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catfish

검색결과 217건 처리시간 0.025초

메기 송과체의 광수용세포 및 신경세포 돌기의 3차원적 구조 (Three-dimensional Structure of the Processes of Photoreceptor Cells and Nerve Cells in the Pineal Organ of the Catfish, Parasilurus asotus)

  • 남광일;이송은;오창석;배춘상;박성식
    • Applied Microscopy
    • /
    • 제30권3호
    • /
    • pp.255-264
    • /
    • 2000
  • 메기 송과체를 대상으로 3차원적 전자현미경법을 이용하여, 송과체를 구성하는 신경세포 및 광수용세포 돌기들의 위치적 상호관계를 3차원적으로 구명하고자 하였다. 광수용세포의 돌기들은 서로 복잡하게 얽혀 있었으며, 다른 세포질내로 돌기의 일부가 파고드는 양상을 보이는 것도 있었다. 신경세포 돌기는 이들 읽혀 있는 광수용세포 돌기 사이를 주행하면서 여러군데서 리본연접을 형성하고 있었는데, 광수용세포내의 이들 리본연접의 수는 위치에 따라 다양하였다. 한편 송과강내에서는 탐식되기 전의 광수용세포 외절에 대식세포가 접근해 있는 것도 관찰되었다. 이상의 관찰결과, 메기 송과체의 광수용세포의 기저돌기는 다양한 형태이며, 특히 인접부위로 주행하는 신경세포의 돌기와 연접을 형성하기 위해 또 다른 가지를 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Change of Various Characteristics between Spawning and Non-spawning Season in Diploid and Induced Triploid Far Eastern Catfish, Silurus asotus

  • Lim, Sun Young;Gil, Hyun Woo;Park, In-Seok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1권3호
    • /
    • pp.275-286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fatty acids and hormonal parameters in the spawning and non-spawning season between the diploid and induced triploid Far Eastern catfish, Silurus asotus. The measured triploids were produced by cold shock for 50 min at $4^{\circ}C$ in May 2014, the spawning season of diploid was in May, and the non-spawning season was designated in January. Estradiol and testosterone and gonadosomatic index of diploid were higher than those of induced triploid in spawning season (P<0.05), and those of diploid in spawning season were higher than non-spawning season. On the other hand, thyroid stimulating hormone and thyroxine of induced triploid were higher than those of diploid in spawning season (P<0.05). Erythrocyte count of diploid was higher than that of induced triploid in spawning season and non-spawning seasons. Mean corpuscular volume and mean corpuscular hemoglobin of induced triploid were higher than those of diploid in both seasons (P<0.05). Percentages of total saturated fatty acids and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of induced triploid were higher than those of diploid in spawning season, but those of diploid were higher in non-spawning season (P<0.05). Percentages of total mono unsaturated fatty acids and total n-6 polyunsaturated fatty acids of diploid were higher than those of induced triploids in spawning season, while those of induced triploid in non-spawning season were higher (P<0.05). Therefore, induced triploids in the spawning season tend to concentrate on growth and lipid-synthesization, whereas, diploids concentrate on reproduction and gonadal maturation rather than on growth. In non-spawning season, growth and lipid-synthesizat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diploid and induced triploid.

챠넬메기의 간 mRNA 로부터 분리한 metallothionein 유전자의 PCR 절편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PCR fragment of metallothionein gene from liver mRNS of channel catfish)

  • 송영환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9-44
    • /
    • 1997
  • Metallothionein은 세균에서 척추동물에 이르기 까지 모든 생명체에 존재하며, 중금속의 세포내농도를 조절하는 중요한 단백질이다. 현재까지 metallothionein의 기능 및 유도기작에 관한 연구는 많이 진척되지는 않았으나, 여러 metallothionein 유전자의 구조가 밝혀져 있는 실정이다. 특히 어류의 metallothionein은 여러종류의 중금속과 환경적인 자극에 의하여 유도되고 정량적인 RT-PCR의 방법으로 metallothionein 유전자의 RNA transcript를 측정함으로써 환경적인 자극의 정도와 중금 속의 상대적인 양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한 단백질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전자내부의 특이적 primer와 통상적인 3`말단의 primer를 이용하여 PCR에 의해 450 bp에 해당하는 metallothionein 유전자의 일부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챠넬메기의 cDNA library로부터 PCR에 의해 증폭된 450 bp의 PCR 절편은 다른 어류의 metallothionein 유전자와는 유사성을 보이지 않았다.

  • PDF

대농갱이 (Leiocassis ussuriensis)의 초기 생식소 형성 및 성분화 (Early Gonadogenesis and Sex Differentiation in the Bagrid Catfish, Leiocassis ussuriensis)

  • 박상용;이윤아;최경철;강언종;방인철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48-253
    • /
    • 2001
  • 대농갱이, Leiocassis ussuriensis의 생리학적 성전환을 위한 기초적인 연구로 성분화 과정을 조직학적으로 조사하였다. 부화 후 1일째에 중신관과 장 사이의 장간막에 원시생식세포가 나타났으며, 부화 후 5일째의 초기 생식소는 생식융기를 형성하는 원시생식소 구조를 나타내었다. 부화 후 20일째의 생식소는 암, 수로의 분화가 이루어졌는데 정소는 부화 후 20일째에 유사분열 단계의 원시생식세포들이 분포하였으며, 난소에서는 난소를 특징지을 수 있는 entovarian sac의 구조가 난소 중앙부분에 나타났다. 부화 후 40일째 정소에서는 정원세포의수가 점점 증가하였고, 부화 후 50일째 난소에서는 난소강이 더 뚜렸해지며 부화 후 100일째 난소에서는 초기 난모세포가 난소내에 가득 차기 시작하여 기능적 난소의 형태로 분화하였다. 이상의 결과 본 종은 초기 성분화 과정은 자성 단계를 거치지 않고 정소와 난소로 분화되는 분화형 자웅이체였다.

  • PDF

챠넬메기의 metallothionein cDNA 유전자의 cloning 및 그 특성에 관한 연구 (Molecular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metallothionein cDNA gene in channel catfish)

  • 이인정;송영환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43-152
    • /
    • 1992
  • Metallothionein은 세포내의 중금속의 농도을 조절하는 주요한 단백질로서 bacteria에서 척추동물에 이르기까지 모든 생명체에서 나타나는 공통된 단백질이다. 비록 metallothionein의 정확한 기능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독성을 나타내는 중금속에 대하여 세포내 방어기작에 관여할 뿐만 아니라 여러다른 유전자의 총괄적 조절기작 및 matalloprotein의 발현에 관여할 것으로 보고있다. 본 연구에서는 Channel Catfish의 metallothionein cDNA 유전자를 poly(A)를 갖는 mRNA로 부터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RT-PCR)에 의하여 cloning하였다. 증폭된 PCR products는 pBluescript SK+의 EcoRV site 및 pUC19의 Smal site에 dT tailing을 하여 cloning하였으며, PCR products는 multicloning site에 있는 EcoRI 및 HindIII 로 절단하여 확인하거나 신속한 PCR screening에 의하여 확인하였다. 여러 PCR clone 중 하나인 pMT150에 대한 DNA 염기서열을 조사한 결과 다른 어류의 metallothionein cDNA 유전자와 높은 유사성을 보였다.

  • PDF

메기 Silurus asotus 염색체조작을 위한 온도 의존적 체세포분열 간격지수 결정 (Determination of the Temperature-Dependent Index of Mitotic Interval (${\tau}_o$) for Chromosome Manipulation in Far Eastern Catfish Silurus asotus)

  • 박인석;임재현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85-88
    • /
    • 2001
  • 메기 Silurus asotus에서 염색체조작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하여, 여러 온도 조건에서의 난할율과 제2, 제3 난할 시간의 평균화에 의한 체세포분열 간격지수 (${\tau}_o$)를 조사하였다. 빠른 난 발생과 비동시적 발생은 고온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메기의 체세포분열 간격지수는 $22^{\circ}C$에서 $21.5{\pm}1.4$분, $24^{\circ}C$에서 $18.5{\pm}1.2$분 그리고 $26^{\circ}C$에서 $14.0{\pm}2.1$분이었다. 3가지 수온조건과 ${\tau}_o$ 간에는 Y=-1.85X+21.9 ($R^2=0.9868$, Y는 ${\tau}_o$ 그리고 X는 수온)의 직선회귀가 성립되었다.

  • PDF

Osteological Development of the Larvae and Juvenile of Bullhead torrent catfish, Liobagrus obesus

  • Seo, Won-Il;Park, Jae-Min;Lee, Sung-Hun;Yoon, Seong Min;Hwang, Seon-Yeong;Han, Kyeong-Ho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2권1호
    • /
    • pp.9-18
    • /
    • 201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keletal development of bullhead torrent catfish, Liobagrus obesus larvae and to utilize them as basic data for the taxonomic study of Liobagrus larvae. Skeletal development was observed by being divided into cranium, visceral skeleton, shoulder girdle bone, pelvic girdle bone and vertebra. On the first day after hatching, the pre-larvae had an average total length of 7.92 mm, and a line-shaped parasphenoid ossified in the cranium. In the jaw bone, the dentary supporting the lower jaw and the maxillary supporting the upper jaw were ossified. In the anterior abdominal vertebrae of the vertebra, seven centrums began to ossify and five neural spines ossified simultaneously. On the 3 day after hatching, pre-larvae had an average total length of 8.95 mm, and the prefrontal ossified in cranium. The number of abdominal vertebrae was increased to 14, and three parapophysis developed from the front side. On the 24th day after hatching, post-larvae had an average total length of 15.2 mm and the epural bone ossified in coccyx. The parhypural bone was ossified, and ossification of coccyx and pelvic girdle bone was completed. On the 30th day after hatching, the average total length of the juvenile was 17.8 mm, and the ossification of cranium and visceral skeleton was all completed while the preorbital and three suborbitals were ossified in the orbital region of the cranium.

Introduction of bacterial and viral pathogens from imported ornamental finfish in South Korea

  • Choi, Hee Jae;Hur, Jun Wook;Cho, Jae Bum;Park, Kwan Ha;Jung, Hye Jin;Kang, Yue Jai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2권2호
    • /
    • pp.5.1-5.9
    • /
    • 2019
  • Background: Live fish import may lead to the unintended introduction of pathogens. We examined the monthly distribution of microbial pathogens in ornamental finfish imported into South Korea over a 6-month period. Results: Vibrio alginolyticus was detected in one lemon damsel in June and July; V. vulnificus was detected in one lemon damsel, one caerulean damsel, and one pearl-spot chromis and one ocellaris clownfish in July, April, and May, respectively; Photobacterium damselae was detected in one ocellaris clownfish and one caerulean damsel in June and July, respectively; V. anguillarum was detected in one pearl-spot chromis in February; V. harveyi was detected in one ocellaris clownfish and two mandarin fish in February and April, respectively; Yersinia ruckeri was detected in a pearlscale goldfish group in June and July and in two colored carp groups in July; and Lactococcus garvieae was detected in a lemon damsel group and a sutchi catfish group in July and May, respectively. European catfish virus, the only viral pathogen detected, was found in two sutchi catfish groups in May. Conclusion: This study is the first to identify pathogenic species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pathogens (non-quarantine diseases) in imported ornamental finfish.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various pathogens with the potential to harm indigenous fish populations can accompany ornamental finfish imported into South Korea.

메기(Silurus asotus)용 실험 배합사료와 상품사료의 사육효능 비교 (Evaluation of Experimental Extruded Pellets and Commercial Extruded Pellets for Far Eastern Catfish Silurus asotus)

  • 임상구;김광석;강용진;김응오;손맹현;안철민;김강웅;조용철;김경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39-145
    • /
    • 2012
  • Two feeding trial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experimental extruded pellets (EEPs) and commercial EPs (CEPs) on Far Eastern catfish $Silurus$ $asotus$ in pilot- (experiment I) and commercial-scale (experiment II) tanks. Four diets were prepared: three EEPs (EEP1, EEP2 and EEP3) that contained different amounts of tuna fish meal, soybean meal, and squid liver oil, and one CEP diet. In experiment I, three replicate groups of juveniles were fed one of the four EPs in pilot-scale tanks for 19 weeks. The weight gains (WGs) of fish fed EEP1 and CE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fish fed EEP2 or EEP3. The highest feed efficiency (FE) was observed in fish fed the CEP diet ($P$<0.05), and the FE of fish fed EEP1 and EEP3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with EEP2 ($P$<0.05). In experiment II, juveniles were fed one of four EPs in commercial-scale tanks for 19 weeks. WG and FE values of fish fed EEP1 and CEP were higher than those of fish fed EEP2 and EEP3.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dietary formulation used in EEP1 could be used as a practical feed for Far Eastern catfish.

메기(Silurus asotus) 기아 시 조직학적 변화 (Effect of starvation on tissues in Far Eastern catfish(Silurus asotus))

  • 구인본;김영수;박인석
    • 환경생물
    • /
    • 제38권2호
    • /
    • pp.315-322
    • /
    • 2020
  • 메기(Silurus asotus)의 기아 시 생존율, 생식소 중량지수(gonadosomatic index; GSI), 간 중량지수(hepatosomatic index; HSI) 및 장 중량지수(intestinosomatic index; ISI)와 신장세포, 장 상피세포 및 간세포의 조직학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생존율은 섭이군이 92.2±0.47%, 기아군이 74.4±2.59%를 보였으며, GSI, HSI 및 ISI는 기아군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신장세포 핵의 높이, 장 상피세포 핵의 높이, 간세포 핵의 크기 및 간세포의 크기는 섭이군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p<0.05), 신장세포핵의 높이, 장 상피세포 핵의 높이 및 간세포 핵의 크기는 기아군에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p>0.05). 멜라닌대식세포(melano-macrophages; MMs)는 기아 동안 신장에서 증가함을 관찰하였다. 신장의 MMs 증가 및 간세포의 수축현상은 메기의 기아 상태를 식별하는 지표로 이용할 수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메기의 영양 상태 확인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