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corn

검색결과 2,698건 처리시간 0.035초

홍삼박 Silage 제조시 첨가제로서 분쇄옥수수의 효과 (Effect of Ground Corn as an Additive for Silages from Red Ginseng Residue)

  • 백승훈;배형철;김용국
    • 농업과학연구
    • /
    • 제32권2호
    • /
    • pp.205-214
    • /
    • 2005
  • 홍삼박의 보존성을 향상시켜 반추동물사료 또는 사료첨가제로 이용할 목적으로 옥수수silage(대조구, corn silage; CS)와 홍삼박silage(GS), 홍삼박+0.5%분쇄옥수수(GS0.5), 홍삼박+1.0%분쇄옥수수(GS1.0) 및 홍삼박+유산균(GSL) silage를 제조하였다. silage 발효 기간중 0, 3, 7 및 60일에 pH를 측정하고 60일에 시료를 건조하여 분쇄한 후 화학조성분과 in vivo 건물 소화율은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되었다. 1. Silage의 화학조성분은 원료 홍삼박에 비하여 silage의 성분변화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전반적인 홍삼박 silage의 건물기준 조단백질(17.7~18.8%)이 옥수수 silage(8.8%)보다 높았다(P<0.05). 또한 홍삼박silage의 Ca함량은 GS, GS0.5, GS1.0 및 GSL이 0.99, 1.13, 0.99 및 1.03%로 나타나 옥수수silage(CS)의 0.31%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그러나 홍삼박 silage와 간에는 유의차가 나타내지 않았다. 2. Silage의 pH는 처음(0일)부터 홍삼박 silage가 낮았고, 발효 3, 7, 60일에서는 분쇄옥수수 0.5% 첨가구(GS0.5)가 4.2, 3.6 및 3.3으로 가장 낮았고 60일 기준으로는, 무처리구(GS)(3.6)과 유산균구(GSL)(3.7)가 높았다(p<0.05). 3. Silage의 in vivo 건물소화율에서 72시간소화율은 CS, GS, GS0.5, GS1.0 및 GSL이 각각 52.1, 76.5, 75.8, 72.9 및 77.3%로 나타나 옥수수silage보다 모든 홍삼박 silage에서 높았고(p<0.05) 홍삼박silage간에는 유이차를 보이지 않았다. 4. Silage의 발효특성중 총유기산 함량은 CS, GS, GS0.5, GS1.0 및 GSL이 각각 87.3, 44.7, 37.8, 46.3 및 47.2mM/dl로 CS가 가장 높았다. 총산 대유산 함량은 각각 53.7, 60.2, 77.2, 83.4 및 77.3%로 CS와 GS만 70% 미만이고 다른구는 70%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5. Silage의 in vivo 건물 소화율은 발효 72시간에서 CS, GS, GS0.5, GS1.0 및 GSL이 각각 52.1, 76.5, 75.8, 72.7 및 77.3%로 나타나 CS보다 홍삼박 silage에서 높게 나타났다(p<0.05). 결론적으로 홍삼박 silage의 품질은 분쇄 옥수수와 유산균첨가제구에서 양호했으나, 경제적인 면을 고려하여 분쇄옥수수 0.5%(GS0.5)가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Optimization of supplemented whey medium composition for maximum viable cell count of L. crispatus KLB 46

  • 남보현;장정은;김승철;윤현식;소재성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및 bio-venture fair
    • /
    • pp.372-375
    • /
    • 2000
  • Lactobacillus cristatus KLB 46 isolated from Korean woman was grown on supplemented whey medium and medium compositions were optimized for maximum viable cell count. Among the nitrogen sources tested, beef extract yielded the highest viable cell number. When corn steep liquor was applied as an additional nitrogen source, the viable cell number was highest $(3.11{\times}10^9\;CFU/ml)$ in the medium containing 50g/ l corn steep liquor and 10g/ l beef extract. The highest viable cell $count(5.00{\times}10^9\;CFU/ml)$ was obtained from the supplemented whey medium that contains beef extract(10g/ l ), corn steep liquor(50g/ l ), tween 80(0.1%, v/v) and trace amounts of sodium acetate(5g/ l ), dipotassium phosphate(2g/ l ), magnesium sulfate(0.1g/ l ), and manganese sulfate (0.05g/ l ).

  • PDF

옥수수를 주재료로 한 한국산 사료에서의 Fumonisin $B_{1}$ 오염현황 (Contamination of Fumonisin $B_{1}$ in Corn-Based Feed Products in Korea)

  • 이택수;정수현;김영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21-224
    • /
    • 1995
  • 1992년부터 1993년 사이에 수집된 옥수수를 주재료로 한 우리나라의 사료 106 시료중 82점(77.4%)에서 fumonisin $B_{1}$이 검출되었다. 검출된 시료들의 평균 검출량은 497 ng/g이었고 최고값은 1,281 ng/g이었다.

  • PDF

옥수수 펩타이드가 흰쥐의 지질 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rn Peptide on the Lipid Metabolism in Rats)

  • 이해미;장은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416-422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rn peptide(CP) on lipid metabolism. Sprague-Dawley(S.D) male rats were assigned to three dietary groups {control diet(CD), high fat diet (HFD) & high fat com peptide diet(FCD)} and fed 4 weeks to examine the effects of CP. There were no significantly different in cholesterol concentrations in the liver among the groups. However, triglyceride(TG) concentrations of the FCD & CD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HFD. Fecal excretion of neutral steroids & bile acids of the FC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D & HFD. Serum total cholesterol TG & LDL-cholesterol concentrations of the FCD & CD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HFD. These results suggest the improvement of lipid composition in serum by CP might be inhibit of lipid absorption in intestine & increment of neutral steroids & bile acids excretion in feces.

  • PDF

사료내 곰팡이 발육 억제제의 효과에 관한 연구 - Mold-X의 효과에 관한 연구 - (Studies on Effect of Mold Inhibitor in Corn - Study on Inhibitory Effect of Mold-X -)

  • 윤화중;장경진;김태종;원송대
    • 대한수의사회지
    • /
    • 제18권7호
    • /
    • pp.27-34
    • /
    • 1982
  • 본 연구팀은 1981년 10월 부터 1982년 3월까지 시행한 광범위 곰팡이 발육억제제인 Mold-X의 효과에 관한 시험을 시행한 결과 그 성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2\%$의 수분함량이 함유된 옥수수와 옥수수가루 저장에 있어서의 250ppm수준의 Mold-X가 곰팡이의 발육을 억제하였다. 2 수분이 많이 함유된 배지에서 곰팡이의 발육을 억제할 수 있는 Mold-X의 함량은 500ppm수준이었다.

  • PDF

적산온도를 활용한 중북부지역 찰옥수수 적정파종기 설정 (Determination of Adaptable Sowing Dates of Waxy Corn Using Growing Degree Days in the Central Northern Area of Korea)

  • 심강보;이종기;구본일;신명나;윤성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4권3호
    • /
    • pp.269-277
    • /
    • 2019
  • 파종시기를 달리하여 옥수수 생육 및 수량성을 비교하고 출사기, 출사후 등숙기까지 적산온도를 활용하여 중북부지역에서 적합한 옥수수 파종시기를 구명하고자 2017~2018년 2년에 걸쳐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파종기가 빠를수록 토양온도가 낮아 옥수수 유묘 출현기간이 길었으며, 파종시 기별 평균 유묘 출현소요일수는 조생형인 미백2호가 9.1일, 중생형인 일미찰이 9.5일, 만생형인 찰옥4호가 10.1일 소요되어 조생형일수록 유묘출현소요일수가 짧았다. 2. 지온과 유묘 출현일수는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는데, 지온이 낮은 4월에는 유묘 출현일수가 16~22일, 지온이 높은 5월에는 9~15일 정도로 감소하였다. 3. 파종기에 따른 경장, 이삭길이, 이삭폭은 수량과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조생형인 미백2호는 5월 15일, 중생형인 일미찰은 5월 25일, 만생형인 찰옥4호는 6월 15일 파종에서 각각 수량이 가장 높아 중북부지역의 평년기온 조건에서 생태형별 적정 파종기로 판단할 수가 있었다. 4. 동일 파종조건에서 출사 후 26일 까지 품종 간 유효적산 온도 차이는 적었으나 만생형 품종일수록 성숙기까지 소요적산온도가 적었는데 출사 후 26일까지 유효적산온도는 조생형인 미백2호가 $975^{\circ}C$, 만생형인 찰옥4호가 $604^{\circ}C$이었다. 5. 중북부지역에서 찰옥수수를 재배할 경우 생태형에 따른 품종의 파종지표로 유효적산온도를 활용할 경우 조생형인 미백2호는 출사 후 26일까지 적산온도, 중생형인 일미찰은 전 생육기간 적산온도, 만생형인 찰옥4호는 출사기까지 적산온도가 적합하였다. 6. 중북부지역(강원도, 경기북부)에서 생태형에 따른 찰옥수수를 재배 할 경우 파종기부터 등숙기까지 평균 적산온도는 약 $2,400^{\circ}C$, 평균 출사일수는 65일 이상 조건에서 10 a 당 1,200 kg 수준의 수량성 확보가 가능하였다.

찰옥수수 연구 - VIII. 찰옥수수 대학찰 골드 1호에 대한 파종시기별 주요 작물학적 및 이삭 특성 (Study on Waxy Corn - VIII. Botanical and Ear Characteristices of the Yellow Glutinous Corn Hybrid, Daehakchal Gold 1, at Various Planting Stages)

  • 차희정;최윤표;송인규;복태규;이희봉
    • 농업과학연구
    • /
    • 제36권2호
    • /
    • pp.123-127
    • /
    • 2009
  • 본 실험은 신품종 대학찰 골드 1호에 대한 파종 시기별 생육 및 이삭 특성에 대한 연구 결과 주요 특성은 다음과 같다. 1. 공시종에 대한 간장은 모든 파종 시기에서 대학찰 골드1호가 찰옥 1호보다 컷으나 찰옥 1호의 개체간에는 생육 차이가 큰 변이를 보였다. 2. 공시종의 평균 개화기는 대조구인 찰옥 1호가 7일 정도 빨랐으나 개체간 차이가 큰 반면에 대학찰 골드 1호의 개화기는 균일하였다. 두 품종 모두 파종시기가 늦어질수록 개화 소요일수가 빨라지는 경향이었다. 3. 공시종에 대한 간장과 착수고의 비율은 파종시기가 빠를수록 두 품종 모두 낮게 나타나 도복 경감 효과가 클 것으로 나타났다. 4. 공시종에 대한 이삭길이 및 착립 상태를 비교한 결과 대학찰 골드 1호를 4월 말에서 5월 초에 파종한 것이 다른 시기에 파종한 것보다 생육 및 이삭 특성이 우수하였다.

  • PDF

고 불포화 지방산 식이가 인체 혈청 Cholesterol의 Esterification과 Transfer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igh Polyunsaturated Fat Diet on Human Plasma Cholesterol Esterification and Transfer)

  • Lee Myoung Sook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6권7호
    • /
    • pp.819-828
    • /
    • 1993
  • Lecithin Cholesterol Acyltransferase(LCAT)와 cholesteryl ester transfer protein(CETP)은 간과 간외조직간의 혈청 cholcsterol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기전인 reverse cholestrol transport system(RCT)에 매우 중요한 인자들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RCT 기전의 식이 지질 효과를 추정하여 항 고지혈증 치료식이 연구의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4주의 인체대사 실험에서, 새당사 12명의 여성들은 실험 1주 전에 고 포화지질로써 적응시기를 거친 후, 각각 6명씩 high PUFA(corn oil)군과 high SFA(butter)군에 무작위로 배정되었다. Butter군은 total-34(%), esterified-(96%), $HDL_3$-(23%), LDL-(20%) 및 VLDL+LDL-(35%) cholestetol을 감소시켰다. Corn oil군은 esterified(2.5%) 및 LDL-(15%) cholesterol과 triglycerde(27%)를 감소시켰다. Corn oil과 butter fat군간의 식이 효과 차이는 total-(p=0.0001), esterified-(p=0.0001), total HDL-(p=0.005), $HDL_2$-(p=0.01) 및 LDL-(p=0.0001) cholesterol에서 유의적이다. LCAT activity는 두 군에서 변화가 없으나, 4주 후 CETP activity는 butter군에서 2.5배 증가하였다. 이는 VLDL+LDL cholesterol 농도가 butter군에서 증가한 결과와 일치한다. LCAT activity는 corn oil군에서 증가된 HDL의 apo A-I 농도와 free cholesterol과 정의 상관관계가 높은 반면, CETP activity는 total cholesterol과 LDL 및 VLDL+LDL cholesterol과 정의 상관관계가 높았다.

  • PDF

식용(食用) 찰옥수수의 저장조건(貯藏條件)에 따른 당도(糖度) 및 수분(水分) 변화(變化) (Changes of sugar and moisture content according to storage conditions of the vegetable waxy corn)

  • 이희봉;김기훈;김철민;정재영;최현구
    • 농업과학연구
    • /
    • 제27권2호
    • /
    • pp.81-85
    • /
    • 2000
  • 식용찰옥수수의 적정 저장온도를 구명하기 위하여 당함량 및 수분함량 변화를 국내에서 및 육성한 찰옥 1, 2호 및 대학찰에 대해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시된 찰옥수수 교잡종의 식물학적특성은 대학찰에 비해 찰옥 1호, 2호에서 개화기가 약간 빨랐고, 이삭 길이는 찰옥 1, 2호가 짧고, 이삭 직경이 굵은 반면에 대학찰은 간장 및 이삭길이에서 다소 컷으나 이삭직경과 이삭 열수에서 낮게 나타났다. 공시된 교잡종 찰옥수수의 수확시 당도는 대학찰이 크게 높았으며, 찰옥 2호, 얼룩찰순으로 높게 나타났는데 상대적으로 저장기간이 길수록 저장온도에 거의 무관하게 급 감소하는 경향인 반면에 수분함량의 변화는 크게 변화되지 않았다. 이들 교잡종의 신선도 및 고품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4^{\circ}C{\sim}-10^{\circ}C$에서 저장하는 것이 유리하였다.

  • PDF

타올에 흡착된 반건성유인 옥수수유의 자연발화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Spontaneous Ignition of Corn Oil Adsorbed on Towels)

  • 김경수;최유정;유삼열;정필훈;최재욱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574-580
    • /
    • 2022
  • 연구목적: 옥수수유는 반건성유로서 불건성유보다 이중결합의 수가 많고 산소와 결합하기 쉬우므로 자연발화의 조건이 충족되면 적은 양으로도 가연성 물질에 흡착될 경우에는 자연발화가 쉽게 발생된다. 또한 최근 자연발화의 원인 중 산화열에 의해 기름이 묻은 헝겊 등에 의한 사고가 늘어나고 있다. 그러므로 65℃에서 타올의 매수와 옥수수유의 양에 따른 자연발화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실험온도를 65℃로 설정한 후 타올 한 장당 25ml, 50ml, 75ml에 해당하는 옥수수유를 분사시킨 후 시료의 중심 온도가 설정된 온도보다 상승하고, 타올이 연소로 인해 탈 경우에는 발화로 판정하였으며, 시료의 중심 온도가 설정된 온도와 유사할 경우에는 비발화로 판정하였다. 연구결과: 옥수수유를 타올 한 장 당 25ml씩 골고루 분포시킨 후 실험을 한 결과 타올이 5장 일 때는 비발화되었으며, 타올이 10장, 15장일 때는 발화되었다. 또한 옥수수유를 타올 한 장 당 50ml, 75ml씩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 타올이 5장, 10장, 15장일 때 자연발화가 발생되었다. 결론: 옥수수유가 적은 양으로도 자연발화의 조건을 충족하면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