의 연구를 지원하고 식품 자원 및 문화유산으로서 한국 전통 차의 보존과 교육에 기여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한의학 분야에서의 양생 연구 동향분석 (Literature Review about Yangseng(養生) studies in Korean Oriental Medicine)

  • 한창현;권오민;박황진;이봉효;이영준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39-45
    • /
    • 2012
  • Objectives : This study was aimed to analysis the trend of Yangseng(養生) studies in Korean Oriental Medicine and to consider the scope of Yangseng research. Method : We collected 86 articles on Yangseng study result from the OASIS system using the keyword 'Yangseng'. Results : There were Yangseng study papers that were published between 1963 and 2011. Published 21 papers on The Korean Journal of Oriental Preventive Medicine were more than the other journals. Literature studies account for 78% of total studies, whereas clinical studies account for only 22%. Effects of clinical studies was evaluated mainly by survey. Conclusions : High quality experimental studies and intervention studies have not yet been published. It is necessary to research and develop duration of Yangseng effect and tools for evaluating.

영문(英文) 한국고전문학사 서술의 이해 (A study on understanding of a history of Korean classic literature written in English)

  • 최윤희
    • 동양고전연구
    • /
    • 제59호
    • /
    • pp.233-261
    • /
    • 2015
  • 이 논문은 영문으로 된 한국고전문학의 서술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삼고 있다. 영문으로 된 한국고전문학사를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특징을 갖는다. 우선 한국문학사라고 일컬을 만한 영문 저술서들의 현황을 살핀 결과 14종이 있었다. 그러나 고전문학사로서 논의될 만한 책은 6종에 해당되었다. 고전문학사의 서술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고전소설만을 대상으로 하여 고찰하였고, 고전소설을 대상으로 하면서 1종의 영문으로 된 고전소설사에 대한 책을 추가하여 7종이 그 대상이 되었다. 이들 7종을 대상으로 삼아 각각에 나타난 소설에 대한 명칭, 분류, 유형, 유형 명칭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영문 한국고전문학사에 대한 인식, 서술 태도를 고찰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