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funeral

검색결과 205건 처리시간 0.022초

자연장의 유형별 시각적 이미지 분석 (Visual Image Analysis on the Types of Natural Funeral)

  • 김철재;이시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75-88
    • /
    • 2014
  • 본 연구는 자연장의 유형 분류를 통해 유형별 시각적 이미지를 분석하고, 그 선호 이미지에 대한 영향을 밝히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시민 549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이중에 장례전문가 224명이 포함돼 있다. 서울, 대전, 전주, 부산지역에 거주하는 일반인이 주로 설문에 응답하였다. 실증적 분석을 위하여 자연장지의 시설을 장지시설과 추모시설로 나누었으며, 각각의 시설을 5개의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이들 중 장지시설을 수목형, 정원형, 화초형, 잔디형, 산골형으로 분류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장지시설에서는 물리적 요인, 외형적 요인, 균형적 요인이 도출되었다. 둘째, 가장 선호하는 장지시설 유형은 수목형으로 나왔고, 그 다음으로 화초형, 정원형, 잔디형, 산골형의 순서로 나왔다. 셋째, 각 유형별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 이미지 요인의 평균값을 기본으로 지각도로 그려 제시하였다. 넷째, 자연장의 일반적 특성별 이미지 요인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지 검증을 한 결과, 장지시설의 경우 전체적으로 물리적 요인에서는 성별, 연령별, 학력별, 유형별, 외형적 요인에서는 성별, 종교별, 집단별, 유형별, 균형적 요인에서는 성별, 학력별, 유형별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성별로 보면 남성이 여성보다 각 요인에서 평가가 높게 나왔고, 연령별로 보면 물리적 요인에서 전반적으로 나이가 많을수록 평가가 높아지는 경향에 대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각 시설에서 도출된 이미지 요인이 해당시설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장지시설에서는 5가지 유형 모두 물리적 요인, 외형적 요인, 균형적 요인이 시설 선호도에 정(+)의 유의적인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왔다. 마지막으로 조경시설의 이미지 요인이 그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일반인과 전문가 집단 사이에 그 차이가 있는지 집단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장지시설의 경우, 정원형에서 외형적 요인에서 유의적인 정(+)의 조절효과가 있었고, 기타 이미지 요인에서는 유의적인 조절효과를 찾을 수가 없었다. 또한 본 연구는 자연장지의 장지시설의 형태별 유형을 분류함으로써 아직 태동기에 있는 자연장이 아직은 학술적으로 정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나타날 수 있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발전시키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다른 한 편으로 자연장지 표준 경관 이미지 분석에 대한 조사를 통해, 전통적 장사 이념을 지켜 나가며 새로운 미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방향으로 장사문화를 발전시켜 나감으로서 국민들이 자연장을 선택할 수 있는 합리적 방향을 제시했다는 데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전문장례식장 조문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rganization of Condolent Space in funeral Ceremony Hall)

  • 오영모;박재승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39호
    • /
    • pp.124-131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urnishing applicable data, in deviation from the conventional study of architectural planning, for funeral ceremony hall actually built as a various form. For that, this study performed analysis of condolent space, through dividing space into three phase which is planning unit, organizing unit and making layout as a general method of architectural planning steps. The results are as follows. Establishing spaces for bereaved family's rest in funeral space is also applicable, through the renovation, in case of A type u nit that is more than 25$m^2$. If wish to organize funeral space unit by monolithic space type at planning, than should be controle d size of unit so as not to excessive and if wish to organize by connection style and 1:1 separation style, than area of room where coffin is placed should be considered not overly lacking than condoler's waiting space. On arranging of middle corridor type should be controled scale of funeral space so that is not lacking than room where coffin is placed. In case of hall type, there are necessity to make area of condoler's waiting space do not excess than area of room where coffin is placed.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화훼디자인에 관한 연구 -장례 화훼디자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lower Design Based on Storytelling : Focus on the Funeral Flower Design)

  • 이승범
    • 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 /
    • 제42호
    • /
    • pp.3-21
    • /
    • 2020
  • 본 본 논문에서는 장례를 죽음에 관한 문화로 정의하고 가장 중요한 사상적 바탕으로 생물학적 죽음을 이 세상의 끝으로 인식하지 않고 또 다른 삶의 시작을 위한 새로운 세계로의 출발점으로 규정하였다. 국가, 문화, 지역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는 장례문화에 대하여 조사하고, 장례 화훼디자인을 사례를 통해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장례 화훼디자인은 제한적인 소재의 사용과 유사한 디자인이 장례 화훼디자인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라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이에 대한 해답으로 일방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 아닌 상호간의 감정과 의견의 교환을 통한 소통적 차원의 개념인 스토리텔링이야 말로 감성적인 소비 시대에 가장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 중의 하나인 히스토리 스토리텔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대상 인물을 선정하여 삶을 분석하고 그의 삶에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에 따라 장례화훼디자인에 스토리텔링을 적용하여 작품을 제작을 시도하였다.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화훼디자인은 화훼디자인 소재의 상징과 의미, 화훼디자인 색채와 형태는 흰 국화소재 위주의 기하학적 디자인의 근엄한 분위기의 전통적인 장례화훼디자인에서 벗어나 고인을 상징하는 복숭아 색을 주조로 한 파스텔 계열의 색상과 다양한 형태로 아름답고 사랑스러운 이별의 장례화훼디자인을 표현하였다.

조선시대 국장도감 소속 공장의 활동 연구 (A Study of Technician's Activity belonging to Gukjangdogam in Joseon)

  • 박종민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0권
    • /
    • pp.325-355
    • /
    • 2007
  • 국장은 한 국가를 상징하였던 왕의 장례식이다. 국장에 필요한 상구류를 마련하여서 원활하게 치루어야 하기 때문에, 각 방에서 제작한 각종 상구들은 그 자체로 상당히 중요성을 지니고 있다. 임금의 옥체를 실은 제궁을 직접 운구하는 대여와 견여는 국장에서 소중히 다루어야 할 핵심적인 상구이다. 대행왕을 살아있는 것 이상으로, 모든 사람들은 국장에서 그를 엄숙하게 모셔야 했다. 그러나 국장도감에 소속된 각 방에서 제작한 상구들은 대행왕과 직 간접적으로 관계가 있거나 왕의 권위를 상징하고, 왕권계승과 같은 왕통과 관련있으므로 매우 중요하다. 발인은 왕의 마지막 권위를 드러내는 장이며, 시간이다. 따라서 국장도감은 대행왕의 발인을 살아서 행차하는 것같이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서, 왕의 현세와 내세를 동일한 선상에서 서 있다는 인식하에서 발인을 준비하였음을 알 수 있다. 살아서 왕의 행차 시에 활용하였던 다양한 각종 기물들을 흉례인 국장 발인 시에도 유사하게 활용하였다는 점에서 이를 입증할 뿐만 아니라 생사관도 엿볼 수 있는 장면이기도 하다. 국가는 공권력으로 다양한 공장 분야와 많은 공장들을 동원하여서 정해진 기간 내에 다양한 상구들을 마련하여서 국장을 치루고자 하였다. 서울과 경기지역을 포함해서 전국 각지에서 활동하고 있었던 공장들과 신분이 비천할지라도 일정 수준의 기술을 지니고 있는 공장들을 국정도감으로 불러들였다. 기술과 노동력 제공에 상응하는 급료와 보상하고 받음으로써, 국가와 공장은 지속적으로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계속 유지하였다. 각방에 소속된 공장들은 기존 상구를 활용하였고, 새로운 제작과 보수를 통해서 국장용 상구를 정성을 다해서 마련하였다. 조선시대 국장은 공장들의 '기술 잔치'일 뿐만 아니라 '기술의 총합체'라고 말할 수 있다.

다산의 염습의 제도에 관한 연구 -상구정을 중심으로- (A Study on Dasan s System of Washing and Shrouding a Dead Body - Focused on SANGUJUNG -)

  • 손남숙;임영자
    • 복식
    • /
    • 제51권3호
    • /
    • pp.75-85
    • /
    • 2001
  • The system of washing and shrouding a dead body is a series of procedures for encoffining in funeral rites, which are taken after death indentification by using CHOKWANG and praying for the resurrection of a dead body by calling a soul departed from the body. The washing and shrouding a dead body (hereinafter reffered to as "YEOMSEUP") is the broad concept which contains the procedures of washing, clothing and shrouding the body. The clothing includes washing, putting rices into the mouth. and then dressing while the shrouding includes first wrapping, second-wrapping and encoffining. The clothes for YEOMSEUP (all clothes and articles for funeral rites are designated) will be put in the coffin along with a dead body according to the YEOMSEUP procedures. Dasan, a SILHAK scholar in the late Yi Dynasty, pointed out some problems of the funeral rites observed in those days. At the same time, he found that the problems had arisen from the misinterpretation of the original descriptions in Chinese characters. and had tried to correct them. The books written by Dasan basically emphasized his ideology reshaping the whole procedures by trimming and removing meaningless formalities which are too much luxurious and wasteful and making them as a part of the original principles of the funeral rites. His Intents are clearly shown in his wrings on practical ettiquttes, such as SANGRYESAJON and SANGUIJEOLYO. In its attempt, this study aims at reformulating the DASAN\\`s SANGRYESAJON in terms of YEOMSEUP methods. A lot of virtues of the Dasan, like WOOSU, SIMUI, DAEDAE, MO, SORYUMHYO and DAERYUMHYO could also be found accordingly. The merits and characteristic in funeral rites are an obedience in filial duty, the pursuit of frugality. and the efficiency of practical functions. It could be said that the resurvey of DASAN′s theory on YEOMSEUP procedures is a meaningful work today when the original meaning of funeral rites fades out. Furthermore, discussions of refined burial service and encouraging cremation designed to improve land use, which are widely spread among people, could weaken the basic philosophy of YEOMSEUP and more likely propagate the atmosphere of despising the dignity of human beings.

  • PDF

네스티드로짓모형을 활용한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장사유형 선호 분석 (A Analysis on Preference of Funeral Type by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using Nested Logit Model)

  • 주호상;최열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9권6호
    • /
    • pp.933-94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장사유형 선호의 결정요인을 도출하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장사 등에 관한 법률'에 의하여 장사유형은 매장, 봉안, 자연장으로 구분하고 있다. 본 연구는 사람들이 3가지 장사유형을 선택함에 있어 그들이 가진 어떠한 사회경제적 특성이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7년 사회조사 자료와 전국의 장사시설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매장과 화장을 상위 계층으로 하고, 화장의 하위 계층에 봉안과 자연장이 반영된 위계 구조를 구성하여 분석용 자료를 구축하였다. 구축된 자료를 바탕으로 네스티드로짓모형을 활용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장사유형의 선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특성은 성별, 연령, 가구주 여부, 혼인상태, 전반적인 생활에 대한 만족도, 사회경제적 지위에 대한 계층의식, 월평균 가구소득, 주택 유형, 주택 점유형태, 도시 거주 여부로 추정되었다. 네스티드로짓모형의 결과는 직접 탄력성과 교차 탄력성을 산출하여 변수별 탄력성 계수를 근거로 해석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들의 직접 탄력성 및 교차 탄력성 계수를 산출하였다. 산출한 직접 탄력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가 변화할 때, 각 장사유형의 선택 확률을 해석하는데 활용하였다. 그리고 교차 탄력성은 특정 장사유형을 선택하는 경우, 나머지 장사유형을 선택하는 확률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해석하는데 활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중 주목해야하는 점은 자연장과 관련된 사항이다. 자연장에 대한 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자연장지의 공급을 활성화하고, 자연장에 대한 인식 제고를 위한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하여 국토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야 할 것이다.

도시주부의 가정경영관과 가정의례와의 상관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rban Homemaker's View of Homemanagement and the Domestic Courtesy and Ritual.)

  • 이길표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41-164
    • /
    • 198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rban home-maker's view of homemanagement and the domestic courtesy and ritual (wedding ceremany, ancestral service, funeral rites). The data for this study was obtained from the 661 homemakers who live in Seoul, Busan, Inchon etc.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method described below with SPSS Computer programs. Such methods as frequence, percentile, analysis of variance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The major results the study can be summaried as follows; 1) As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about view of homemanagement, 10 factors (which Eigen Value was above 1.0) out of 28 guestions were extracted. 2) In general, it can be said that the urban Homemaker's View of homemanagement varies by age, level of education, religion. 3) The domestic courtesy and ritual (wedding ceremony, ancestral servic, funeral rites) varies by age, level of education, religion. 4) There is a positive relation in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urban homemaker's view of homemanagement and domestic courtesy and ritual (wedding ceremony, ancestral service, funeral rites)(p<.001).

  • PDF

여흥 민씨(1586~1656)묘 출토복식 (The Excavated Costume from YeoHung Min(1586~1656)'s Grave)

  • 송미경
    • 복식
    • /
    • 제53권4호
    • /
    • pp.177-186
    • /
    • 2003
  • This study is based on the observation of clothes excavated from of YeoHung Min( 1586∼1656)'s grave, which enable to understand of woman's funeral clothes among upper class in mid 17C. Lady Min buried with her husband Jung (Clan of Dong Rae)'s grave where located in KwanAk gu, Seoul was move out another place in 1989. During excavation of the grave, 31 pieces form 5 different type of clothes and total 18 pieces form 8 different from Lady Min (Clan of YeoHung). Remarkable finding from the excavated clothes is the Nuwooli(veil) which is known to be discovered first time in Korea, and a piece of tooth, which is related with funeral custom of those day, and cotton seeds are found from chima(skirt) and Jogori(jacket). Jangot(coat) has been used for the use of over garment assuming the changes of Jogori form during mid of Josun dynasty. It is also remarkable that padded and quilted clothing is still being commonly used until mid-l7C.

조선(朝鮮) 세조대(世祖代) 의경세자(懿敬世子) 상장례(喪葬禮) 구성과 특징 (Th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 of the funeral of Ui-Kyoung Prince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 in the Joseon dynasty)

  • 조용철
    • 역사민속학
    • /
    • 제45호
    • /
    • pp.127-160
    • /
    • 2014
  • 조선은 의례를 국가통치수단으로 적극 활용한 국가였으며, 이는 "세종실록" "오례" 와 "국조오례의"로 대표된다. 그런데, "세종실록" "오례" 와 "국조오례의"에서 국왕 상장례 절차는 모두 수록하고 있는 반면 세자의 상장례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있다. 때문에, 조선의 세자 상장례는 조선 최초의 세자 상장례인 의경세자 상장례를 참고하여 진행되었다. 의경세자 상장례의 기본 절차는 국왕 상장례를 따르고 있었으나, 같은 국상이라 하더라도 세자는 왕위계승자의 신분이었기 때문에 국왕과 차별을 두어야 했다. 따라서 세자 상장례는 국왕 상장례에서 한 등급 낮추어 진행되었다. 의경세자의 상장례는 비록 국상 차원에서 이루어졌지만 그 절차 속에 일반 종친 혹은 대부 상장례의 요소들이 확인된다. 이것은 세자의 지위가 사망을 통해 변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국왕과 세자의 차별을 부각시켜왔던 세조대의 고민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빈곤여성노인들은 어떻게 죽음을 인식하고 준비하고 있을까? - 여성노인수급자의 죽음에 대한 태도 - (How do Poor Elderly Females Recognize and Prepare for Death? - With Focus on Attitudes of Elderly Female Beneficiaries Towards Death -)

  • 장경은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2권4호
    • /
    • pp.325-347
    • /
    • 2010
  • 본 연구는 노인인구계층에서 사회경제적으로 가장 열악한 빈곤여성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를 탐색하여 현재의 삶을 지원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65세 이상의 여성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하여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빈곤여성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는 주제인 '고생스러운 현실에서 죽음을 느낌', '죽음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임', '믿고 있는 장례준비', '좋은 죽음을 맞이하고 싶음' 등으로 도출되었다. 이들에게 죽음은 '고단한 인생살이에서 벗어남'을 의미하였다. 빈곤여성노인의 죽음준비는 배우자나 자식이 없는 경우가 많아 부계혈통 중심의 장례절차에 한계를 느끼고 공적 지원체계(장제급여)와 민간의 지원체계(사회복지시설 입소, 종교활동)를 통해 마련하고 있었다. 빈곤여성노인은 건강하지 않고 경제적으로 어려워서 죽음과정에 대한 두려움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빈곤여성노인이 좋은 죽음을 맞이하기 위한 노인복지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