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food habit

검색결과 831건 처리시간 0.033초

한국 어린이와 청소년의 요중 크레아티닌 농도와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Factors Associated with the Concentrations of Urinary Creatinine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 이진헌;안령미;강희숙;최석남;홍춘표;김진경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91-299
    • /
    • 2012
  • Creatinine-adjustment is an important process in the urinary monitoring of the environmental exposure of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centrations of urinary creatinine and factors associated with them among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We recruited 1,025 persons from 128 extracted schools. They were from three to 18 years old and supplied urine samples for measuring creatinine. The concentrations of urinary creatinine were 98.18 mg/dl (SD, 67.67) in arithmetic mean and 72.05 mg/dl (GSD 2.49) in geometric mean, were significantly higher among male children/adolescents than females in all age groups, and higher values appeared following increasing ages, heights and BMIs. The rates of the number who were below the lowest limit recommended by WHO (<30 mg/dl) were 25.57% among three to four year olds, 21.77% among five to six year olds, 20.0% among seven to eight year olds and 14.69% among nine to ten year olds, respectively. The rates of those above the highest limit (>300 mg/dl) were 0.0% among three to twelve year olds.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square of the fitted regression model for urinary creatinine was 27.4% with general characteristic variables of sex, age, BMI and height. The significant variables among these were height (standardized beta = 0.372) and age (standardized beta = 0.129). Another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square was 15.3% with dietary habit variables of smoking, drinking, dining area, number of meals and snacks, and intake of milk food, cup-noodles, canned foods, popcorn, nachos, and hamburgers. In conclusion, the concentration of urinary creatinine was significantly lower in children than in adults, and was ver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height of children. Therefore, children need the recommended concentrations for urinary creatinine, as distinguished from adults.

남한강 지류에 서식하는 퉁가리(Liobagrus andersoni)의 식성 (Feeding Habits of Korean Torrent Catfish, Liobagrus andersoni in a Tributary of the Namhan River, Korea)

  • 윤희남;김종명;배양섭;채병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36-245
    • /
    • 2007
  • 남한강 지류인 충청북도 충주시 가금면 봉황리 한포천에서 2005년 10월부터 2006년 10월까지 계절별로 퉁가리(L. andersoni)를 대상으로 식성을 조사 연구하였다. 주요먹이생물로는 파리목, 하루살이목, 날도래목 등의 수서곤충이었으며, 체장이 50 mm 이하인 개체들에서는 크기가 매우 작으며, 먹이생물이 풍부한 꼬마하루살이류와 깔따구류를 주로 섭식하였고, 점차 성장하면서 크기가 크고 중량이 무거운 납작하루살이류가 주요 먹이생물로 나타났다. 깔따구류와 날도래류는 모든 개체들에서 고르게 섭식되었다. 계절에 따른 먹이생물의 구성은 여름과 가을에 다양하였고 겨울에 단순한 경향을 보였는데, 봄에는 하루살이류를 집중적으로 섭취하였으며, 여름과 가을에는 비교적 균등하게 먹이생물을 선택하였고, 수온이 낮은 겨울에는 이동력이 약한 날도래류와 깔따구류를 집중적으로 섭식하였다. 또한 위충만도 분석 결과 본 종은 섭식활동이 주로 일몰직후 시작되어 02~03시에 가장 활발하였으며, 일출직후부터는 점차 감소하여 낮에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퉁가리는 야간에 여울역의 바위나 자갈의 표면에 서식하는 수서곤충을 주로 섭식하는 저서성 육식포식자에 속하는 어류로 판단된다.

모발의 아연과 납 합량 : 학령 전 아동의 영양소 섭취 상태와 신장 및 체중과의 관계 (Hair Zinc and Lead: Relationship to Nutrient Intake and Height and Body Weight in Korean Preschool Children)

  • 박현서;신경옥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7권3호
    • /
    • pp.193-201
    • /
    • 2004
  • The objective was to evaluate the factors influencing on the growth of children aged 3 - 6 years by mini dietary assessment and anthropometric indices in 556 children and by analyzing mineral contents of hair from 273 children by 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ry (ICP-MS). The mean concentration of zinc (Zn) in hair was 68.9 $\pm$ 31.1 ppm and the zinc level of 91 % children was less than 60% of the reference value of 180 ppm. The mean content of lead (Pb) in hair was 1.76 $\pm$ 1.20 ppm, but only 67% of 273 children was within the reference value of 2 ppm and the lead level of 33% of children was 2 - 4 times high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level of Z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b content (r = -0.305, p 〈 0.01). Hair Zn content, regardless of age,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height (r = 0.214) and body weight (r = 0.159). The height of 95.3% children was belonged to the normal range of 90 - 109.9% of standard value and the body weight of 49.8% children was in the range of 90 - 109.9% of standard value. However, 8.1 % children was overweighted (110 - 119.9% of standard) and 9.4% children was obese (120 - 149.9% of standard) and 0.9% children was severe obese (〉 150%) which resulted in total 10.3% obese. Contrary to our expectation, 32.8% children was underweight (70 - 89.9% of standard) and 36% of the underweight children showed the low content of zinc (10 - 49 ppm) in hair.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dietary intake of Zn and hair Zn content. Hair Zn content was low even though children consumed greater than 75% of their requirement for zinc. Regardless of dietary intake of Zn, hair Zn level was rather negatively correlated to the content of Pb in hair. 38.8% children had an unbalanced diet which resulted in lower intake of calorie, Ca, Zn, vitamin B$_2$ compared with those consuming variety of foods. Therefore, it would be needed that new approach for nutrition education to improve eating habit having the unbalanced diet in preschool children. It might be also suggested to develop new food products to complement the nutrients of Zn, Ca, Fe as snacks or dietary supplement for Korean preschool children.

전북지역 일부 청소년의 아침식사대용 쌀 기반 가정간편식 인식 및 선호도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rice-based home meal replacement for breakfast among adolescents in the Jeonbuk area)

  • 오해림;김현숙;정수진;차연수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4권3호
    • /
    • pp.262-276
    • /
    • 2021
  • 본 연구는 전라북도 일부 지역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아침식사대용 쌀 기반 HMR 인식과 그 선호도를 조사하였으며,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의 아침식사 결식 여부 행태는 아침식사군 (주 4회 이상 섭취군)이 272명 (54.6%), 아침결식군 (주 3회 이하 섭취군)이 226명(45.4%)으로 조사되었다. 조사대상자의 HMR 섭취 만족도는 고등학생 (48.2%)이 중학생(39.1%)과 비교 시 유의적으로 HMR 만족도가 높았으며,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HMR 만족도가 높았다. 조사대상자의 아침식사 대용식의 필요성조사 결과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비율로 응답하였다 (p < 0.01). 아침식사 대용식으로써 쌀 기반의 한식 식사 패턴의 선호도는 아침식사자가 58.9%로 아침결식자보다 높고,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 < 0.01). 또한 조사대상자의 아침식사대용으로 쌀 기반 HMR 선호 식품은 '삼각김밥', '주먹밥', '김밥'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청소년들의 아침결식의 큰 이유인 '시간이 없어서'와 '입맛이 없어서'를 고려하여 손쉽게 섭취할 수 있는 아침식사대용 간편식 메뉴 개발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해당 메뉴의 조리교육 및 레시피 보급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척과천에 서식하는 점몰개(Squalidus multimaculatus)의 생태 특성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Gudgeon, Squalidus multimacultus in Cheokgwa Stream, Korea)

  • 변화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601-608
    • /
    • 2021
  • 점몰개(Squalidus multimacultus)의 생태적 특징을 연구하기 위해 2020년 1월부터 12월까지 태화강 지류 척과천에서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종의 서식지 하상구조는 모래(sand)가 매우 풍부하였으며, 수심은 25~164cm이었고 평균 68cm로 다소 깊었으며, 유속이 0.21±0.26(0.16~0.43)m/sec로 느렸다. 암수 성비는 1 : 0.99이었다. 전장빈도분포도에 따른 연령은 여름(6-7월)기준으로 50mm 미만(29.4~49mm)은 만1년생, 50~69mm은 만 2년생, 70~89mm은 만 3년생, 90mm 이상은 만 4년생으로 추정되었다. 생식가능 전장의 크기는 암컷과 수컷 모두 40mm 이상 되면 성적 성숙이 이루어졌다. 산란시기는 7월에서 8월(산란성기 8월)이었며 수온은 23.8~25.4℃이었다. 포란수는 평균 1,395(648~2,201)개 이었고 성숙란은 노란색 구형으로 직경이 0.67±0.24(0.62~0.83)mm이었다. 먹이생물은 부착조류(Attached algae), 동물플랑크톤(Zooplankton), 수서곤충(Aquatic insects), 연체동물(Mullusca) 등이었다. 식성은 잡식성이었으나 섭취한 먹이의 양이 95% 이상은 부착조류로 식물성 먹이를 섭취하고 있었다. 점몰개의 크기가 클수록 동물성 먹이인 수서곤충을 섭식하는 양과 섭식 빈도가 증가하였으며 수서곤충을 섭식한 개체는 식물성 먹이를 거의 섭취하지 않았다.

한국 청소년의 영양표시 이용에 따른 식생활 및 건강행태: 2016-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The Study of Dietary Habits and Health Behaviors according to Nutrition Label Utilization in Korean Adolescents: Based on the 2016-201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김진아;이심열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45-56
    • /
    • 2021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7기 2016년~2018년 자료를 활용하여, 만 12~18세 남녀 청소년 1,068을 대상으로 영양표시 이용여부에 따른 식습관 및 영양소 섭취와 건강행태 등을 비교하여 영양표시 이용과 올바른 식생활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전체적으로 영양표시를 인지하는 비율은 91.9%였고, 이들 중 영양표시를 이용하는 청소년은 27.9%로 인지율에 비해 이용률이 낮았다. 아침결식률과 외식빈도, 음주, 흡연, 주관적 건강상태의 경우는 영양표시 이용군과 비이용군별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영양소 섭취량의 경우 무기질인 칼슘, 인, 칼륨 섭취량은 이용군이 비이용군의 섭취량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p<0.01). 영양표시 이용군에게서 섭취 영양소 중 단백질(p<0.05), 칼슘(p<0.01), 인(p<0.01), 칼륨(p<0.01)의 섭취기준 비율이 비이용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EQ-5D index로 분석한 건강 관련 삶의 질 점수는 영양표시 이용군은 0.97점, 비이용군은 0.96점으로 영양표시 이용군의 삶의 질 점수가 비이용군 보다 더 높았다(p<0.001). 이상의 연구결과 청소년들의 식생활 개선과 영양표시제 관련 영양교육이 매우 필요하며, 청소년들의 합리적인 식품선택을 도와주고 영양표시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체계적인 영양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소년의 올바른 영양표시 이용과 식생활 관리를 위한 영양교육의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유용한 정보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조리전공 남자대학생의 아침식사 빈도에 따른 식생활과 외식형태 (Dietary Life and Eating-Out Style Related to Breakfast Frequency of Male-Students in Culinary College)

  • 김숙희;정경희;채병숙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3-24
    • /
    • 2007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etary life and eating-out style related to breakfast frequency of male students in culinary college. This survey was conducted using questionnaires for 110 male students at college in Hongseung. Mean height and body weight of those we investigated was 174 cm and 70.5 kg. The one to two times per week breakfast eating group was 34.55%, which is exceedingly numerous; none per week breakfast eating group was 30%; three to tow times per week breakfast eating group was 15.45%; everyday breakfast eating group was only 9.09%. The breakfast frequency was very low, and the not-eating breakfast problem is serious to think of in male college students. Mean weight, body fat and body mass index(BMI) of the everyday breakfast eating group was lower than the other group even it was not significant. The self-boarding house or dormitory living condition group was not eating breakfast was significant. So a correct dietary lift and eating habit should be taught further for male college students. The smoking group was a significant low frequency of breakfast eating, as well as the lower frequency of breakfast, or worse recognition of self health condition. Higher frequency of breakfast showed more contentment of self body weight. Cooked rice was significantly the most preferable for breakfast. The lower breakfast frequency tended to eat breads or cereals. The lower frequency of breakfast, self recognition of eating rate as speedier was significant, and tended to have a higher frequency of eating-out because of being annoyed by cooking. The lower breakfast frequency ate out more. Twenty five percent of the everyday breakfast eating group ate out because of a special day, and thirty five percent of the not eating breakfast group did so because of being annoyed by cooking. Their mean dietary evaluation grade was under the normal grade, which means that culinary college male students' dietary lives were poor. The lower frequency of breakfast and lower grade of food life evaluation, indicates the importance of nutritional breakfasts education should be improved for male culinary college students also.

경남 거창 농경지 멧돼지(Sus scrofa)의 식이물 분석 (Diet of The Wild boar (Sus scrofa) in Agricultural Land of Geochang, Gyeongnam Province, Korea)

  • 이성민;이우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2호
    • /
    • pp.307-312
    • /
    • 2014
  • 최근 멧돼지의 개체수 및 농작물 피해 증가로 인하여 사회적 문제를 야기 시키고 있다. 국내 멧돼지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여 향후 효과적인 멧돼지 관리를 위해서는 종에 대한 생태적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2012년 5월부터 12월까지 경남 거창군 일대에서 유해야생동물 포획을 통해 수집된 멧돼지 위 내용물(n=79) 분석을 통하여 식이습성 구명 및 선호 농작물을 파학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멧돼지는 주로 식물성 먹이를 섭식하며, 계절별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식물성 먹이는 잎-줄기가 83.5%로 가장 높은 출현율 보였으며, 농작물을 포함한 식물성 먹이는 건중량의 93.5%을 차지하였다. 무척추동물의 발견 빈도는 높았으나 빠르게 소화되는 특성으로 인하여 건중량은 낮게 나타났다. 식이농작물로는 밤, 벼, 사과 등이 선호하는 농작물로 나타났다. 수확기 농작물은 멧돼지가 야생 먹이보다 선호하여 의도적으로 섭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지렁이는 총 수집된 위에서 50%의 출현율을 보였으며, 섭식 마릿수는 여름에 가장 높고, 겨울에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멧돼지는 전형적인 잡식성의 성향을 보이며, 시기에 따라 섭식하는 식이물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멧돼지에 의한 농작물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밤나무림에 인접한 논과 사과 과수원의 우선적인 피해방지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소아 비만의 위험 요소에 관한 연구 (Risk Factors of Childhood Obesity)

  • 임원정
    • 정신신체의학
    • /
    • 제5권2호
    • /
    • pp.168-175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체질량 지수로 알아보는 비만의 가족력, 출생시 체중, 모유 또는 분유 수유, 어린이의 식사습관 및 생활 습관, 부모의 학력 부모의 식이제한 태도 등의 변수들과 아동의 비만과의 상관관계를 검토하여 보았다. 1) 전체 대상 아동 110명중 20.1%인 23명이 OBI가 20%이상인 비만아였다. 두 군에서 평균체중과 OBI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고(p<0.01), 남아에서 유의하게 비만이 많았으며(p<0.05), 출생시 체중이나 수유의 종류 및 출생 순위등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식사 및 생활 습관을 비교해 보면, 비만아에서 음식 먹는 속도가 빠른 경우가 유의하게 많았다(p<0.01) 먹고 싶은 충동을 견디기 어렵다는 경우, 불규칙한 식사, 인스턴트 식품이나 패스트 푸드를 좋아한다는 답변, 간식을 많이 한다, 기름진 음식을 좋아한다는 답변 등은 두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텔레비젼 시청이나 전자오락을 좋아한다는 답변도 두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3) 비만군에서 아버지의 연령 (p<0.05) 및 교육수준(p<0.05)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부모의 BMI는 두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비만아동의 어머니에서 인지적 제한 요소인 factor 1과 탈억제 요소인 factor 2가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공복감 요소인 factor 3은 두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어머니의 교육수준과 TFEQ의 factor 1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r=0.39, p<0.05), factor 1(r=0.38, p<0.05)과 factor 2의 점수가 높을수록 아동의 비만도는 증가하였다(r=0.34, p<0.05). 5) 만 5세 아동의 비만은 부모의 체질량 지수와 같은 유전적 요인보다는 아동 자신의 식사 습관이나 어머니의 식이제한 태도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다고 볼 수 있다.

  • PDF

성인여성의 식습관과 영양섭취상태와 골밀도 및 골무기질함량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Food Habit, Nutrient Intakes and Bone Mineral Density and Bone Mineral Content in Adult Women)

  • 최미자;정윤정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1권9호
    • /
    • pp.1446-1456
    • /
    • 1998
  • Bones are important parts in sustaining the shape of the body, but they are also metabolic organs which undergo bone remodeling by constant bone resorption and formation. Osteoporosis, the typical metabolic bone disease, is characterized by a reduction in bone mineral density (BMD). Women more than men are at risk fir osteoporosis-related fractures, especially in the lumbar spine, wrist, and hip region. Risk of fracture depends on one's BMD, which open determined by the peak bone mass value achieved at skeletal maturity and followed by subsequent age-and menopause-related bone loss. Gene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are known to play a key role in bone metabolism and diet is considered as one of the important environmental factor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ssess the status of BMD and bone mineral content(BMC) to clar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dietary intakes and the risk of osteoporosis in adult women in Taegu. Subjects were 130 healthy females in between 20 and 69 years of age. BMD and BMC of the lumbar spine(venebrae L2-4) of the subjects were measured by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was 47.4${\pm}$11.7 years old, the average weight was 57.2${\pm}$8.4kg, the average age of menarche was 16.6${\pm}$1.9 years old and the average age of menopause was 48.4${\pm}$5.3 years old. The nutrient intakes of the subjects measured by the convenient method were generally lower than the level of RDA. The result of nutrient intake assessed has shown that the average energy intake was 1701${\pm}$316kca1 which is 85.1% of the RDA and the average calcium intake was 485.4${\pm}$172.3mg which is 69.3% of the RDA. The intakes of protein, vitamin A, vitamin B$_1$, niacin were greater than the RDA, whereas the remaining nutrient intakes were lower than the RDA. The average BMD of the subjects was shown to be 1.06${\pm}$1.09g/$\textrm{cm}^2$. The highest BMD of 1.24${\pm}$0.14g/$\textrm{cm}^2$ was noticed in the subjects of 30s compared to 20s, 40s, 50s, 60s. The BMD values were compared by the relative body weight(R3W) of the menopause subjects, and it was found that the underweight group had significant lower BMB while the rest of the groups did not have any differences in BMD. The most strongly correlated nutrient with BMD among the menopause subjects appeared to be calcium. The women whose Ca intakes were higher than 500mg showed the significantly higher BMD than those with Ca intakes lower than 500mg.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ost effective way to prevent osteoporosis and to reduce the incidences of fractures seems to be minimizing bone loss through the adequate intake of calcium as well as avoiding underweight, especially in menopausal women. (Korean J Nutrition 31(9) . 1446-1456, 1998)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