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barbel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5초

한국산 퉁가리과 (Amblycipitidge) 어류 2종 수염의 조직 학적 구조 (Histological Structure of the Barbels of Liobagrus andersoni and L. obesus (Amblycipitidae: Pices) from Korea)

  • 박인석;설동원;임수연;김치홍;강언종;공용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38-343
    • /
    • 2006
  • Histological observations of the barbels of torrent catfish (Amblycipitidae) in Korea are reported. The bullhead torrent catfish (Liobagrus andersoni) and Korean torrent catfish (L. obesus) have eight obvious barbels in two pairs each on the maxilla and mandible. Each barbel is composed of an epidermis, dermis, and central cartilagerod. The epidermis of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barbels of the bullhead torrent catfish is thicker than that of the Korean torrent catfish (P<0.05) and is formed of stratified epithelium that contains many cutaneous taste buds and a few small club cells. There are many taste buds on the upper part of each barbel. The dermis consists of loose connective tissue fibers that enclose blood vessels and bundles of nerve fibers. The barbels of these fish can be categorized into stiff and flexible types and are accessory, feeding, and sensory structures. Our results validate the barbels as gustatory receptor organs for these fishes.

쏠종개, Plotosus lineatus치 생식주기

  • 허성일;노섬;이영돈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2년도 추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289-290
    • /
    • 2002
  • 쏠종개, Piotosus lineatus는 메기목(Silunriformes), 쏠종개과(Plotosidae)에 속하는 열대성 어류로서 우리 나라 제주도 및 일본 중부 이남, 인도양 연안, 흥해 등지에 분포하고 있으며, 연안 얕은 암초 사이나 바위 밑의 해조류가 무성한 곳에 무리를 이루어 서식한다(Jeong, 1988). 전세계적으로 쏠종개과(Plotosidae) 어류는 9속 32종이 알려지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4쌍의 촉수(barbel)를 가지며 기름 지느러미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Nelson, 1994). (중략)

  • PDF

강릉시 주수천에 서식하는 쌀미꾸리 Lefua costata (Pisces: Namacheilidae)의 섭식생태 (Feeding Ecology of the Eight Barbel Loach, Lefua costata (Pisces: Namacheilidae) in the Jusucheon (Stream) Gangneung-si, Korea)

  • 권혁영;한미숙;고명훈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30-38
    • /
    • 2023
  • 쌀미꾸리 Lefua costata의 섭식생태를 밝히기 위해 2013년 1월부터 12월까지 강원도 강릉시 옥계면 남양리에서 조사를 실시하였다. 쌀미꾸리는 주로 수온 5℃ 이상 되는 3월부터 12월까지 섭식을 하였고, 섭식률은 4~5월, 9~10월에 정점을 보였다. 위 내용물을 상대중요성지수(IRI)로 분석한 결과, 주로 절지동물문(Arthropoda) 곤충강(Insecta)의 파리목(Diptera, 77.1%), 하루살이목(Ephemeroptera, 20.3%), 날도래목(Trichoptera, 1.7%), 잠자리목(Odonata, 0.4%)이었으며, 그 외 먹이생물은 환형동물문(Annelida)의 턱거머리목(Arhynchobdellida, 0.6%)과 실지렁이목(Tubificida, 0.1%), 선형동물문(Nematoda, 0.2%), 어류(Actinopterygii, 0.1%), 연체동물문(Mollusca)의 백합목(Veneroida) 등 다양하였다. 계절별로 보면, 봄에는 파리목(55.4%)과 하루살이목(41.6%)을, 여름에는 파리목(92.7%)과 환형동물문(Annelida, 6.8%)을, 가을에는 파리목(70.8%)과 하루살이목(9.0%), 날도래목(8.1%), 환형동물문(7.7%)을 주로 섭식하였다. 연령별로 보면 당년생 치어(0+)는 비교적 먹이 크기가 작은 파리목(주로 깔따구과(Chironomidae), 98.2%)만 거의 섭식한 반면, 성장하면서 파리목의 비율이 점점 감소하고 비교적 크기가 큰 하루살이목과 환형동물문의 비율이 증가하였다. 먹이 생물 크기는 당년생 치어(0+) 2.5±1.05 mm, 1년생(1+) 3.2±1.29 mm, 2년생(2+) 3.7±2.05 mm, 3년생 이상(≥3+) 6.8±4.97 mm로 성장하면서 급격히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Acheilognathus majusculus, a New Bitterling (Pisces, Cyprinidae) from Korea, with Revised Key to Species of the Genus Acheilognathus of Korea

  • 김익수;양현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2권1호
    • /
    • pp.27-31
    • /
    • 1998
  • A new bitterling, Acheilognathus majusculus is described from 20 specimens collected from the Somjin and Nakdong River, Korea. The new species is similar to Acheilognathus yamatsutae, but distinguished from the latter and congeners by the combination of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15-21 gill rakers, 37-40 vertebrae, longer barbel, greenish body coloration, nuptial color of males and slightly protrusive snout. A key to species of Acheilognathus from Korea is included.

  • PDF

New Record of Gadella jordani and Redescription of Physiculus japonicus (Pisces: Moridae) in Korea

  • Jang, Seo Ha;Kim, Jin-Koo;Park, Jeong-Ho;Song, Young Sun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2권1호
    • /
    • pp.28-37
    • /
    • 2016
  • We describe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wo morids, Gadella jordani and Physiculus japonicus, belonging to the order Gadiformes, based on Korean specimens collected from the Korean ocean. Two specimens of Gadella jordani was first collected from Jeju Island, Korea and the East Sea, Korea, in 2013-2014. This species is characterized by 8, 67-69 dorsal fin rays, 66-71 anal fin rays, 5+13 gill rakers, no barbel on the lower jaw, no vomerine teeth, and a ventral luminous organ closer to the anus than to the interventral line. We described it as the first record to the Korean fish fauna, and proposed the new Korean name "Min-su-yeom-dae-gu-sok" for the genus Gadella, and "Min-su-yeom-dae-gu" for the species G. jordani. Physiculus japonicus was first reported by Koh and Moon in the year 1999 based on a single specimen in Korea. However, no study has been attempted to describe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n Korea since then. In 2013-2014, three specimens of P. japonicus was collected from Jeju Island, Korea and the East Sea, Korea, and we redescribe P. japonicus in detail. This species is characterized by 9-10, 63-64 dorsal fin rays, 70-73 anal fin rays, 3+7-8 gill rakers, a short barbel on the lower jaw, and a ventral luminous organ equidistant between the interventral line and the anus.

낙동강 상류 서식 어류의 부위별 중금속 분포 특성 (Studies on Heavy Metal Characteristics by Part of Fish in Upper Region of Nakdong River)

  • 권희원;김영훈;김정진
    • 자원환경지질
    • /
    • 제55권1호
    • /
    • pp.19-27
    • /
    • 2022
  • 낙동강 상류지역의 안동댐, 임하댐, 영주댐 유역에 서식하는 물고기에 대하여 근육부, 아가미, 위, 간 부위로 분리하여 중금속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한 물고기는 갈겨니(dark chub), 강준치(skygager), 꺽지(coreoperca herzi), 끄리(Korean piscivorous chub), 누치(cornet fish), 떡붕어(Japan crucian carp), 메기(catfish), 배스(bass), 붕어(crucian carp), 쏘가리(mandarin fish), 잉어(carp), 참마자(long-nosed barbel), 치리(Korean sharpbelly) 등 13개 어종으로 ICP/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 평균 농도를 기준으로 근육부는 수은을 제외한 모든 중금속 항목에서 다른 부위에 비해 낮았다. 아가미 부위는 크롬, 망간, 니켈, 납, 위 부위는 아연, 간 부위는 철, 구리, 비소, 카드뮴이 다른 금속에 비해 높은 농도값을 나타내었다.

한국 고유종 눈동자개 Pseudobagrus koreanus 후각기관의 형태 및 조직학적 특성 연구 (Morphology and Histology of the Olfactory Organ in the Korean Endemic Species, Pseudobagrus koreanus (Cypriniformes, Cyprinidae))

  • 김현태;채동현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53-159
    • /
    • 2022
  • 한국 고유종 눈동자개 Pseudobagrus koreanus 후각기관과 서식처 환경, 생태적 습성의 연관성, 유연종들과의 특징 비교를 위해 실체현미경, 광학현미경, 주사전자현미경하에서 형태 및 조직학적 실험을 진행하였다. 후각기관의 외부 형태는 주둥이 끝에 위치한 튜브형의 전비공과 비수염(nasal barbel) 뒤쪽 기부에 위치한 틈새형(slit)의 후비공으로 구성된다. 내부의 비강에는 비선(raphe)을 중심으로 방사형 또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많은 수의 후판으로 구성된 로제트 구조를 나타낸다. 후판에는 후감각뉴런, 지지세포, 기저세포와 림프구, 형질세포로 구성된 감각상피와 층상상피세포, 점액세포, 림프구로 구성된 비감각상피가 확인되었다. 그중 1) 41~43 (n=20)의 후판, 2) 림프구, 형질세포, 3) 중성 다당류 점액을 보유한 점액세포는 다소 정체된 유속의 서식처 환경, 후각 의존적인 야생성의 생태적 습성, 다른 유연 메기목 어류들과 비교되는 분류학적 특징으로 사료된다.

Age and Growth of Barbel Steed Hemibarbus labeo in Goe-san Lake in Korea

  • Lee, Wan-Ok;Zhang, Ming-Ming;Oh, Chul-Woong;Baek, Jae-Min;Song, Kyung-Ju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5권4호
    • /
    • pp.353-359
    • /
    • 2012
  • Age and growth of Hemibarbus labeo caught from Goe-san Lake in South Korea from March to November, 2011, were studied. A total of 201 specimens was collected, ranging from 110 to 580 mm in total length (TL). Males and females made up 47.9% and 52.1% of the sample, respectively. Marginal increment analyses showed that vertebral increments, each composed of one opaque and one hyaline zone, were deposited annually. Opaque edges were prevalent from June to July. The relationship between TL and vertebral radius was linear, with equations of R = 0.008TL - 0.208 (male) and R = 0.009TL - 0.272 (female). Regression equations between TL and total weight (TW) were $TW=9{\times}10^{-6}TL^{2.987}$ (male), $TW=8{\times}10^{-6}TL^{3.014}$ (female), and $TW=9{\times}10^{-6}TL^{2.988}$ (combined sexes), according to the von Bertalanffy growth equation. Back-calculated TL was expressed using the von Bertalanffy equation as follows: $L_t=438.25(1-e^{-0.175(t+0.164)})$ for males, $L_t=483.36(1-e^{-0.147(t+0.115)})$ for females, and $L_t=464.86(1-e^{-0.162(t+0.176)})$ for the sexes combined. The growth performances were 4.526, 4.536, and 4.544, respectively.

섬진자가사리 Liobagrus somjienesis(Siluriformes, Adrianichthyidae) 후각기관의 기능 해부학적 구조 (Functional Anatomy of the Olfactory Organ in the Torrent Catfish, Liobagrus somjinensis(Siluriformes, Amblycipitidae))

  • 김현태;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65-68
    • /
    • 2018
  • 섬진자가사리 Liobagrus somjinensis 후각기관과 서식처 환경 및 생태적 습성의 연관성을 규명하기 위해 실체현미경과 디지털카메라를 이용하여 해부학적 특징을 묘사하였다. 후각기관은 주둥이 위에 좌우 한 쌍으로 존재하였으며, 전비공, 후비공, 비강으로 크게 구성되어 있었다. 전비공은 튜브형의 형태로 코수염과 윗입술 끝 사이에 위치하였다. 후비공은 표면과 평평한 유출공으로써 코수염의 기부 바로 아래에 위치해 있었다. 비강은 가로와 방사형으로 배열된 혀 모양의 22~24개의 판으로 구성된 로제트 구조를 보유하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섬진자가사리의 후각기관의 기능 해부학적 구조는 여울에서의 은신, 섭식, 야행성의 생활패턴에 연관된 높은 후각의존도를 반영하는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