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cuttle fish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9초

Genetic Differences and Geographic Variation in Cuttle Fish (Sepia esculenta Hoyle)

  • Yoon, Jong-Man;Kim, Jong-Yeon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4권3호
    • /
    • pp.163-170
    • /
    • 2010
  • The gDNA isolated from Korean cuttle fish (Sepia esculenta Hoyle) from Sockcho (SOCKCHO), Seocheon (SEOCHEON), Incheon (INCHEON) and Vietnamese cuttle fish (VIETNAM), were amplified by PCR. Here, the seven selected primers (BION-A07, BION-A09, BION-A11, BION-A20, BION-B04, BION-B06, and BION-B14) were used to generate the unique shared loci to each population and shared loci by the four cuttle fish populations. In this study, the primer BION-A11 detected 112 shared loci by the four populations, major and/or minor fragments of sizes 300 bp, 400 bp, 700 bp and 1,000 bp, respectively, which were identical in all samples. The dendrogram obtained by the seven primers indicates five genetic clusters: cluster 1 (SOCKCHO 01-SOCKCHO 07), cluster 2 (SEOCHEON 08-SEOCHEON 10), cluster 3 (SEOCHEON 11-SEOCHEON 14), cluster 4 (INCHEON 15-INCHEON 21), and cluster 5 (VIETNAM 22-VIETNAM 28). The shortest genetic distance that displayed significant molecular differences was between individuals 25 and 26 from the Vietnamese cuttle fish (0.025), while the longest genetic distance among the twenty-eight cuttle fishes that displayed significant molecular differences was between individuals SOCKCHO no. 02 and SEOCHEON no. 12 (0.640). Individual of Seocheon and Incheon cuttle populations was somewhat closely related to that of Vietnamese cuttle fish population. Even though it could not be affirmed by a single case, such a result seems to be closely connected that the Korean peninsula is subject to climate changes by global warming. In conclusion, our PCR analyses revealed a significant genetic distance among the four cuttle fish populations.

갑오징어뼈를 이용한 중금속의 흡착 특성 (Heavy Metal Ion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Cuttle fish Born)

  • 방명렬;현근우;이광춘;박정희;김영진
    • 환경위생공학
    • /
    • 제15권1호
    • /
    • pp.54-61
    • /
    • 2000
  • We studied the adsorption characteristics on the treatment process of heavy metal wastewater by using cuttle fish bones powder. When adding the 0.25% cuttle fish born powder in the heavy metal solution, $Fe^{3+}$ and $Pb^{2+}$ were high removed than other heavy metals as above 95%. In the solution which was adjusted to pH 5, 7 and 9, there was not observed the difference thing on the heavy metal removal rate. At test using plating wastewater treatment, adding 1%, 1.5% and 2% of the cuttle fish born powder, the heavy metal removal rate were as follows; Zn 12.5 - 37.5%, Mn 18.0 - 62.2%, Cd 36.8 -93.0%, Cu 51.4 - 97.4%, Cr 70.8 - 99.1%, Fe 87.2 - 99.3% and Pb 92.8 - 99.9%. When adding the 0.15% cuttle fish born powder and mixing for 20 minutes, the solution was happened the adsorption equability. Applied this results to the Freundlich's iso-thermal equation, we found the cuttle fish born's probability as a good adsorbent.

  • PDF

건 갑오징어의 방사선 조사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지방분해산물 분석 (Analysis of Radiolytic Products of Lipid for the Detection of Irradiated Dried Cuttle Fish (Sepia officinalis))

  • 김준형;김경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1072-1078
    • /
    • 2003
  • 방사선 조사된 건갑오징어로부터 유도된 hydrocarbon류와 2-alkylcyclobutanone류의 양을 비교 분석하였다. 건갑오징어의 지방추출은 Soxtec 기기를 이용하였으며, 지방추출 후 florisil 충진한 column을 이용하여 hydrocarbon류와 2-alkylcyclobutanone류를 분리하고 GC/MS 분석기기로 확인하였다. 0.5kGy부터 10kGy까지의 방사선 선량별로 조사된 각 시료에서 생성된 hydrocarbon류는 0.5kGy 이상 조사된 시료에서 검출되었으며 조사선량에 따라 생성량도 증가하였다.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로부터 생성된 pentadecane과 1-tetradecene 그리고 heptadecane과 1-hexadecene의 함량이 가장 많았으며. 함량이 낮은 oleic acid로부터 생성된 8-heptadecene과 1,7-hexadecadiene은 가장 적은 함량으로 확인되었다. 2-Alkylcyclobutanone류는 0.5kGy 이상 조사된 시료에서 검출되었으며, palmitic acid로부터 생성된 2-dodecylcyclo-butanone이 두 시료 모두 가장 많이 생성되었다. Stearic acid로부터 생성된 2-tetradecylcyclobutanone 역시 조사선량과 지방산 함량에 따라 생성량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그 함량이 너무 낮게 검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 방사선 조사된 건오징어와 건갑오징로부터 생성된 hydrocarbon류는 조사선량에 따라 뚜렷하게 검출되었고 비조사 시료와 비교, 확인이 가능하여 방사선 조사 여부 판별뿐만 아니라 흡수선량을 예측하기 위한 marker로서 활용할 수 있으며, 2-alkylcyclobutanone류는 방사선 조사 유무의 marker로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대서양 아프리카 연안 트로올 어장의 어황변동에 관하여 1. 오징어, 살오징어, 문어 종의 어황 (On the Fluctuation of Trawl Fishing Condition in the Atlantic Coast of Africa 1. On the fishing condition of cutle fish, squid and octopus.)

  • 김진건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13권2호
    • /
    • pp.27-32
    • /
    • 1977
  • The paper deals the fishing condition of the stern trawlers operated in the Atlantic coast of Africa. The datas are gathered from the Korean stern trawlers operated in the area from June, 1975 to May, 1976. The obtained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ean catch per haul are calculated as, cuttle fish 14.5kg, large size squid(more than :lOOg of body weight) 28.2kg, small size squid(less than 300g) 36.4kg, octopus 47.0kg. 2. Small size cuttle fish(less than5OOg of body weight) are caught much during after spring tide in July to September, yet, large size ClIttle fish(more than 500g) are caught much during neap tide in October to January. 3. Small size squid(less than 300g of body weight) are cBught much during after spring tide in October to December, yet, large size squid(more than 3OOg) are caught much during before spring tide in October to March. 4. Octopus are caught during neap tide in July to August.

  • PDF

무기질 소재로서 갑오징어갑의 성분 특성 (Pood Component Characteristics of Cuttle Bone as a Mineral Source)

  • 조문래;허민수;김진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78-482
    • /
    • 2001
  • 갑오징어 가공부산물인 갑오징어갑을 식품 무기질 강화소재 등으로 이용하기 위한 일련의 기초 연구로 갑오징어갑의 식품학적 성분 특성을 검토하였다. 갑오징어갑의 수율은 약 $7.5\%$이었고, 이들은 회분이 약 $90\%$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갑오징어갑은 중금속 분석 결과 무기질 추출소재로서 중금속은 문제가 되지 않았다. 그리고, 갑오징어갑의 주요 무기성분은 칼슘이 약 $22\%$ 정도로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이와 같은 수율, 일반성분 중금속 및 무기질 함량에 있어 국내산 및 수입산에 있어 큰 차이가 없었다. 갑오징어라을 XRD 분석하여 본 결과 갑오징어갑은 탄산칼슘이 주성분이었고, 전자현미경 관찰 결과 비정형의 결정을 이루고 있었다 갑오징어잠은 pH 7 부근에서 상당히 강한 완충특성을 나타내었고, 탁도는 아주 높았다. 또한 용해도는 탄산칼슘보다는 약간 우수하였으나 전반적으로 낮아 칼슘제로 사용에 있어 제한을 받으리라 추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갑오징어갑은 칼슘 추출소재로 적절하리라 판단되었다.

  • PDF

강북연안 정치망 어획량 변동에 관한 연구 (The Fluctuations of Catches in Set Nets Around Kyeongbuk Province)

  • 홍정표;이주희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1권2호
    • /
    • pp.153-165
    • /
    • 1995
  • 경북 연안 정치망어업의 어획량 변동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 1985~1989 연간 총 11통의 표본어장의 어획자료로부터 연도별, 월별, 지역별, 어종별, CPUE(1양망당 어획량), 어종조성 및 각 어장별 주요어종의 출현시기 및 해황 특징 등에 관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CPUE 변동은 연도별로 보면, 변동폭이 매우 크고 대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고, 지역별로는 죽변 지역이 높고 나머지 지역은 낮았다. 월별로 보면, 전체적으로는 8~11월이 높게 나타났고, 지역별로는 주변, 강구는 8~11월, 축산, 감포는 9~11월, 후포는 8~12월이 높게 나타났다. 연도별 CPUE 변동은 연도별로는 쥐치, 고등어, 참다랭이, 조피볼락, 방어는 감소 추세에 있고, 정어리, 전갱이, 청어는 증가 추세에 있으며, 오징어는 안정을 유지하면서 증가하는 경향에 있고, 갑오징어는 1987년 이후 낮은 수준에서 안정된 경향을 보였다. 월별로는 고등어, 전갱이, 참다랭이, 방어, 조피볼락은 9~10월, 쥐치와 오징어는 11~1월, 정어리는 4~5월, 청어는 3월, 갑오징어는 4월이 높게 나타났다. 연도별로 출현하는 주요어종의 어군크기는 1985년~1989년 전체적으로 볼 때 쥐치, 정어리, 전갱이, 고등어, 오징어, 참다랭이, 방어의 순 이였고, 연도별로는 1985년 쥐치, 1986년 정어리, 1987년에는 전갱이, 1988년에는 쥐치, 1989년에는 정어리가, 월별로는 1~7월까지는 정어리가, 8~10월에는 정어리, 고등어가, 그리고 11~12월에는 쥐치가 수위를 차지하고 있었다. 어종별 출현시기를 감포와 죽변 지역을 비교해 볼 때, 쥐치, 고등어, 오징어, 참다랭이, 갑오징어는 죽변 지역이 다소 빠르게 나타나고, 고등어와 방어는 감포 지역이 빠르게 나타났다. 특히 정어리의 경우는 출현시기가 약 3개월 차이를 보인 반면, 전갱이와 삼치는 동일한 시기에 출현하였다. 또한 경북 연안 정치망어업에서는 평년에 비해 난류세력이 강하고 수온전선이 연안을 따라 남북으로 길게 형성되는 해에 해황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해산 자치어의 먹이생물로써 섬모충 Euplotes sp.의 평가 (Evaluation of Ciliate Euplotes sp. as a Live Food for Marine Fish Larvae)

  • 유진형;허성범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542-544
    • /
    • 200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ciliates Euplotes sp. as a live food for marine fish larvae. The ciliates and the rotifers Brachionus plicatilis, which were cultured with the baker's yeast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the $\omega$-yeast emulsified with cuttle fish liver oil, were supplied to the larvae of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and grouper Epinephelus akaara. Considering the size difference between the ciliates 68 $\cdot$ 7 $\mu$n and the rotifers 160 $\cdot$ 20 $\mu$n, the rotifers and ciliates were supplied to the larvae tank with the density of 2 inds./mL and 20 inds./mL, respectively. The survival rate and growth in length of the flounder larvae fed on rotifer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n Euplotes sp.. In grouper larvae which have a small mouth diameter, even the survival rate of the larvae fed on the ciliates was better than that on the rotifers, it was very low less than $20\%$. Therefore, Euplotes sp. seem to be incongruent as a live food for marine fish larvae.

GC에 의한 건어물 냄새성분중 질소화합물 분석과 다변량해석 (Multivariate Analysis and Gas 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of the Smelly Nitro Compounds in Dried-Fishes)

  • 배선영;이동선
    • 대한화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05-112
    • /
    • 1997
  • 건어물 중의 냄새나는 질소화합물을 증류동시 추출법으로 추출하여 GC-MS로 분석하였다. Amine의 equivalent chain length를 구하여 머무름시간으로부터 탄소수와 차수를 예측할 수 있었다. 새우, 멸치, 북어, 대구, 오징어, 문어, 쥐포, 병어포, 홍합, 조갯살 등 우리 나라에서 많이 식용되는 시료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Dimethylamine, trimethylamine, diethylamine 등은 건어물에서 검출되지 않았으나 methylamine, acetamide, thiazole, 2-hydroxy isopropylamine, N-methyl pyrroline, cyclohexylamine 같은 냄새나는 질소화합물들이 GC-MS로 확인되었다. 건어물의 냄새패턴을 식별하기 위하여 GC-MS 피크면적을 자료로 주성분분석을 적용하였다. 주성분분석에 의한 다변량해석은 건어물의 냄새패턴의 유사성과 이질성의 식별에 유익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 PDF

어육 열처리 가공중의 dimethylamine(DMA)의 변화 (CHANGES OE DIMETHYLAMINE (DMA) CONTENT IN FISH MUSCLE DURING HEAT PROCESSING)

  • 류병호;이종철;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15-120
    • /
    • 1974
  • 열처리 가공중의 발암성이 있는 nitrosamine의 전구물질이 되는 dimethylamine(DMA)의 함량 변화를 실험하였다. 신선한 어육중의 DMA함량은 명태가 피등어꼴두기, 조기. 고등어 보다 월등하게 많았다. 열처리 가공중의 DMA량의 변화를 보면 생시료에 비하여 명태는 열풍건조중 1.8배, 천일건조중 16,6배 증가하였다. 고등어는 배건중에 6.3배, 통조림 가공중에는 9.5배 DMA함량이 증가하였다. 한편 명태, 피등어꼴뚜기, 조기, 고등어 육에서는 dimethylamine, diethylamine은 검출되지 않았다.

  • PDF

식품(食品)에 있어서 진드기의 역학적(疫學的)인 조사(調査)(I) (Epidemiology Studies on the Mites in Food)

  • 김돈균;송수복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1권1호
    • /
    • pp.37-41
    • /
    • 1968
  • Authors studied on the Acaroid mite in the food,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6 species of Acaroid mite were found among twelve kinds different types of food. a. Tyrophagus dimidiatus b. Glycyphagus destructor c. Glycyphagus domesticus d. Hoshikadania konoi e. Acarus siro f. Carphoglyphus lactis 2) Acaroid mite were not found in the wheat flour and magalin among the twelve different kinds. 3) Acaroid mite were distributed at higher rate in the pollack(94%), cuttle fish(77%) and anchovy(50%).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