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chili pepper

검색결과 125건 처리시간 0.03초

포장 조건에서 CMVP0-CP 형질전환 고추 도입유전자의 지속성 조사 (Assessment of the Persistence of DNA in Decomposing Leaves of CMVP0-CP Transgenic Chili Pepper in the Field Conditions)

  • 이범규;김창기;박지영;박기웅;이훈복;한지학;김환묵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19-324
    • /
    • 2007
  •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cucumber mosaic virus, CMV)에 저항성을 가지도록 개발된 형질전환 CMVP0-CP 고추를 이용하여 포장 조건에서 CMVP0-CP 고추 도입유전자의 지속성을 조사하였다. CMVP0-CP 고추의 잎을 토양 표면에 올려놓거나 토양 내에 묻은 뒤 일정 시간 간격으로 PCR 및 실시간 PCR법을 이용하여 도입유전자를 정성, 정량 분석하였다. CMVP0-CP 고추에 도입된 유전자의 양은 10 cm 깊이의 토양 속 및 토양 표면에서 1개월 후 28.3-42.7%, 2개월 후 0.9-3.3%로 감소하였으며, 3-4개월 후에는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이러한 유전자는 지중보다 지표에서 약8% 더 오래 지속되었다. CMVP0-CP 고추의 잎이 토양 내에서 분해되는 과정에서 유출된 DNA가 주변 토양으로 전이되었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낙엽주머니에 부착된 토양으로부터 DNA를 추출하여 PCR분석을 수행하였다. PCR 분석 결과 CMVP0-CP 고추에 도입된 유전자가 검출되지 않았다.

고추 보존(保存) 유전자원(遺傳資源)의 특성평가(特性評價)와 품종도입(品種導入) (Evaluation of Pepper Germplasm and Cultivar Introduction)

  • 이우승;김병수;김상기;박규환;권영석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8권
    • /
    • pp.35-44
    • /
    • 1990
  • 한국재래종과 도입종을 포함한 62계통의 고추를 경북대학교 부속농장에 재배하여 종자를 증식하는 동시에 개화소요일수를 포함한 16가지 형질의 특성을 조사 기록하였다. 개화소요일수에 있어서는 KC85(칠곡 동명)와 KC116(PI308791), KC154(Cherry Sweet) 및 KC185(조선고추)가 83일로 가장 조생이었고 KC139(Serrano Chili)와 KC103(PI297488)이 126일로 가장 만생이었다. 과실을 따는데 걸리는 힘에 있어서는 KC85(칠곡 동명)가 0.45kg으로 가장 쉽게 따지고 KC162(PI224444)가 3.34kg으로 가장 많은 힘이 걸렸다. 흰가루병에는 KC10(Pimiento), KC23(PI224423), KC51(PI257044), KC56(PI257053), KC126(PI358812), KC119(PI322719), KC143(Emerald Giant), KC148(VR-2), KC163(PI224445), KC166(Papari Mild)이 발병이 적었다. 탄저병 발생은 KC39(Serrano Chili)에서 가장 적었다. 고추 품종의 수집 및 도입활동을 계속하여 한국재래종 14점과 도입종 25점을 추가 확보하였다.

  • PDF

Comparative Chemical Composition among the Varieties of Korean Chili Pepper

  • Lee Jang-Soo;Kang Kwon-Kyoo;Hirata Yutaka;Nou Ill-Sup;Thanh Vo Cong
    • Plant Resources
    • /
    • 제8권1호
    • /
    • pp.17-26
    • /
    • 2005
  • From the point of breeding view for our future, 20 Korean varieties of red pepper for the contents of capsaicinoids, free amino acids, free fatty acids and organic acids with powder product and eating qualities were chosen, and the sensory properties of their water and ethanol extract were compar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composition of test components on sensory acceptability of Korean red pepper. The composition of taste components in red pepper powder varied wildly depending on the varieties; total capsaicinoids content variety from 0.029 to $0.913\%$, free sugar 8.45 to $20.2\%$, and organic acid 4.58 to $19.54\%$. Capsaicinoid contents especially dihydrocapsaicin content, were highly correlated with pungent taste of the methanol extract of red pepper power, but did not show significant relationship to the overall sensory acceptability. However, the components analyzed here and eating and processing qualities include high variations and future breeding sources.

  • PDF

Linkage Map Construction and Molecular Genetic Approach in Capsicum spp.

  • Kim, Byung-Dong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367-373
    • /
    • 2000
  • We have constructed a molecular linkage map of chili pepper (Capsicum spp.) in an interspecific (C. annuum cv. TF68 x C. chinense cv. Habanero) F$_2$ population of 107 plants with 150 RFLP and 430 AFLP markers. The resulting linkage map consists of 11 large (206-60.3 cM) and 5 small (32.6- 10.3 cM) linkage groups cover-ing 1,320 cM with an average map distance between framework markers of 7.5 cM. Most (80%) of the RFLP markers were pepper-derived clones and these markers were evenly distributed across the genome. By using 30 primer combinations, 444 AFLP markers were generated in the F$_2$population. The majority of the AFLP markers clustered in each linkage group, although PstI/MseI markers were more evenly distributed than Eco RI/MseI markers within the linkage groups. Genes for biosynthesis of carotenoids and capsaicinoids were mapped on our linkage map. This map will provide the basis of studying secondary metabolites in pepper.

  • PDF

Resistance to Anthracnose Caused by Colletotrichum acutatum in Chili Pepper(Capsicum annuum L.)

  • Kim, Sang-Hoon;Yoon, Jae-Bok;Do, Jae-Wahng;Park, Hyo-Guen
    • Journal of Crop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0권4호
    • /
    • pp.277-280
    • /
    • 2007
  • Pepper fruit anthracnose, caused by Colletotrichum acutatum, results in serious yield loss and affects crop quality in many Asian countries, making it a disease of economic consequence. A source resistant to C. acutatum was identified by the AVRDC within the line Capsicum chinense Jacq. PBC932. The resistant breeding line C. annuum AR is the $BC_3F_6$ generation derived from C. chinense Jacq. PBC932. The inheritance of resistance to C. acutatum was analyzed in segregating populations derived from the two crosses HN 11$\times$AR and Daepoong-cho$\times$AR. Detached mature green fruits were inoculated using microinjection method. The disease response was evaluated as the disease incidence at 7 DAI. The segregation ratios of resistance and susceptibility to C. acutatum in the $F_2$ and $BC_R$ populations derived from the two crosses fit significantly to a 1:3 Mendelian model. This indicates that the resistance of AR to C. acutatum is controlled by a single recessive gene.

  • PDF

야외 격리 포장에서 유전자 변형 탄저병 저항성 PepEST 고추가 절지동물 군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Anthracnose Resistant Transgenic Chili Pepper on the Arthropod Communities in a Confined Field)

  • 이훈복;권민철;박지은;김창기;박기웅;이범규;김환묵
    • 환경생물
    • /
    • 제25권4호
    • /
    • pp.326-335
    • /
    • 2007
  • 농업생태계에 심겨진 탄저병 저항성 유전자인 PepEST 유전자가 내재된 유전자변형 고추의 환경위해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2006년 고추의 생육기간 동안 절지동물의 군집구조를 3회(6월 20일, 7월 25일, 8월 28일)에 걸쳐 조사하였다. 두 가지의 고추 즉 모본(nTR, WT512)와 유전자 변형 고추(TR, line 68)의 꽃과 잎에 서식하는 곤충을 포함한 절지동물의 군집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곤충을 포획할 수 있는 진공 흡입기를 이용하여 절지동물을 정량적으로 채집하였다. 생육 기간 중에서 7월에 가장 많은 종수, 종다양도, 그리고 종구성의 차이를 보여주었지만(P<0.05), 각 생육기간별 두 작물간의 군집구조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각 분류군 별로 통계적인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초식자의 먹이 기능군이 통계적인 유의성을 나타냈으며 (P<0.05), 그초식자군의 고추에 대한 잠재적인 피해 가능성을 검정한 결과, 섬서구메뚜기, 진딧물, 그리고 총채벌레의 잠재적 피해가능성이 크다고 판단되었다. 지금까지 수행된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판단하여 볼 때, 유전자 변형 고추로 인한 비표적 생물체의 군집구조의 차이가 없었으므로, 환경위해도는 없는 것으로 판단되지만, 추후 환경 위해도의 잠재 가능성 때문에, 환경위해성 평가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방선균의 식물생육촉진 효과와 식물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 (Effects of Streptomyces spp. on Growth of Plants and Antifungal Activity of Plant Pathogens)

  • 한지희;박경석;이상엽;김정준
    • 농약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83-386
    • /
    • 2012
  • 비농경지의 식물 근권토양에서 식물체의 초기생육촉진 효과가 있는 방선균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미생물의 16S rDNA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Streptomyces spp.로 동정되었다. Streptomyces griseus (MSS181), Streptomyces griseoaurantiacus (MSS269), Streptomyces microflavus (MSS275), Streptomyces herbaricolor (MSS276)의 배양액을 오이, 고추, 담배와 토마토의 생육초기단계에 관주 처리하여 식물체의 초장, 건조중량을 측정하였다. 방선균 처리에 의해 오이의 초장은 대조구에 비해 16-29% 증가하였으나 건조중량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같은 방선균을 고추에 처리하였을 때 고추의 초장은 대조구에 비해 10-19%, 건조중량은 19-25% 증가하였다. 담배의 건조중량은 44-73% 증가하였고 토마토의 건조중량도 65-165% 증가하였다. 공시균주의 식물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검정한 결과, MSS275의 Phytophthora capsici, Fusarium oxysporum, Rhizoctonia solani와 Sclerotinia sclerotiorum에 대한 강한 항균활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