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bamboo species

검색결과 106건 처리시간 0.03초

산지에 서식하는 뿔가위벌류의 분포와 채집 (Distribution and Collection of Osmia Bees in the Mountain Areas of Korea)

  • 이순원;최경희;이동혁;김동아;류하경;이영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63-267
    • /
    • 2002
  • 사과원에서 꿀벌 대신에 화분매개곤충으로 유망한 뿔가위벌류의 활용을 목적으로, 1996년부터 1998년까지 각각 전국 66, 52, 60개소 산지에 내경 6-8mm인 대나무대롱을 설치하여, 자생하고 있는 뿔가위벌류의 종별 분포와 채집량을 조사하였다. 머리뿔가위벌, 뿔가위벌, 붉은뿔가위벌, 외뿔가위벌, 꼬마민뿔가위벌의 5종이 채집되었으며, 각종별 점유율은 각기 39.9-51.7, 28.3-53.7, 5.5-19.1, 0.8-0.9, 0-0.1%였다. 매년 머리뿔가위벌과 뿔가위벌 2종이 전체 채집량의 80%내외였으며, 채집량이 많은 5개지역중 원주지역에서 머리뿔가위벌이 우점종이었고, 나머지 4개지역(안성, 괴산, 봉화, 구미)에서는 뿔가위벌이 우점종이었다. 암컷의 비율은 머리뿔가위벌 29-43, 뿔가위벌 10-12, 붉은뿔가위벌 22-43%로 종간에 차이가 있었다. 3종 뿔가위벌류는 채집지역의 해발을 200m 이하, 300-400m, 500m 이상으로 구분하였을 때, 해발이 높아짐에 따라서 채집수가 많았고, 3종 뿔가위벌류중 머리뿔가위벌의 점유율이 높은 경향이었다. 3년간 동일장소에서 연속 채집할 경우 머리뿔가위벌과 붉은뿔가위벌은 연도가 경과할수록 채집량이 점차로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뿔가위벌은 반대로 크게 감소하였다. 3종 뿔가위벌류가 대나무 대롱에 영소하는 시기는 3월 하순-4월 중순에 시작하여 5월 하순-6월 중순에 종료하였으며, 영소 최성기는 4월 하순-5월 중순이었다. 한편. 뿔가위벌류의 경쟁종인 구멍벌은 5월 하순-6월 중순에 시작하여 6월 하순-7월 중순에 가장 많이 영소하였고, 감탕벌은 4월 하순5월 중순에 시작하여 7월 하순8월 중순에 가장 많이 영소하였다.

한국산 꼬리가루깍지벌레속의 재정리 (노린재목: 가루깍지벌레과) (Notes on Antonina Mealybug of Korea (Hemiptera: Pseudococcidae))

  • 이용현;서수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71-73
    • /
    • 2011
  • 한국의 대나무류에 다리가 퇴화한 꼬리가루깍지벌레속의 Antonina nakaharai Williams and Miller 대나무꼬리가루깍지벌레(신칭)가 발생함을 확인하고, 한반도에 분포하는 꼬리가루깍지벌레속 3종 동정에 필요한 검색표를 함께 정리하였다.

Ecological traits and distribution patterns of Osmia spp. in different regions and altitudes in South Korea

  • Kyu-Won Kwak;Kathannan Sankar;Su Jin Lee;Young-Bo Lee;Kyeong Yong Lee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47권1호
    • /
    • pp.25-33
    • /
    • 2023
  • Solitary bees, such as Osmia cornifrons, O. pedicornis, O. satoi, and O. taurus (Hymenoptera: Megachilidae), have the potential for cost-effective and sustainable pollination, necessitating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ir ecological traits to implement effective fertilization strategies for various crop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nesting rate of Osmia spp. in different regions and altitudes, using various trap types, and found that the highest nesting rate occurred at altitudes of 300-399 m a.s.l. and showing a preference for bamboo-type traps, with the Andong region having the highest nesting rate overall, indicating the influence of altitude, habitat area, and trap type on the density of Osmia spp. nests. The distribution and diversity of the four Osmia spp. in different regions and altitudes revealed variations in their occurrence, with O. pedicornis having the broadest distribution rate, particularly at altitudes above 300 m a.s.l.. The present study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pecies in the cocoon masses of O. cornifrons, O. pedicornis, and O. taurus, with region and altitude influencing the masses of each species too.

쿠퍼 세포에서 Nrf2 활성화 매개 죽력의 염증 및 인플라마좀 억제 효능 (Anti-inflammation and Anti-inflammasome Effects of Bambusae Caulis in Liquamen mediated by Nrf2 Activation in Kupffer cells)

  • 양지혜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53-264
    • /
    • 2023
  • Objectives : Bambusae Caulis in Liquamen (BCL), a traditional herbal medicine, is a distilled product of condensation from the burning of fresh bamboo stems. We previously identified the anti-oxidant capacity of BCL in hepatocytes and suggested that BCL is a promising therapeutic candidate for treating oxidative stress-induced hepatocellular damage. Despite the importance of the role played by Kupffer cells in liver disease, the efficacy of BCL on Kupffer cells is unclear.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whether BCL could suppress LPS-induced inflammation and LPS+ATP-induced inflammasomes in Kupffer cells. Methods : We used ImKCs, a murine immortalized Kupffer cell line to examined whether BCL inhibited LPS-induced inflammation response and oxidave stress. And, we prepared a total of 18 L of BCL, purchased from Bamboo Forest Foods Co., Ltd. (648 Samdari, Damyang-eup, Damyang-gun, Jeollanam-do, Republic of Korea), was concentrated using a decompression concentrator. Result : The LPS-induced release of inflammatory cytokines was abolished by BCL treatment. Also, BCL treatment suppressed the LPS+ATP-induced expression of inflammasome proteins (NLRP3, IL-1, and IL-18), and inhib β ited the release of IL-1 . BCL decreased LPS-or LPS+ATP-induc β ed reactive oxygen species production. In addition, BCL increased nuclear translocation of Nrf2 and the expression of HO-1 in a time-dependent manner.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e efficacy of BCL with respect to its anti-inflammatory and anti-inflammasome effects mediated by Nrf2 in Kupffer cells.

식품 부패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는 천연 항균성물질의 검색 (Screening of Natural Antimicrobial Plant Extract on Food Spoilage Microorganisms)

  • 이병완;신동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00-204
    • /
    • 1991
  • 31종의 식물에서 필요 부위를 선정하여 75% 에탄올이나 물로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로서, 일반적으로 식품의 부패 혹은 변질에 관여한다고 알려진 Bacillus subtilis, Lactobacillus plantarum, Leuconostoc mesenteroides, Pseudomonas fluorescens, Bacillus cereus 등 5종의 세균과 Saccharomyces cerevisiae 등 1종의 효모를 대상으로 항균성을 시험하였다. 실험대상 6종의 모든 미생물에 대하여 항균성을 나타낸 것은 황백의 에탄올 추출물이었으며 산초, 참깨묵, 지치, 졸참나무는 효모를 제외한 5종에 대하여 댓잎, 오동나무, 리기다는 B. subtilis 및 S. cerevisiae 혹은 L. mesenteroides 및 S. cerevisiae 또는 L. mesenteroides 및 P. fluorescens, B. cereus를 각각 제외한 4종에 대하여 항균성을 나타냈고, 균종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었지만 황백이 가장 높은 항균성을 보였다. B subtilis, L. plantarum 및 L. mesenteroides에는 황백이, P. fluorescens에는 황백과 오배자가 disc diffusion method에서 가장 높은 항균성을 보였다. 에탄올 추출물과 물 추출물을 비교한 결과 거의 대부분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성이 높았으나, 균종에 따라서는 일부 물 추출물에서 항균성을 따로 보이거나 더 높은 경향이 있기도 하였다. 이상과 같이 천연물 중에도 상당한 항균성물질이 존재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 PDF

Species of Korean Furniture in the Late Choseon Dynasty (I)

  • Song, Ji-Ae;Park, Won-Kyu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486-498
    • /
    • 2010
  • 서울역사박물관 소장 후기 조선시대 (주로 19세기) 목가구 82점에 사용된 수종을 목재해부학적으로 식별한 결과, 총 22종의 수종이 나왔다. 침엽수는 소나무류, 잣나무류, 전나무속, 은행나무, 가문비나무속, 비자나무, 편백나무속, 외래산소나무로 8종이 분석되었으며, 활엽수는 느티나무, 피나무속, 오동나무속, 오리나무속, 참죽나무, 가래나무속, 감나무속, 배나무속, 자작나무속, 밤나무속, 사시나무속, 느릅나무속, 음나무 등 13종이, 그리고 외떡잎식물로 대나무 1종이 확인되었다. 수종의 점유율로 보면 소나무류(43%), 느티나무(9%), 오동나무속(7%), 피나무속(7%) 순이었다. 한 수종만 쓰인 가구가 37점(45%)으로 가장 많았으며 최대 6수종까지 한 가구를 제작하는데 사용되었다. 지역별 반닫이에 사용된 수종의 특징을 조사한 결과, 북부지방에서 제작된 반닫이는 피나무속과 소나무류가, 중남부지역에서 제작된 반닫이는 모두 공통적으로 소나무류와 느티나무가 사용되었다. 부재 용도에 따라 골재와 판재에는 소나무류, 느티나무, 참죽나무 등 대체로 단단하고 강도가 강한 목재가, 그리고 화장재로는 아름다운 무늬를 가지거나 독특한 재색을 가지거나, 가공하기 용이한 산공재 등 다양한 수종이 사용되었다. 서랍재의 재료는 가볍고, 변형이 적어야 하므로 비중이 낮고, 변형률이 적은 오동나무속 또는 피나무속이 사용되었다. 황해도 반닫이와 박천 반닫이에는 추운 지역에서 자라는 피나무속이 사용되어 산지가 북한임이 제시되었다.

  • PDF

맹종죽의 수간곡선식 및 수간재적표 추정 (Estimation of Stem Taper Equations and Stem Volume Table for Phyllostachys pubescens Mazel in South Korea)

  • 배은지;손영모;강진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1권4호
    • /
    • pp.622-629
    • /
    • 2022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나무 중 맹종죽에 대해 수간곡선식을 도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재적표를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맹종죽의 수간곡선식을 도출하기 위하여 Max & Burkhart, Kozak, Lee의 세 가지 수간곡선 모형을 이용하였다. 대나무는 목질 특성 상 내부가 비어 있기 때문에 수간 외직경과 내직경을 산출하고, 이를 연결하여 수간곡선화 하였다. 세가지 수간곡선 모형을 이용하여 수간 외직경 및 내직경을 추정한 결과, Kozak 모형이 적합도지수가 가장 높고, 오차 및 편의가 가장 적어 최적 수간곡선식으로 선정되었다. Kozak 식으로 맹종죽의 수간고별 직경을 추정하고 수간곡선을 도식화하였다. 수간곡선식에 대한 잔차도를 확인한 결과, 잔차가 모두 "0"을 중심으로 분포하여 식의 적합성이 입증할 수 있었다. 맹종죽의 재적 산출을 위해 내직경, 외직경에 대해 각각 연결한 수간곡선식을 회전시켜 회전입방체를 만들었으며, Smalian 구분구적법으로 재적을 계산하였다. 외직경으로 산출된 재적에서 내직경에 의해 산출된 재적을 공제하여 맹종죽의 재적을 도출하였다. 맹종죽의 재적은 일반용재인 일본잎갈나무 재적과 비교해 볼 때, 그 양이 20~30%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맹종죽의 현재 ha당 본수와 매년 발생되는 죽순의 양을 고려한다면 개체목의 재적은 다른수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더라도, ha당 재적은 유사하거나, 오히려 더 많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 최초로 맹종죽의 수간곡선식 및 수간재적표가 개발되었으며, 공익 및 산업 수요 확대가 예상되는 대나무에 대한 매각 거래, 탄소흡수량 산정 등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바이오매스로서의 억새에 대한 연구 동향 (Current status on Miscanthus for biomass)

  • 서상규;이정은;전서범;이병현;구본철;서세정;김선형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6권4호
    • /
    • pp.320-326
    • /
    • 2009
  •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f the atmosphere is projected to increase by almost 50% over the first 50 years of this century. The major cause of this increase is continued combustion of fossil fuels. As a result, the significant changes in climate that have already occurred will be amplified, in particular a global temperature increase. Renewable energy production has a central role to play in abating net $CO_2$ emissions to a level that will arrest the development of global warming. Especially, biomass crops are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as concerns grow about climate change and the need to replace carbon dioxideproducing fossil fuels with carbon-neutral renewable sources of energy. To succeed in this role, biomass crop has to grow rapidly and yield a reliable, regular harvest. A prime candidate is Miscanthus, or Asian elephant grass, a perennial species that produces over 3 metres of bamboo-like stems in a year. Miscanthus species are typically diploid or tetraploid. Hybrids between species with different ploidy levels result in the highly productive triploid hybrids, M. ${\times}$ giganteus. Here we will detail the Miscanthus characteristics desired of a biomass fuel crop.

대부도2호선 목부재의 수종과 위글매치를 이용한 방사성탄소연대 분석 (Species Identification and Radiocarbon Dating for the Wooden Board from Daebudo Shipwreck No.2 Using Wiggle Matching)

  • 남태광;윤용희;김응호
    • 보존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359-368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도에서 발굴된 대부도2호선의 목부재와 초본류의 수종분석과 방사성탄소연대분석을 통해 사용된 목재의 재질과 고선박이 난파된 시기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수종분석을 통해 선체부재로 사용된 목재는 모두 소나무속의 경송류로 식별되었으며, 기타 선체부재와 나무못은 경송류, 밤나무속, 참나무속 상수리나무아속 상수리나무류, 느티나무, 오리나무속의 사용을 확인하였다. 동반 출토된 목제빗과 참빗은 단풍나무속과 대나무아과로 확인되었고, 밧줄은 칡으로 만들어졌음이 밝혀졌다. 선수재와 받침목 그리고 씨앗류(감씨)의 방사성탄소연대측정과 위글매치 분석을 통해 대부도2호선은 AD 1151~1224년 사이에 난파된 것으로 밝혀졌다. 이 고선박은 12~13세기 초중반에 난파되었음을 시사한다. 이는 출토된 도자기의 편년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한국산의 죽류에 관한 연구(제육보) 산죽류의 번식에 관하여

  • 정현배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7권2호
    • /
    • pp.9-13
    • /
    • 1964
  • As to the up-lnd bamboos, I have reported, in my previous works, that Korea has two species in the genus of Pseudosasa, four in Pleioblastus, and other four in Sasa. In the present work, I dealt with Sasamorpha Purpurascens Nakai var. Borealis Nakai which proved the strongest vitality of all up-land bamboo yet found in various up-lands of Korea, and which might be most important from the utility view-point. This report is chiefly on its procreation. Sasamorpha Purpurascens Nakai var. Borealis Nakai can be found almost everywhere throughout the country, and its leaves and stems are much used in farms in various forms of manufacture. It is also welcomed as the feed for livestocks and as cover plants for aforestation, especially as the excellent means of errosion control on devastated hill sides. It is also widely accepted that it will provide, in the immediate future, abundant sources for the up-land bamboo pulp. As the first phase of my research plan on the subject, I undertook to determine the possible best way of its procreation, for which were included the experiments of inducing the growth of subterranean stems, the entire stand cutting, transplanting, reclaimed planting after burning etc. in order to observe the plant elongation, growing conditon, climatical effect etc. What has been fuond out so far given here as follows: 1) Of the various sections of the country, Mt. Odae area gives out the most excellent Sasamorpha Purpurascens Nakai var. Borealis Nakai(the leaf weight of which is 450 gr.) and Taekwanryong area comes the next class. This species can be transplanted anywhere in the South Korea. 2) The elongation of S.P. Nakai var. Borelais begins at around the middle of May and almost completely stops by the 20th of August. 3) The best studied transplanting season is supposed to be Feb. -April, for those transplanted during that period proved 100% of success. The next best transplanting season may be October. Rain fall does not have so much effect on transplanting as the growing season does. 4) In inducing the subterranean stems, the growing season can be ignored. The root expnsion is most animated during the months of April-June, the most active season for water absorption. Those stems induced during the winter proves more rapid growth. 5) The entire stand cutting shows greater growth than the reclaimed planting after burning and that, the growth is most vigorous during May-July, whereas during the hottest months of Aug-Sept. the growth shows only 5 cm. The new shoots grow slower both in the field of entire stand cutting and in the field of reclaimed planting after burning than in the otherwise field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