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charcoal

검색결과 670건 처리시간 0.03초

미이용 목질폐잔재의 탄화 이용개발(I) -수종의 간벌재 탄화와 탄화물의 특성- (Development of Carbonization Technology and Application of Unutilized Wood Wastes(I) -Carbonization and It's Properties of Thinned Trees-)

  • 김병로;공석우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7권2호
    • /
    • pp.70-77
    • /
    • 1999
  • 목질폐잔재중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는 간벌재를 이용하여 그 기초적 제탄 기술을 검토하고, 이 탄화물을 이용하여 토양개량, 탈취, 수분 등의 흡착, 미생물활동 담체, 하천등 수질정화제 등으로 이용하는데 기초자료를 얻을 목적으로 탄화물의 성능을 조사하였다. 간벌재의 공업분석결과 회분 0.22~0.73%, 휘발분 77~80%, 고정탄소 약 10~14% 범위로 나타났다. 간벌재의 탄화 수율은 온도가 높아질수록, 탄화시간이 길수록 낮게 나타났고 수축률은 높게 나타났다. 수율은 낙엽송, 리기다소나무, 소나무가 높았고, 잣나무, 굴참나무가 낮았다. 탄화에 의한 수축률은 목재의 수분에 의한 수축률과 같은 경향을 나타냈다. 탄화후 비중은 각 수종에서 약 50% 감소했다. 탄화물의 공업분석은 회분 0.89~4.08%, 휘발분 6.31~13.79%, 고정탄소 73.9~83.5% 였다. 수소이온농도는 온도가 높아질수록, 탄화시간이 길수록 높게 나타났다. 탄화온도 $400^{\circ}C$의 경우 약 pH 7.5를 나타냈고, $600^{\circ}C$$800^{\circ}C$의 경우는 차이가 거의 없이 약 pH 10정도를 나타냈다. 보수성은 본 실험의 탄화온도와 시간의 조건에 따른 영향 없이 비슷한 값을 나타냈다. 초기 24시간 내의 보수성은 시료무게의 약 2.5~3배 정도이고, 그후 평형함수율은 2~10%의 범위를 나타냈다.

  • PDF

일반 김과 기능성 김의 식품성분과 관능평가 비교 분석에 관한 연구 (Comparative Study of Food Components and Sensory Properties of Common Porphyra yezoensis and Functional Porphyra yezoensis)

  • 서희영;정복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0호
    • /
    • pp.1314-1319
    • /
    • 2007
  • 본 연구는 일반 김과 기능성 김의 성분과 관능평가를 비교하기 위하여 전남 신안군에 위치하고 있는 김 제조업체에서 제품을 제공받아 일반 김, 목초액 김, 함초 김, 퉁퉁마디 참숯돌김의 일반성분, 무기질 함량, 중금속 함량, 구성아미노산 분석 및 김을 굽기 전과 구운 후의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성분은 탄수화물과 조 섬유 함량을 제외하고는 일반 김에 비해 기능성 김에서 높게 나타났다. 무기질 함량에서 칼슘, 칼륨, 구리, 나트륨 함량은 함초 김, 철분 함량은 퉁퉁마디 참숯돌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마그네슘과 아연을 제외하고는 기능성 김에서 높게 나타났다. 중금속 함량의 경우 크롬, 카드뮴, 납은 일반 김에서 높았고, 그 외 성분은 퉁퉁마디 참숯돌김에서 약간 더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구성아미노산에서 일반 김과 기능성 김에서 대부분 glutamic acid, glycine, isoleucine, phenylalanine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특히 일반 김에 비하여 기능성 김에서 약 3배 정도 많이 나타난 아미노산은 alanine, phenylalanine이었으며, 일반 김과 목초액 김에 비하여 함초 김과 퉁퉁마디 참숯돌김은 serine과 lysine의 함량이 높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관능평가결과에서는 김을 굽기 전에는 일반 김과 기능성 김 간의 차이는 없었으나 김을 구운 후에는 일반 김에 비하여 대부분의 기능성 김의 관능평가 결과가 유의적으로 높아졌음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목초액 김에 비하여 함초 김의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Aflatoxin에 노출된 닭에서 활성탄과 어성초의 독성완화 효과 (Alleviative effects of activated charcoal and Houttuynia cordata Thunb. in broiler chickens during aflatoxicosis)

  • 하대식;지대해;조상래;박애라;정은희;박동엽;이국천;허정호;김종수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85-197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alleviative effects of activated charcoal (AC) and Houttuynia cordata (HC) singly or in combination in broiler chickens during aflatoxicosis. Activated charcoal (1% or 0.5%) and H. cordata (1% or 0.5%) were mixed into the diets for the ability to reduced the deleterious effects of 2.4mg total aflatoxin $(AFB_1)kg^{-1}$ diet on growing broiler chickens from 1 to 21 days of age. A total of 160 1-day-old (Hyline Variety Brown) broiler chicks were housed in eight treatment groups [Control, $AFB_1$, AC 1%, HC 1%, $AFB_1$ plus AC 1% plus HC 1%, $AFB_1$ plus AC 1% plus HC 0.5%, $AFB_1$ plus AC 0.5% plus HC 1%, $AFB_1$ plus AC 0.5% plus HC 0.5%] each consisting of 20 chicks. Compared to control, 2.4mg $AFB_1$ alone treatment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body weight gains of chickens. The addition of mixed AC 1% and HC 1% including 6, 7 groups to the 2.4mg $AFB_1$-containing diet moderately reduced the adverse effects of $AFB_1$ on performances of chickens. The chickens consuming 2.4mg $AFB_1$ plus AC 0.5% and HC 0.5%-containing diet showed very slightly reduced the adverse effects on investigated parameters compared to the $AFB_1$ only treated group. Also, the single addition of AC or HC to the $AFB_1$-free diet had no adverse effects in chicke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C and HC mixed can reduced the aflatoxicosis in broilers and may be contribute to a solution of the aflatoxicosis problem in poultry production.

대나무숯 성형보드의 연소특성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Bamboo Charcoal Boards)

  • 박상범;박주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0권1호
    • /
    • pp.19-2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대나무숯의 인테리어용 건축자재로의 이용을 위하여 대나무숯 성형보드를 개발코자 하였다. 대나무숯 성형보드의 난연성능 확보를 위해 대나무숯과 발포질석 및 무기계 바인더를 혼합, 성형하여 제조하였다. 초기 열류량 50 kW/$m^2$의 조건에서 콘칼로리미터에 의한 대나무숯 성형보드의 연소시험이 수행되었다. 중량 감소율, 총열방출량, 최대열방출률의 연소거동을 관찰하기 위하여 3종의 건축재료(합판, 일본산 죽탄보드, 석고보드)를 사용하였으며, 표면시험 및 가스유해성을 조사하였다. 대나무숯 성형보드의 중량감소율은 연소 10분후 12.0%로 불연성 석고보드의 중량감소율(15.6%)보다 작았다. 연소 개시 5분 시점에서 대나무숯 성형보드의 총열방출률은 3 MJ/$m^2$, (KS 기준 8 MJ/$m^2$ 이하)이며, 최대열방출률은 20 kW/$m^2$ (KS 기준 200 kW/$m^2$ 이하)를 나타내어 난연3급의 건축재료에 해당되었다. 연소에 따른 외관상 변형과 방출가스에 의한 마우스 유해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숯 포장재가 백미, 현미, 흑미 저장 중 물리화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arcoal Packaging Materials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White, Brown and Black Rice During Storage)

  • 정남용;최성숙;최순남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553-560
    • /
    • 2004
  • 백미, 현미, 흑미를 각각 일반포장재와 숯포장재에 일정기간 저장하면서 저장기간 중 물리화학적 특성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조사하여 곡류저장에 대한 숯포장재의 활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저장 중 무게의 변화는 전반적으로 쌀의 종류 및 포장재간의 차이에 상관없이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일반포장재와 숯포장재에 따라 $100.0\%$에서 백미군은 각각 $97.0,\;97.0\%$, 현미군은 각각 $97.5,\;97.6\%$, 흑미군은 각각 $97.6,\;97.8\%$로 나타났고 포장재간의 차이는 미미하였다. 저장 쌀의 발아율을 측정한 결과 백미군의 경우 모두 $0.0\%$의 발아율을 나타내었고, 저장 4주 후 일반포장재와 숯포장재에 따라 현미군에서 각각 $71.0,\;70.0\%$, 흑미군에서는 각각 $70.0,\;70.5\%$의 발아율을 보였으며, 저장 10주 후에는 현미군에서 각각 $10.3,\;10.9\%$, 흑미군에서는 각각 $11.8,\;12.1\%$이었고 저장 16주 후에는 모든 군에서 $0.0\%$이었고 포장재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2. 수화양상 실험결과 실험 초기에 백미는 4시간, 현미는 8시간, 흑미는 12시간 이후에 평형수분함량에 도달하여 백미는 $26.4\%$, 현미는 $25.9\%$, 흑미는 $37.8\%$의 수분증가량을 보였다. 실험군 모두 저장기간이 길수록 수화정도는 증가하였으며 포장재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3. 저장기간에 따른 경도는 실험 초기 백미 5.430, 현미 7.448, 흑미 7.822 kg이었으나 저장 16주 후에는 흑미 숯포장재군이 가장 적게 변하여 실험초기와 실험 후 경도의 차이는 1.790 kg, 백미 일반포장재군은 가장 많이 변하여 2.702 kg으로 각군마다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p<0.001). 또한 포장재간에 따른 경도는 16주 경과 시료의 경우 일반포장재와 숯포장재군에 따라 백미에서는 각각 8.132, 8.114, 현미에서는 9.696, 9.347, 흑미는 10.026, 9.612 kg로 일반포장재군 시료보다 숯포장재군 시료의 경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p<0.05). 4. 지방산도는 모든군에서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p<0.001), 일반포장재군보다 숯포장재군의 지방산도가 유의적(백미, 현미군 p<0.001, 흑미군 p<0.01)으로 낮았으나 숯포장재군 시료의 경우에서도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지방산도가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원료 상태 시료의 총균수는 g당 $10^5$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저장기간에 따라 큰 변화가 없다가 16주 후에는 현미 숯포장재군을 제외하고는 총균수가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일반포장재군와 숯포장재군의 시료에서 총균수가 비슷하게 조사되었다. 따라서 본 실험을 통해 숯포장재가 물리화학적 성질에 있어 일반 종이포장재보다 우수한 결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숯포장재 제조 시 숯의 기능성을 저하시킬 수 있는 요인 및 제조 방법 등을 개선함으로써 숯의 기능성과 친환경적 특성을 최대한 살린 포장재의 연구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서천 추동리 문화유적에서 채취된 숯의 수종식별과 물리적 특성 (Identification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Ancient Charcoals Excavated from Chudong-ri Site, Korea)

  • 김명진;이종신;박순발
    • 보존과학회지
    • /
    • 제24권
    • /
    • pp.13-22
    • /
    • 2008
  • 서천 추동리 문화유적내 토과목관묘에서 출토된 숯과 인근의 기와가마에서 연료로 사용되었던 나무의 숯을 채취하여 수종을 식별하고 각각의 흡습성과 가스 흡착성을 비교하였다. 총 23점의 숯 시료에 대해서 수종을 식별한 결과 토광목관묘에서 출토된 12점의 숯은 모두 활엽수 숯으로 9점이 참나무속의 상수리나무아속 계통, 3점이 팽나무속 숯인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기와가마에서 출토된 11점의 숯은 모두 침엽수로 경송류의 소나무류인 것으로 식별되었다. 출토 숯의 물리적 성질을 조사한 결과 토광목관묘의 활엽수 숯이 기와가마의 소나무류 숯보다 높은 흡습성을 나타냈으며 에틸렌 가스 흡착 시험에서도 상수리나무아속 숯이 소나무류 숯보다 높은 가스 흡착성을 보였다. 토광목관묘 유구에 활엽수 숯을 사용한 이유는 침엽수 숯에 비하여 활엽수 숯이 미세 세공이 많고 비표면적이 넓어 수분과 가스 흡착력이 우수하여 묘광 내에 보다 양질의 매장 환경을 조성할 수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한편, 기와가마에서 소나무류를 연료로 사용한 이유는 비중이 작아 재질이 연하여 연소가 잘되고 특히 재내에 다량의 수지(송진)를 함유하고 있어 발열량이 높고 비교적 화력 조절이 용이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 PDF

대나무 숯과 대나무 잎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과 육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amboo Charcoal and Bamboo Leaf Supplementation on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in Chickens)

  • 김성환;이인철;강성수;문창종;김성호;신동호;김형진;유진철;김종춘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805-810
    • /
    • 2011
  • 본 연구는 대나무 숯과 대나무 잎의 급여가 육계의 성장과 사료효율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30일간 각각 0.5%의 농도로 급여하였다. 시험결과, 대숯과 대잎 시험군에서 시험기간 중 사망률은 대조군에 비해 낮아진 반면, 출하 시 체중과 증체량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또한 대조군에 비해 대숯과 대잎 시험군의 사료효율도 개선되었으며, 계육의 전단력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대숯을 급여한 닭에서의 지방함량은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으나 감소경향을 나타낸 반면, 대숯과 대잎을 급여한 닭에서의 불포화 지방산 비율은 증가경향을 나타내었다. 계육의 관능검사 결과, 대숯과 대잎 시험군의 선호도는 대조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혈액 및 혈청생화학 검사항목에서는 대조군과 시험군간에 유의성 있는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본 시험결과는 대나무 숯과 대나무 잎의 사료첨가 급여가 육계의 성장과 사료효율 및 육질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사료첨가제로서 대나무 숯과 대나무 잎의 유용성과 개발가능성을 시사해 주고 있다.

개고사리의 기내 포자체 재생에 미치는 배지구성물질 및 배양방법의 영향 (Effect of Medium Components and Culture Methods on Shoots Regeneration from Athyrium niponicum)

  • 신소림;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13-120
    • /
    • 2011
  • 본 연구는 개고사리의 기내 조직배양 시 적정 배지구성 물질과 배양방법을 구명하여 효율적인 대량생산체계를 구축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개고사리의 엽신, 엽병 및 근경의 절편 중 근경의 절편에서만 포자체가 분화되었다. 근경의 절편으로부터 포자체의 재생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1/2MS 배지가 가장 적합하였으며, 배지 내 sucrose는 1%, $NaH_2PO_4$는 50 $mg{\cdot}L^{-1}$으로 첨가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생장조절물질은 BA보다 kinetine을 첨가하는 것이 포자체의 분화를 촉진하는데 적합하였으며, kinetin 2 ${\mu}M$와 IBA 5 ${\mu}M$를 혼용하여 첨가하는 것이 근경의 절편으로부터 포자체를 형성하는데 가장 효과적이었다. 포자체 형성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난 변형 1/2MS배지(sucrose는 1%, $NaH_2PO_4$는 50 $mg{\cdot}L^{-1}$, kinetin 2 ${\mu}M$와 IBA 5 ${\mu}M$, pH 5.8)에 활성탄을 0 또는 0.1% 첨가하여 고체 또는 액체배지에서 배양한 결과, 개고사리 근경의 절편은 고체배지에서 포자체의 재생 및 생육이 가장 우수하였다. 배지에 활성탄을 첨가하는 것은 고체, 액체 정치 및 액체 현탁배양 모두에서 근경절편의 포자체 분화를 억제하였다.

초임계수 처리로 가수분해된 목질계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바이오 에탄올 생산 (Bioethanol production from wood biomass hydrolysate with supercritical water treatment)

  • 서현범;한재건;최원석;이오규;이수민;최석환;이현용;정경환
    • KSBB Journal
    • /
    • 제23권6호
    • /
    • pp.494-498
    • /
    • 2008
  • 초임계수 처리를 통하여 얻어진 목질계 바이오매스 가수분해 물을 이용한 바이오 에탄올 생산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초임계수 처리 가수분해물은 바이오에탄올 생산을 위한 배지의 탄소원으로 사용되었다. 농축된 초임계수 처리 가수분해물 (SCW3)을 사용하여 효모를 배양하였을 때, 다른 두 가지 초임계수 처리 가수분해물 (SCW1, SCW2) 을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효모의 성장속도가 늦었다. 그리고 모든 경우에 0.51에서 0.56 (%, w/v)의 바이오 에탄올이 생산되었다. 그래서 농축된 초임계수 처리 가수분해물 (SCW3)을 활성탄과 수산화 칼슘으로 전처리하여 페놀류 독성물질을 제거하였다. 활성탄 전처리가 보다 효과적으로 94.6%의 페놀류 화합물을 제거하였고, 바이오 에탄올도 0.96 (%, w/v) 생산 할 수 있게 하였고, 환원당을 기준으로 한 바이오에탄올 수율도 0.5에 이르렀다.

청나래고사리의 기내 포자체 재생에 미치는 배지 구성물질의 영향 (Medium Composition Affecting In Vitro Regeneration of Matteuccia struthiopteris)

  • 신소림;이철희
    • 화훼연구
    • /
    • 제17권2호
    • /
    • pp.93-100
    • /
    • 2009
  • 본 연구는 청나래고사리의 기내 포자체 유묘를 이용한 효율적인 대량생산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유묘의 엽신, 엽병, 근경을 곱게 다져 활성탄 0.1%를 첨가한 1/2MS배지에 배양한 결과, 근경의 절편에서만 포자체 유묘가 생산되었다. 곱게 다진 근경 절편은 1/2MS 배지에서 포자체 재생이 가장 왕성하였으며, sucrose 농도를 2%로 조절하고 $NaH_2PO_4$ $50mgL^{-1}$을 첨가할 경우 포자체 재생이 더욱 촉진되었다. Kinetin과 BA를 단용 또는 NAA, IBA와 각각 혼용하여 배양한 결과, kinetin $1{\mu}M$ 단용 처리구에서 포자체 재생이 가장 왕성하였다. BA 첨가구에서는 분열조직의 증식이 왕성하였으나. 분열조직이 포자체로 분화되지 못하는 특징을 보였다. 변형 1/2MS 배지(sucrose 2%, $NaH_2PO_4$ $50mgL^{-1}$, kinetin $1{\mu}M$, pH 5.8, agar 0.8%)에 활성탄 0 또는 0.1%를 첨가하여 고체, 액체 정체, 액체 진탕배양한 결과, 포자체 재생은 액체 진탕배양시 가장 왕성하였으며, 활성탄의 첨가는 포자체 재생을 촉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