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journals

검색결과 2,158건 처리시간 0.034초

대학생의 전자저널 수용에 관한 연구 (The Acceptance of Electronic Journals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in Korea)

  • 장혜란;정유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37-262
    • /
    • 2011
  • 대학생들의 전자저널 수용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5개 대학교에서 설강중인 11개 교과목 수강생을 대상으로 전자저널에 대한 인식과 이용 경험, 목적, 방법, 수준, 선호도, 만족도, 문제점 등에 대해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총 813건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 대학생 일반의 전자저널과 서비스 인식 수준은 각각 63.7%와 59.9%, 이용경험자는 국내저널 43.8%, 해외 전자저널 18.0%로 나타났다. 인식경로는 교수 소개, 우연한 발견, 도서관이용교육을 통한 것이며, 이용빈도는 극히 낮다. 전공계열과 대학 규모에 따라 인식과 이용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주된 이용 목적은 과제해결이고, 교외와 도서관내에서 이용하며, 간략검색을 한다. 접근 및 검색과 자료획득에 어려움이 있으나, 만족도는 보통 이상이다. 비이용은 기회나 지식의 결여에 기인하나, 추후 수용의지는 긍정적으로(93.8%) 나타났다. 문헌정보학전공 학생은 기타전공 학생에 비해 전자저널 및 자관서비스 인식, 전자저널 이용경험은 높지만, 검색 경로와 방법에는 큰 차이가 없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전자저널 수용 증진 방안을 제언하였다.

국내외 문헌정보 학술지에 나타난 공동연구자수에 관한 연구 (Team Size Patterns of Korean and International Journal Article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Kim, Eungi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429-447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문헌정보학 학술지들에서 나타나는 협업 범위를 저자수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비교하는데 있다. 연구에 필요한 데이터세트를 위해, 2010-2016년도에 발간된 논문으로서 문헌정보분야와 관련된 국외학술지중 Scimago Journal Rank (SJR)에 기재된 최상위권 30개와 4개의 국내 문헌정보분야와 관련된 학술지를 선택하였다. 국내 학술지 저자 정보들은 RISS 데이터베이스에서 수집하였고 국외학술지 저자 정보들은 Scopus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학술지의 경우 문헌정보 학술지에서는 단독저자부터 3인 공저자 까지가 가장 흔한 저자협업 정보임을 보여주었다. 국외 학술지는 저자협업이 국내학술지보다 더 다수의 경우가 많았다. 특별히, 국내의 경우 단독저자가 가장 흔했는데 국외 학술지에서는 2인 공저가 가장 흔했다. 연구분야를 살펴보면 도서관 관련 분야에서는 단독저자가 가장 흔하였고 과학/기술 분야는 3인 공저가 가장 흔하였다. 결론적으로 문헌정보학 분야에서는 연구분야의 다양성으로 인해 저자수도 상당히 다양해 질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국내 기계관련 저널의 KSCI(Korean Science Citation Index) 분석 (Analysis of KSCI(Korean Science Citation Index) of Domestic Journals in Mechanical Engineering)

  • 유완석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B
    • /
    • pp.259-264
    • /
    • 2001
  • This paper presents impact factors of domestic journals in mechanical engineering area to present an objective data for journal evaluation. For this purpose, reference data of 47 Korean journals are databased and analyzed. From the developed database, impact factor, immediacy index and self citation index are calculated.

  • PDF

WoS와 SCOPUS에 등재된 국내 발행 학술지의 편집위원회 구성 분석 - 사회과학 분야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the Composition of Editorial Board Members of Domestic Journals Listed in WoS and SCOPUS: Focusing on the Field of Social Science)

  • 이승민;오동근;여지숙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239-259
    • /
    • 2020
  • 학술지의 질적 수준을 제고하고 국제적 이용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 가운데 하나로 편집위원회 구성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과학 분야의 국내 발행 학술지 가운데 WoS와 SCOPUS에 등재된 학술지를 대상으로 편집위원회(Editorial Board Member: EBM)의 구성을 분석하여 학술지의 국제화를 도모하기 위한 고려사항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과학 분야 학술지의 국제화를 위해서는 이론과 실무의 융합을 도모할 수 있는 EBM의 구성, EBM의 업무 효율화를 위한 지역적 측면의 고려, 영어 기반의 학술 커뮤니케이션 효율화를 고려한 EBM의 구성, 학계와 현장을 연계할 수 있는 연구진의 EBM 참여 등을 고려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업 반성 저널을 통해 살펴 본 초등 교사의 과학 수업 반성의 특징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Teachers' Reflection on Their Science Teaching Examined through Their Reflective Journals)

  • 양기창;윤혜경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1권3호
    • /
    • pp.372-385
    • /
    • 2012
  • For decades, reflection has been recognised as a meaningful tool to bring forth teachers' ownership as well as knowledge and action empowerment in teacher education. Yet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elementary teachers' reflection on their science teaching in Korea. In this study, 71 reflective journals of 24 elementary teachers on their science teaching wer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reflective journals were analyzed in terms of 'productive reflection', a concept suggested by Davis (2006). Unproductive reflection is mainly descriptive without analysis, whereas productive reflection can promote teachers' learning by integrating four aspects of teaching (learner/learning, subject matter knowledge, instruction and assessment). The result showed what elementary teachers consider and emphasize and how they integrate their ideas. Most of reflective journals included aspects of 'instruction', 'learner/learning', and 'subject matter knowledge'. However 'instruction' was emphasized most frequently (69.0%) than 'subject matter knowledge' (33.8%) and 'learner/learning' (26.8%). 'Assessment' was hardly included nor emphasized. More than half of the journals (56.3%) showed no integrations, which were unproductive reflection. A third of the journals (32.4%) integrated only two aspects among four. Average score of integrations was 1.6 on a scale of 4 points. The integrations were not affected by the length of reflective journals and the teaching experienc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roductive reflection would not increase naturally with teaching experience and there needs more tactful guidance to develop elementary teachers' productive reflection on their science teaching.

해외 영향력 확산을 위한 국내 학술지의 국제화에 관한 연구 - KoreaScience 학술지를 중심으로 - (Internationalization of Domestic Journals for Enhancing the Global Influence: An Analysis on KoreaScience Journals)

  • 신은자;최희윤;서태설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159-177
    • /
    • 2015
  • 요즈음 국내외를 막론하고 국제 학술지 출판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다. 특히 비영어권 국가를 중심으로 국제 학술지 출판에 관한 연구가 속속 발표되고 있어 주목을 끈다. 한국은 학술지의 국제화를 추진한 몇몇 사례를 보고하는 정도에 머무를 뿐 경험적인 연구가 활발하지 않다. 이에 이 연구는 KoreaScience를 통해 DOI를 제공하고 있는 국내 학술지 143종의 국제성 데이터를 수집해 상세히 분석함으로써 국내 학술지의 국제화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이들 학술지의 영향력지수는 증가세이지만 아직 우수한 수준은 아니었고, 편집위원회의 외국인 비중이 낮은 학술지도 적지 않았으며, 일부 학술지는 온라인 투고 시스템이 없었고, 영문 웹사이트를 운영하지 않는 곳도 있었다. 향후 국내 학술지가 국제 학술지로 거듭 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국제성 요소를 적극 보완하고, 글로벌 유통을 포함한 가시성 향상에 보다 매진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국내외 문헌정보학분야 연구에서 추론통계 사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 of Inferential Statistic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 노정순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19-138
    • /
    • 2006
  • 본 연구는 국내외 문헌정보학분야의 대표적인 10개 학술지에서 2001부터 2004까지 발표된 1,768편의 연구논문을 대상으로 통계사용을 비교하였고, 그 중 추론통계를 사용한 345편의 논문에서 사용된 추론통계기법을 국내외, 학술지 주제영역별, 논문의 연구주제별, 연구방법별, 저자의 전공별로 분석하였다. 2001년 이후 기술통계와 추론통계의 사용은 증가하였으나, 외국에 비하여 국내에서의 사용률은 유의하게 낮은 차이를 보였다. 추론통계를 사용한 345편의 논문은 국내외, 학술지 주제영역별, 연구주제별, 연구방법별, 저자의 전공별 차이가 있었다. 사용된 추론통계기법은 국내외 간에, 학술지 주제영역 간에 차이가 있었다. 전체적으로 다변량분석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추론통계를 사용하는데는 가설 설정에서부터 가설을 검정하고, 검정통계량과 유의확률을 제시하고, 모형의 적합성을 해석하는데 보다 주의깊은 논의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TRENDS OF PAPERS PUBLISHED FROM 2006 TO 2010 IN JOURNALS NATURE AND SCIENCE

  • Kim, Sang-Chul;Kim, Seung-Lee;Kyeong, Jae-Mann;Lee, Jae-Woo;Lim, Wang-Gi;Jeon, Sung-Hyun
    • 천문학논총
    • /
    • 제27권2호
    • /
    • pp.17-28
    • /
    • 2012
  • We present an analysis of the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s Nature and Science in the years from 2006 to 2010. During this period, 7788 papers in total were published in the two journals. This includes 544 astronomy papers that correspond to 7.0% of the papers in 'all' research fields and 18.9% of those in the field of 'physical sciences'. The sub-fields of research of the astronomy papers are distributed, in a descending order of the number of papers, in Solar System, stellar astronomy, galaxies and the universe, the Milky Way Galaxy, and exoplanets. The observational facilities used for the studies are mainly ground-based telescopes (31.1%), spacecrafts (27.0%), and space telescopes (22.8%), while 16.0% of papers did not use any noticeable facilities and 1.7% used other facilities. Korean scientists have published 86 papers (33 in Nature and 53 in Science), which is 1.10% of all the papers (N = 7788) in the two journals. The share of papers by Korean astronomers among the scientific papers by Koreans is 8.14%, slightly higher than the contribution of astronomy papers (7.0%) in both journals.

소아과 관련 학회지에 실린 논문들의 참고문헌 정확도와 인용행태 분석 (Accuracy of References in Journal of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and Journals of the Korean Pediatric Subspecialty Societies and Citation Pattern Analysis)

  • 조길호;이미경;한만용;김영래;김서정;이규형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11호
    • /
    • pp.1325-1331
    • /
    • 2002
  • 목 적: '소아과'학회지와 소아과와 관련된 분과학회지에 실린 논문들의 참고문헌의 정확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자주 인용되는 참고문헌들을 분석하여 연구자들의 인용행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0년도에 발행된 '소아과'학회지 3권과 2000년도에 발행된 9종의 소아과 분과학회지 한권씩을 골라 참고문헌의 정확도를 인터넷의 Medline에 들어가 일일이 비교하였다. 1964년 이전의 논문, 단행본, 영어 이외의 다른 언어로 쓰여진 논문은 인용행태 분석으로 활용하였다. 결 과 : 1) 각 학회지별 항목별 오류율은 저자에서 틀린 경우가 21.3%로 가장 높았고 논문 제목, 페이지, 학회지 이름, 권호, 발행년도 순이었다. 전체 오류율은 평균 34.7%였으며 전체 찾을 수 없는 경우는 89개로 2.2% 였다. 2) '대한신생아학회지'가 17.4%의 가장 낮은 오류율을 보였고 '소아심장'이 53.2%로 가장 높은 오류율을 보였다. 3) 최근 3년간 자료를 인용한 건수는 612개(15%)로 최신 논문 인용빈도가 매우 낮았다. 4) 외국 논문을 대부분 인용(78.4%)하였으며 국내 학회지 중 '소아과'학회지가 43.3%로 가장 많은 인용빈도를 보였다. 결 론 : 참고문헌의 정확도는 궁극적으로 저자들의 책임이다. 그러므로 저자들이 책임감을 가지고 참고문헌의 정확도를 점검하여야 한다. 또한 연구자들은 더 많은 최신 자료와 국내 자료를 활용하여야 한다.

공동이용을 위한 국내소장 외국학술잡지자원의 평가 : 문헌정보학을 중심으로 (Evaluation of the Foreign Journals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Korean Libraries)

  • 전명숙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75-191
    • /
    • 1998
  • 본 연구는 국내에서 구독하고있는 문헌정보학 분야의 외국학술잡지 458종을 선정하여 소장처, 연대, 권호수와 지역별소장상태를 연구하였다. 외국학술잡지는 결호가 많고 중복소장이 되어있으며 지역별로 여러 곳에 불균등하게 소장되어 있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인쇄잡지나 전자외국학술잡지를 능률적으로 구입하고 이용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