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2초

시계열분석을 통한 산업재해율 예측 (The Prediction of Industrial Accident Rate in Korea: A Time Series Analysis)

  • 최은숙;전경숙;이원기;김영선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65-74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industrial accident rate using time series analysis. Methods: The rates of industrial accident and occupational injury death were analyzed using industrial accident statistics analysis system of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from 2001 to 2014. Time series analysis was done using the most recent data, such as raw materials of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Economic Statistics System of the Bank of Korea, and e-National indicators. The best-fit model with time series analysis to predict occupational injury was developed by identifying predictors when the value of Akaike Information Criteria was the lowest point. Variables into the model were selected through a series of expertises' consultations and literature review, which consisted of socioeconomic structure, labor force structure, working conditions, and occupational accidents. Results: Indexes at the meso- and macro-levels predicting well occurrence of occupational accidents and occupational injury death were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 for ages 45-49 and budget for small scaled workplace support. The rates of industrial accident and occupational injury death are expected to decline. Conclusion: For reducing industrial accident continuously, we call for safe employment policy of economically active middle aged adults and support for improving safety work environment of small sized workplace.

연령통합적 여가 측면에서 본 자원봉사활동의 연령별 실태 분석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Volunteering Activities in Regards to Age-Integrated Leisure)

  • 김효선;윤소영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5권2호
    • /
    • pp.85-101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certain the actual conditions of volunteering activities in respect to age-integrated leisure. This study is based on the 2010 Korea Leisure Life Survey.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3015 people who reside in Korean cities, except for Jeju-do. Questionnaires from the 2010 Korea Leisure Life Survey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Data were analyzed through a descriptive analysis, Chi-Square test and ANOVA by SPSS WIN 17.0. The findings indicated that 18% of the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volunteer activities as leisure in the last one year.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age, academic career, income, and marital statu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degree of volunteer participation.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duration and field of activities according to age. Third, though most of the non-volunteer reasons were 'lack of resources', there were different reasons based on age. In detail, the reason for 10-50 year-olds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was 'lack of time', but the more than 60 year-olds was 'health concern'. Consequently, this access to the life cycle study shows the need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 PDF

내생성 문제를 완화한 한국의 매칭함수 추정 (Estimation of the Matching Function in Korea by Mitigating Endogeneity Problems)

  • 김지운
    • 노동경제논집
    • /
    • 제43권2호
    • /
    • pp.109-133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Borowczyk-Martins et al.(2013)의 방식을 통해 내생성 문제를 완화하여 한국의 매칭함수를 추정하였다. 관측되지 않는 매칭 효율성을 ARMA(p,q) 과정으로 근사하고 일반적률(GMM) 추정법으로 내생성을 통제하였다. 2009년 6월부터 2019년 12월까지의 경제활동인구조사와 사업체노동력조사의 월 자료를 사용하여 한국의 매칭함수를 추정한 결과, 빈 일자리에 대한 채용의 탄력성을 나타내는 매칭 탄력성은 0.859로 나타났다. 정부의 직접 일자리 제공이 많았던 2019년 표본을 제외하고 추정한 경우 매칭 탄력성은 0.755로 낮아졌으나, 여전히 다른 국가의 매칭 탄력성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 PDF

코로나-19가 임금근로자의 노동조건에 미친 영향 - 고용형태별 차이를 중심으로- (The Impact of COVID-19 on the Working Conditions of Wage Workers - Focusing on Differences by Employment Types -)

  • 이용관
    • 노동경제논집
    • /
    • 제44권2호
    • /
    • pp.71-90
    • /
    • 2021
  • 본 연구는 코로나-19가 임금근로자의 노동시간과 임금에 미친 영향을 고용형태별로 비교분석하였다. 경제활동인구조사-근로형태별 부가조사(2017~2020)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코로나-19로 인해 비정규직은 정규직보다 노동시간이 더 감소해 임금소득 창출 기회가 축소됐다. 같은 기간 정규직과 비정규직 신규인력 간 노동시간과 임금 격차는 커졌는데, 이는 단시간·단기간 고용된 인력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초기수준을 기반으로 노동조건이 변화하므로 이러한 결과는 신규 및 고용안정성이 낮은 인력의 노동조건 개선 노력이 노동시장 불평등 해소에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PDF

시군 실업통계 작성을 위한 소지역 추정모형 (Small Area Estimation to Unemployment Statistics in Korea)

  • 김진;김재광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17권3호
    • /
    • pp.337-347
    • /
    • 2010
  • 대부분의 통계조사는 전국 및 시도단위와 같은 전체 또는 규모가 큰 지역을 위한 통계작성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들어 소규모 지역의 신뢰있는 통계결과에 대한 통계 이용자들의 요구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경제활동인구조사는 전국 및 16개 시도를 위한 실업률을 매월 작성하고 있으나, 시군별 직접추정량은 적은 표본규모 때문에 신뢰도가 낮다. 본 연구에서는 경제활동인구조사에서 제공되는 실업자수에 대한 통계를 시군별로 작성하기 위한 모형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보조정보로부터 "정보를 빌려오는(borrow strength)" 지역단위모형(Area level model)을 사용하였다. 제안된 모형 기반 추정(Model-based Estimation)은 모형 오차의 정규성 가정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평균제곱오차 측면에서 제안된 모형들을 비교하였다.

직장이동의 유형에 따른 단기임금변화 (Job Mobility and Short-run Wage Changes)

  • 김혜원;최민식
    • 노동경제논집
    • /
    • 제31권1호
    • /
    • pp.29-5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직장이동에 따른 단기임금변화를 특히 직장이동의 형태별로 구분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했다. 2003년부터 2007년까지 경제활동인구조사 원자료를 패널자료로 구성하여 분석한 결과, 직장을 유지하는 사람들의 직장내 임금상승은 6%, 실직기간 없이 직장간 이동을 한 경우는 7%, 실직을 경유하는 직장이동은 -10%로 나타났다. 다시 실직의 경우를 세분하여 보면, 선별적 해고의 경우 38% 큰 폭으로 임금이 하락하며 자발적 사직이나 직장사정으로 인한 이직의 경우 7%의 상대적으로 낮은 임금하락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소지역 추정법을 이용한 효율적인 지역 실업률 추정 (An Efficient Estimation of Local Area Unemployment Rate Based on Small Area Estimation)

  • 김수택
    • 응용통계연구
    • /
    • 제24권6호
    • /
    • pp.1129-1138
    • /
    • 2011
  • 지방자치제가 정착되면서 시군구와 같은 소지역 단위의 실업률에 대한 통계는 실업대책이나 고용지원 사업을 위한 예산 편성과 같은 지역 노동시장정책의 수립은 물론 정책 집행 후 그에 대한 사후평가를 하는데 있어서도 중요한 기준을 제공해주기 때문에 지자체 기관장들의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경제적, 시간적으로 많은 제약이 따르는 기초자치단체에서 지속적으로 실업률 통계를 생산하는 데에는 자료의 신뢰성, 연속성및 시의성 면에서 많은 문제를 노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지역 실업률 추정치에 대한 신뢰성(변동계수 25% 이하)을 확보하면서 통계생산에 소요되는 조사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율적인 추정법 및 최소 표본조사구 수를 모의실험을 통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2007년 비정규직법의 고용효과 분석 (Effects of the 2007 Act on the Protection of Fixed-term and Part-time Employees on Employment Levels)

  • 유경준;강창희
    • 노동경제논집
    • /
    • 제36권2호
    • /
    • pp.67-94
    • /
    • 2013
  • 본 논문은 2007년 7월부터 시행된 비정규직보호법이 고용규모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다. 비정규직을 객관적으로 식별하기 위해 본고는 "경제활동 인구조사의 고용형태별 부가조사" 자료를 사용한다. 내생성을 통제하기 위해 우리는 분석 표본을 만 55세 주변 연령대의 남성으로 제한하여 이중차분법을 사용한다. 본고의 추정 결과에 따르면, 비정규직법의 고용효과는 시간에 따라 U자형의 모습을 보인다. 법이 시행된 지 1년쯤 후인 2008년 8월경 총고용에 미치는 부(-)의 효과가 가장 크다. 비정규직법 발효 초기의 고용 감소는 주로 정규직의 감소에 의해, 그리고 13개월 이후의 고용 감소는 주로 비정규직의 감소에 의하여 설명된다. 비정규직법이 총고용에 미치는 부(-)의 고용효과는 2009년 8월, 2010년 3월경에는 대부분 사라진다.

  • PDF

소지역의 실업률에 대한 상대위험도의 추정에 관한 비교연구 (A comparison study on the estimation of the relative risk for the unemployed rate in small area)

  • 박종태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0권2호
    • /
    • pp.349-356
    • /
    • 2009
  • 국내의 행정구역상 시군구 등과 같은 소지역에 있어서 실업률에 대한 남녀별 공통 상대위험도를 추정하는데, 추정방법으로 단순한 합동추정, 울프 방법에 기초한 가중추정과 잭나이프 추정들을 고려하고 이 추정 방법들의 효율성을 편의와 평균제곱오차의 개념을 통해서 비교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02년 12월 경기지역의 경제활동인구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이 지역 내의 24개 시군단위 소지역들의 남녀별 실업률에 대한 상대위험도의 편의 및 평균제곱오차가 본 연구에서 제시된 추정절차에 의해 추정된다. 또한, 이들 추정치들의 안정성과 신뢰성은 상대편의와 상대오차제곱근을 통하여 비교된다. 추정결과 잭나이프 추정이 다른 두 추정들에 비해 매우 효율적임을 보였다.

  • PDF

민간의료보험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민간의료보험 활성화에 대한 함의 (The Determinants of private health insurance purchasing decisions under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in Korea : The expanding of private health insurance market, for the better or worse)

  • 윤태호;황인경;손혜숙;고광욱;정백근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161-175
    • /
    • 2005
  • Since the introduction of mandatory health insurance in In, the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KNHI) has grown rapidly. In 2004, about $96.9\%$ of the total population are covered by the KNHI and the remaining $3.1\%$ by the Medical Aid program. Despite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in Korea, private health insurance market has grown rapidly. In 2004, the size of the private health insurance market was estimated at 6,568 billion w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purchasing decisions of supplementary private health insurance under mandatory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in Korea. The data from n04 Busan Health Survey were analysed for the Purpose. The variables in this study are demographic factors,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al factors, health care systemic factors, and socioeconomic factors. For statistical analyse, we used logistic regression. The Findings show that female, economically active age group(especially 35-49 years), persons with better health status or experience of health screening test are more likely to purchase private health insurance. And higher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higher education level are more associated with the increased probabilities of private health insurance purchases. This results imply that the expanding of private health insurance market could widen the gap between the have and have-not in terms of equal health care accessi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