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estuaries

검색결과 169건 처리시간 0.022초

남해 당항만 하구둑 유무에 따른 어류상 비교 (Effects of Estuarine Dam on Fish Assemblage in Danghang Bay of the South Sea, Korea)

  • 박준수;곽우석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83-89
    • /
    • 2019
  • 경남 고성군 당항만 하구에서 2011년 9월부터 2012년 8월까지 자연 하구인 배둔천 하구, 구만 마암천 하구는 소형 Beam trawl, 폐쇄 하구인 고성천 하구역에서는 투망으로 어류를 채집하였다. 염분은 폐쇄 하구가 자연 하구보다 변화 폭이 적었다. 자연 하구에서는 대부분 망둑어과 어류들이 채집되었으며 줄망둑(Acentrogobius pflaumi)과 문절망둑(Acanthogobius flavimanus) 순으로 우점하였다. 폐쇄 하구에서는 피라미(Zacco platypus)와 민물검정망둑(Tridentiger brevispinis) 순으로 우점하였고 담수 어종이 대부분 채집되었다. 당항만 하구역에 설치된 하구둑에 의해 염분을 포함한 환경조건이 바뀌어 서식하는 어류상이 크게 변화되었다.

목포항 주변 하구역의 영양염 수지 (The Budget of Nutrients in the Estuaries Near Mokpo Harbor)

  • 김영태;최윤석;조윤식;오현택;전승렬;최용현;한형균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708-722
    • /
    • 2016
  • LOICZ(Land-Ocean Interactions in the Coastal Zone) 모델을 이용하여, 목포항 주변의 하구역(영산호 하구역, 영암호-금호호 하구역)에서 일어나는 생지화학적인 순환 과정을 이해하고자 계절별 영양염 수지를 산정하였다. 비성층화 시기인 2008년 5월, 9월, 11월에는 simple three-box model을 적용하였고, 성층이 발생했던 7월에는 two-layer box model을 적용하였다. 물질 수지를 산정한 결과, 5월과 7월에 외해역으로부터 영양염이 역유입되었고, 외해수와의 혼합에 의한 교환($V_{X-3}$, 또는 $V_{deep}$)을 통해 하구역으로 유입되는 영양염(DIP) 부하량이 인공 호수의 대규모 방류 영향을 받은 육상기인 유입량보다 더 많았다. 그리고 9월 물질 수지 결과에서는 하구역과 외해역의 영향을 동시에 받는 하구역 입구(sub-region III)에서 영양염의 과잉 적체가 발생되었다. 저수온기(11월)에 인공 호수(영산호)의 방류 영향이 없는 하구역에서는 영양염이 제거되었고, 담수 방류(영암호-금호호)의 영향을 받은 하구역에서는 수주 내 영양염이 축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목포항 주변 하구역으로 유입되는 영양염들이 육상에서 기인할 뿐만 아니라, 외해역 그리고 하구역 내에서도 추가 공급되고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목포항 주변 하구역의 수질 관리를 위해서는 담수를 통한 육상기인 영양염 부하량을 저감하는 방안과 함께, 주변 해안으로의 영양염 유입도 저감하기 위한 통합 환경관리 대책이 수립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반도 하구역 부착돌말류의 공간적 분포 (Spatial Distribution of Epilithic Diatom Communities in the Estuary of Korean Peninsula)

  • 김하경;조인환;김영효;이민혁;김용재;원두희;황수옥;변정환;황순진;김백호
    • 생태와환경
    • /
    • 제51권1호
    • /
    • pp.1-15
    • /
    • 2018
  • With land-use (cover) and water quality, the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epilithic diatom communities were studied with 193 samples from estuaries of Korean peninsula between 2015 and 2016. Of total 394 taxa classified, Nitzschia perminuta (19.6%) and N. inconspicua (14.0%) were the 1st and 2nd dominant species. Using a cluster analysis, the epilithic diatom communities of Korean estuarie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G1-G4).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were followed: G1 was located in estuaries of the East Sea, and characterized by high forest land-use and high DO and low nutrients; G2 was the eastern part of the South Sea, and characterized by low turbidity and nutrients; G3 was the western part of the South Sea, and characterized by high agriculture, low electric conductivity and low salinity; G4 was the Yellow Sea, and characterized by high nutrients. The environmental factors having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diatom distributions were as follows: TN to G1, turbidity to G2, agriculture to G3, and TP to G4. Moreover, th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occurrence of indicator species were forest land-use for Fragilaria construens var. venter in G1, turbidity for Rhoicosphenia abbreviata in G2, urban land- use and total phosphorus (TP) for Bacillaria paradoxa and Hantzschia amphioxys of G3, and TP and turbidity for N. ovalis and Stephanodiscus invistatus of G4. These results collectively indicate that the distribution of epilithic diatom communities in Korean peninsula was largely effected by water quality and land cover/use.

Three Cletodid Copepods of the Genera Limnocletodes and Kollerua (Harpacticoida, Cletodidae) from Coastal Marshes and Estuaries in South Korea

  • Lee, Ji-Min;Chang, Cheon-Young
    • Ocean Science Journal
    • /
    • 제42권4호
    • /
    • pp.255-267
    • /
    • 2007
  • Three brackish-water harpacticoid species belonging to the family Cletodidae are reported from the salt marshes in South Korea: Limnocletodes behningi Borutzky, 1926, L. angustodes Shen and Tai, 1963 and Kollerua longum (Shen and Tai 1979). Two genera, Limnocletodes and Kollerua, and the three species are newly added to Korean fauna. This paper deals with the redescription and systematic accounts of them, with detailed illustrations.

Two Brackish Cyclopoid Copepods from Southern Coast of Korea

  • Yoon, Hong-Ju;Chang, Cheon-Young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4권3호
    • /
    • pp.241-250
    • /
    • 2008
  • Two brackish cyclopoid species are reported mostly from the estuaries and salt marshes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Limnoithona sinensis (Burckhardt, 1913) and Apocyclops borneoensis Lindberg, 1954. The two species as well as the genera are newly added to Korean fauna. Herein, the redescription is provided with the systematic accounts and detailed illustrations of them.

Six species of the cumacea (Crustacea: Malacostraca) from the intertidal flats surrounding the Yellow Sea

  • Hong, Jae-Sang;Park, Mi-Ra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춘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363-365
    • /
    • 2000
  • The cumacean fauna currently contains more than 1200 species worldwide (Wafting, 1997). Many of the habitats where cumaceans are likely to be found, such as estuaries, shallow embayments, beaches, tidal flats, and the inner continental shelf, have not yet had their cumacean fauna documented (Watling, 1997). (omitted)

  • PDF

수면에 거치된 수직 다중 판에 의한 산란에서 와류로 인한 파랑 에너지의 소멸 (Vortex-Shedding-Induced Dissipation of Waves Scattering against Surface-Piercing Vertical Thin Plates)

  • Oh, Mi-Ran;Lee, Jung-Lyul
    • 한국해안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03년도 한국해안해양공학발표논문집
    • /
    • pp.276-282
    • /
    • 2003
  • The breakwater of surface-piercing type has been developed mainly for application within bays or estuaries that are semi-protected from the direct impact of targe waves. Most of bays have soft foundation which is too weak to bear the weight of gravity type breakwater. (omitted)

  • PDF

소하천 하구(남해 당항포)에서 자연적, 인위적 요인이 영양염 분포에 미치는 영향 (Characteristics of Nutrient Distribution by the Natural and Artificial Controlling Factors in Small Stream Estuary)

  • 강성찬;박소현;안순모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2권1호
    • /
    • pp.1-17
    • /
    • 2017
  • 본 연구는 소하천 하구의 영양염 분포를 조절하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남해안 당항포에 위치한 세 하천(닫힌 하구: 고성천, 열린 하구: 구만천, 마암천)에서 2010-12년까지 계절별로 영양염(질산염, 암모늄, 인산염) 농도를 측정하였다. 고성천의 댐은 담수의 희석을 막고 체류시간을 증가시켜 높은 영양염 농도의 원인이 되어 인위적인 요인이 소하천 하구의 영양염 분포에 중요함을 나타내었다. 그 외에 물리, 기후, 생지화학적 요인이 세 하천 영양염 분포에 영향을 주었다. 세 하천 모두에서 질산염은 상류에서 높고 하류로 갈수록 감소하였다. 이것은 상류 집수역에서 공급이 많고, 하류로 갈수록 희석 및 하구 내 생지화학적 과정에 의한 제거가 활발하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특히 탈질소화 등 대표적인 생지화학적 질소영양염 제거과정은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이 뚜렷하였다. 그러나 암모늄과 인산염은 하천에서 유입되는 농도가 높은 경우에만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농도가 낮아지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영양염 농도의 계절 분포는 여름철에 낮고, 겨울철에 높은 경향을 보였다. 여름철 유량으로 인해 체류시간이 감소하였고, 희석 증가로 하천 내 영양염 농도를 감소시켰으며, 높은 수온으로 인한 생물 생산에 의한 영양염 제거 역시 낮은 영양염 농도에 영향을 주었다. 소하천 하구는 높은 질소제거율(-k) 을 가지는 등 대형하구와는 구별되는 영양염 거동을 보이며 향후 소하천 하구 관리를 위해서는 이러한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한국산 곤쟁이, (갑각망:곤쟁이목)의 생물학적 연구 1. 분류학적인 기재 (The Biology of Neomysis awatschensis (Crustacea: Mysidacea) in Korea. 1. Systematics)

  • 유광일;최승민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61-66
    • /
    • 1985
  • 한국산 공쟁이의 일종으로 남해안에서 서해안 일대의 기수호, 하구역 및 염전 에 널리 분포하고 있는 Neomysis awatschensis(Brandt)의 분류학적 기재와 함께 본 종을 한국산 미기록종으로 발표한다. 아울러 본종의 세계적인 분포에 대한 논의 와 함께 분포지수를 추가한다.

Nitokra Copepods (Harpacticoida: Ameiridae) from Korea

  • Chang, Cheon-Young;Yoon, Hong-Ju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4권1호
    • /
    • pp.115-127
    • /
    • 2008
  • A taxonomic study on the genus Nitakra (Ameiridae) is accomplished. A total of five species are collected from coastal marshes, lagoons, and estuaries in South Korea. Among them, the latter three species are newly recorded from Korea: N. spinipes Boeck, N. affinis califarnica Lang and N. pietschmanni (Chappuis). Taxonomic accounts and a key to the species from Korea are giv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