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and Japanese varieties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35초

솔잎혹파리 내충성(耐蟲性) 품종(品種) 육성(育成)에 관(關)한 연구(硏究) -2. 솔잎혹파리 내충성(耐蟲性) Pinus thunbergii의 침엽내(針葉內) monoterpene의 계절적변화(季節的變化) (Breeding of Varieties of Pines Resistant to Pine Gall Midge.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II) -Seasonal Variation of Needle Monoterpene Composition in Resistant Pinus thunbergii.-)

  • 김정석;홍성호;류장발;최철;김종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6-20
    • /
    • 1976
  • 솔잎혹파리 내충성(耐蟲性) Pinus thunbergii의 선발목(選拔木) 7~15개체(個體)와 피해목(被害木) 8~15개체(個體)에 대(對)하여 침엽내(針葉內) monoterpenes 조성(組成)을 1월(月)과 6월(月)에 각각(各各) 조사(調査)하고, 그리고 솔잎혹파리의 산란(産卵) 선택성(選擇性)에 대(對)하여 조사(調査)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1월중(月中)에 선발목(選拔木)이 증가(增加)하는 성분(成分)은 myrcene, limonene, ${\beta}$-phellandrene과 terpinolene이고, 감소(減少)하는 성분(成分)은 ${\alpha}$-pinene, camphene과 ${\beta}$-pinene이다. 그리고 6월(月)에 선발목(選拔木)이 증가(增加)하는 성분은 ${\alpha}$-pinene, camphene, limonene, ${\beta}$-phellandrene과 terpinolene이고, 감소(減少)하는 성분(成分)은 ${\beta}$-pinene과 myrcene이다. 2. 6월(月)에 선발목(選拔木)이 피해목(被害木)보다 limonene은 6.8%가 증가(增加)하고, ${\beta}$-pinene은 9.2%가 감소(減少)한다. 3. 선발목(選拔木)에도 피해목(被害木)에서와 같이 상당(相當)한 수(數)의 산란(産卵)을 하나 충영형성율(蟲癭形成率)은 대단(大端)히 저하(低下)한다. 이상(以上)을 요약(要約) 결론(結論)하면 본(本) 연구(硏究)로 Pinus thunbergii 침엽내(針葉內)의 monoterpene 중(中) limonene과 ${\beta}$-pinene의 양성분(兩成分)은 계절(季節)에 관계(關係)없이 내충성(耐蟲性) 검정(檢定)에 유효(有效)하다고 할 수 있다.

  • PDF

우리나라 고농서에서 본 담배 명칭과 전래 (Introduction and Designation of Tobacco in Korean Early Agriculture References)

  • 유익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98-204
    • /
    • 1994
  • 농업에 관한 우리나라 전문 고농서는 조선조에 많이 발간되어 중·근세 농업문화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여기서는 고농서, 국내외 문헌 및 자료를 바탕으로 담배의 명칭과 그의 전래를 요약한바 o남영초, 남초, 연초, 어, 연초, 서초, 왜초, 호초, 담파고등으로 기록되고 o국내문헌은 무오년(1618년)을 전후한 년대에 일본 전래설을 통설로 기술되어 있으나 o 일본이 과거 중국, 한국과의 문화교류와 내량, 평안시대에 많은 작물을 도입재배한 역사적 실증과 o한국에의 전래근거가 없다는 인접국(중국, 일본)의 이설 o우리나라 담배 산지 재래종 기원항설과 o김대현(1553-1612년)지방거주와 유정과의 서신사기, 구전등으로 보아 o임진왜란 중 (1592-98년) 명나라 유정장군의 병사에 의한 중국 전래설이 가장 신빙성이 있다고 하겠다.

  • PDF

참깨 항산화물질의 기능과 함량 및 이용 전망 (Perspectives of Utilization and Function of Antioxidants in Sesame)

  • 류수노;강철환;이정일;이승택;김관수;안병옥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spc1호
    • /
    • pp.94-109
    • /
    • 1996
  • Antioxidants of sesame have been reported to cure and prevent various diseases by means of diverse physiological activities, prevention of acidification in organisms, prevention of acidification and decay of lipids, cholesterol depression, preventive effects on chemical breast cancer, skin beauty and senescence inhibition, and so on. Recognizing their significance to health and disease prevention, researchers in Japan and America have given so much importance to study antioxidants in the last decade. In addition, they are actively pursuing studies on production, processing for food use and development of new varieties that have high antioxidant content. Recently, researchers in Korea have shown the same interest and have conducted similar studies, however, the importance of the following basic issues must be recognized to guide in future activites : First, improvement of sesame quality must be done to raise the contents of not only the fat and fatty acid but also sesamin, sesamolin and sesaminol glucoside. For the use of these components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gentic pattern and individual selections developed from minimum sample size and fast lipid analysis techniques. Second, sesaminol of sesame has a remarkable function in preventing acidification and so sesame can be utilized as a food that prevents or delays aging caused by automatic acidification of fat. Therefore, for maximum medicinal benefit from sesame oil there is a need to develop food materials having new medicinal functions. Third, the sesamin and sesamolin content of sesame germplasms collected in Korea showed lower ranges of $0.04\~0.68$ percent and $0.08\~0.68$ percent respectively, while Japanese germ-plasm showed 1.9 percent maximum content of seasmin. Thus, germplasm collection and analysis of worldwide genetic resources are urgently needed.

  • PDF

18세기 한일 침구학의 교류 - 조선통신사 의학문답기록을 중심으로 - (The Exchange of Acupuncture&Moxibustion in the 18th Century between Korea and Japan -Based of the Joseon TongShinSa (Emissary)'s Record of Catechism on Medicine-)

  • 오준호;차웅석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3권2호
    • /
    • pp.1-18
    • /
    • 2006
  • Objectives: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is the catechism on medicine between the doctors of Joseon and Japan in the 18th century through Choson Delegation(朝鮮通信使 ). Methods: The author intended to review and analyze the contents of catechism related to Acupuncture and Moxibustion and determined the characteristics of Joseon and Japan ?s Acupuncture and Moxibustion. Results: At the time, Japanese doctors had a grasp on most theories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and were very specialized clinically. They usually used filiform needles with various techniques, and already they had many different schools in practice. However, they wanted to know if their Acupuncture and Moxibustion skills were up to the international standard, especially to Joseon, whom they regarded as a country advanced in Acupuncture and Moxibustion. They wanted to com- pare and contrast their Acupuncture and Moxibustion with Joseon's. 18th century Joseon was high time for Acupuncture and Moxibustion. Various tools were used in surgery, and varieties of needles were used to stimulate acupuncture points. The development of tools evinces the precision of Joseon's Acupuncture and Moxibustion at the time. Also, comprehensive works such as DongUiBoGam(東醫寶鑑) and UiHaklpMun( 醫學入門) greatly influenced Acupuncture and Moxibustion. Because of this impact, it can be deduced that Acupuncture and Moxibustion emphasizing Jang(臟) and Bu(腑) organs and Internal Injury developed greatly. In addition, acupuncturist Holm(許任)'s fame continued from the 17th century into the 18th century, and his medical practice left a huge mark on not only Joseon but other eastern Asian countries as well. Conclusions: We found out the evidences that there were a lot of exchanges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between Korea and Japan based of the Joseon TongShinSa (Emissary)'s record of catechism on medicine in the 18th century.

  • PDF

다도해 무인도서 중 목도, 곡두도, 대항도, 불근도 관속식물의 분포 현황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on the Mokdo, Gokdudo, Daehangdo and Bulgeundo Desert Island, Dadohae)

  • 오현경;변무섭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8-37
    • /
    • 2007
  • 본 연구는 남해안 무인도서 가운데 목도, 곡두도, 대항도, 불근도의 관속식물과 식생 현황 및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을 조사함으로써, 현재 관리와 이용 실태에 따른 식물 변화를 예측하고 차후 무인도서의 식물 보전을 위한 기초 자료의 일환으로 수행하였다. 전체 관속식물은 80과 193속 234종 32변종 5품종 1교잡종으로 총 272종류(taxa)가 확인되었으며, 귀화식물과 귀화율은 12종류와 4.4%로 분석되었다. 또한,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IV등급에 4분류군이, III등급에는 10분류군이, II등급에는 5분류군이, I등급에는 35분류군의 총 54종류가확인되었으나 V등급에 해당되는 특정식물은 출현하지 않았다. 목도에서는 곰솔이 우점하고 있으며, 일본특산식물로 알려져 왔던 부추속(Allium)의 갯부추(Allium pseudojaponicum)가 30개체 이상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곡두도는 밀사초(Carex boottiana)가 큰 군락을 형성하고 있었으며, 대항도는 우리나라에서도 큰 면적 중 하나일 것으로 추측되는 후박 나무군락이 전 지역에서 분포하고 있었다. 또한, 불근도에서는 2003년도 국립공원관리공단에서 참식나무와 후박나무 등 수백개체를 식재하였으나 과거에 방목된 토끼로 인해 많은 개체가 고사한 상태로 방치되고 있다.

시비수준(施肥水準) 및 재배지역(栽培地域)이 쌀의 형태적(形態的) 특성(特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Influence of Fertilizer Levels and Cultivated Regions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Rice Grains)

  • 홍영표;김성렬;임정남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85-92
    • /
    • 1993
  • 벼 4 품종(品種)(금강(錦江)벼, 밀양(密陽) 23호(號), 추청벼, 칠성(七星)벼)을 무질소구(無窒素區), 질소적량구(窒素適量區), 다질소무가리구(多窒素無加里區) 등(等) 3 수준(水準)의 시비처리(施肥處理)로 수원(水原)(중서부(中西部) 평야지대(平野地帶)), 이천(利川)(중부(中部) 내륙지대(內陸地帶)) 및 계화도(界火島)(부안군(扶安郡), 차령남부(車領南部) 평야지대(平野地帶))에서 재배(栽培)하여 수확(收穫)한 벼를 조제(調劑)하여 얻은 정조(正租), 현미(玄米), 백미(白米)의 형태적(形態的) 특성(特性) 변화(變化)를 조사(調査)하였다. 질소시비증가(窒素施肥增加)는 정조(正租)의 입장(粒長) 증가(增加)와 백미(白米)의 폭(幅)/두께 비(比)를 감소(減少)시켰고 질소(窒素)의 과소(過少), 과다시용(過多施用)은 천립중(千粒重)을 감소(減少)시켰다. 계화도(界火島)에서 생산된 벼의 입폭(粒幅)과 입(粒)두께는 다른 지역(地域)에서 생산된 벼보다 적어서 장(長)/폭(幅) 비(比)나 장(長)/두께 비(比)가 컸다. 무질소(無窒素)와 다질소무가리(多窒素無加里) 처리(處理)는 천립중(千粒重)을 감소(減少)시켰다. 정조(正租)의 왕겨비율(比率)은 질소시비량(窒素施肥量) 증가(增加)에 따라서 감소(減少)한 반면(反面) 현미(玄米)의 쌀겨비율(比率)은 일정(一定)하였다. 이 결과(結果)는 쌀의 정상적(正常的)인 발육(發育)을 위해서 일정비율(一定比率)의 쌀겨층(層)이 필요(必要)함을 암시(暗示)하고 있다.

  • PDF

Salt tolerant rice cv Nona Bokra chromosome segments introgressed into cv Koshihikari improved its yield under salinity through retained grain filling

  • Mitsuya, Shiro;Murakami, Norifumi;Sato, Tadashi;Kano-Nakata, Mana;Yamauchi, Akira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238-238
    • /
    • 2017
  • Salt stress is one of the deteriorating abiotic stresses due to the climate change, which causes over-accumulation of $Na^+$ and $Cl^-$ ions in plants and inhibits the growth and yield of rice especially in coastal Southeastern Asia. The yield components of rice plant (panicle number, spikelet number per panicle, 1000-grain weight, % of ripened grains) that are majorly affected by salt stress vary with growth stages at which the plant is subjected to the stress. In addition, the salt sensitivity of each yield component differs among rice varieties even when the salt-affected growth stage was same, which indicates that the physiological mechanism to maintain each yield component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refore, we hypothesized that rice plant has different genes/QTLs that contribute to the maintenance of each yield component. Using a Japanese leading rice cultivar, Koshihikari, and salt-tolerant Nona bokra's chromosome segment substitution lines (CSSLs) with the genetic background of Koshihikari (44 lines in total) (Takai et al. 2007), we screened higher yielding CSSLs under salinity in comparison to Koshihikari and identified the yield components that were improved by the introgression of chromosome segment(s) of Nona bokra.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a salinized paddy field. One-month-old seedlings were transplanted into a paddy field without salinity. These were allowed to establish for one month, and then the field was salinized by introducing saline water to maintain the surface water at 0.4% salinity until harvest. The experiments were done twice in 2015 and 2016. Although all the CSSLs and Koshihikari decreased their yield under salinity, some CSSLs showed relatively higher yield compared with Koshihikari. In Koshihikari, all the yield components except panicle number were decreased by salinity and % of ripened grains was mostly reduced, followed by spikelet number per panicle and 1000-grain weight. When compared with Koshihikari, keeping a higher % of ripened grains under salinity attributed to the significantly greater yield in one CSSL. This indicated that the % of ripened grains is the most sensitive to salt stress among the yield components of Koshihikari and that the Nona bokra chromosome segments that maintained it contributed to increased yield under salt stress. In addition, growth analyses showed that maintaining relative growth rate in the late grain filling stage led to the increased yield under salt stress but not in earlier stages.

  • PDF

쌀의 식미 관련 이화학 성분의 품종 및 작기간 변이와 상관 관계 (Varietal and Culture-Seasonal Variation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ice Grain and Their Interrelationships)

  • 오용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72-84
    • /
    • 1993
  • 우리나라 주요 벼 장려품종들의 식미관련 이화학적 특성의 품종 및 작기간변이와 이들 특성간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1991년 작물시험장 벼 품종전시포에서 보통식 및 만직재배로 생산된 23품종 및 보통식 4개 품종과 일본에서 생산된 3개 품종에 대한 아밀로스함량 및 단백질함량을 위시하여 미식미계 검정치, 취반특성, 밥의 물성, 미분의 Viscogram 특성등을 검정한 결과를 분석 검토하였던 바 그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보통식에 비해 만직에서 아밀로스함량, 식미계의 맛치, 취반용출액 요-드 정색도 및 취반용출액 요-드 정색도 / 용출고형물량 비등은 유의하게 증가한 반면, 식미계의 점성치, Mg/KㆍN 치, 가열흡수률, 손실정접과 setback을 제외한 viscogram 특성치 등은 현저하게 감소하는 경향이였고 대부분의 특성에서 만식의 경우 보통식에 비해 품종간변이가 좁아지는 경향이었다. 2. 작기간 변이는 거의 무시할 정도로 작으면서 주로 품종간변이에 의해 좌우되었던 특성은 단백질함량, 밥 용적팽창률, 미분의 set back 치와 Rheolograh-Micro에 의해 측정된 모든 밥의 물리적 특성치였다. 특히 작기간변이가 컸던 특성은 아미노스함량, 식미계점성치, 가열흡수률, 취반용출액 요-드 정색도/용출고형물량 비 최고 및 최저 점도, breakdown치 등이었으며 품종$\times$작기간 교호작기용변이가 컸던 특성은 식미계의 맛치, 가열흡수률, 용출고형물량, 최종점도 및 setback치 등이었다. 3. 아밀로스함량은 조생종이 중생 내지 중만생종에 배해 낮은 편이었고 품종에 따라서 만식에 따른 함량변이정도가 달랐다. 취반용출액 요-드 정색도 / 용출고형물질 비는 일반적으로 조생종들이 작기에 따른 변화정도가 작았다. 4. 아미로스함량은 취반용출액 요-드 정색도 및 이와 용출고형물질간비와 식미계점성치는 Mg/KㆍN 치 및 맛치와 두 작기에서 모두 밀접한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식미계점성치는 보통식에서 취반특성들과는 부, 손실정접과는 유의한 정상관을 나타내었으나 만식에서는 이러한 경향을 찾아 볼수 없었다. 5. 어느 작기산이든간에 취반용출액의 요-드 정색도가 높은 품종일수록 용출고형물량도 많아지는데 취반액요-드 정색도와 손실정접, 최고비도 및 breakdown치간의 필요한 상관성은 보통식에서만 유의성이 인정 되었다. 또한 취반액요-드 정색도 / 용출고형물량 비는 보통직에서 최고비도, breakdown 및 breakdown / setback치와, 만식에서 손실정접 및 동적빙성율과 고도의 부의 상관을 보였다. viscogram특성 상호간에는 두 작기에서 모두 서로 밀접한 상관성을 보였다. 6. 식미와 관련성이 높다는 이화학적 특성을 중심으로 집약분석법에 의해 공시품종들을 두 개 군으로 대별해 볼수 있었는데 한ㆍ일 양국의 양식미품종들이 서로 다른 군에 속했다.

  • PDF

시장에 유통되는 식용식물의 분류 (Classification of the Edible Plants on the Market in Busan)

  • 문성기;정순해;최철만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764-774
    • /
    • 2003
  • 시장에 유통되고 있는 식용 식물은 8문 11강 46목 67과 156속 183종 45변종으로 모두 228종류였다. 총 228종류를 문별로 비교한 결과 가장 많은 분류군은 피자식물문으로 202종류(88.60%)였고 다음이 균문으로 9종류(3.95%), 갈조식물문 5종류(2.19%), 홍조식물문 4종류(1.75%), 양치식물문 3종류(1.32%), 나자식물문 2종류(0.88%), 녹조식물문 2종류(0.88%), 지의식물문이 1종류(0.44%)였다. 과의 분류군에 있어서 다수 종을 내포하는 것은 십자화과, 장미과, 콩과, 박과, 산형과, 국화과, 백합과, 화본과 등이며 속의 분류군에서는 Brassica(14종), Prunus(9종), Lactuca(9종), Allium(7종), Citrus(5종), Cucuimis(4종), Cichorium(4종) 등이다. 조사 식물중 참죽나무가 가죽나무로, 엔다이브는 치커리로, 새느타리버섯은 새송이버섯으로, 파드득나물은 참나물로 잘못 통용되고 있었고 귤과 밀감, 금감과 감귤, 바나나와 파초, 파프리카와 피망은 각각 다른 식물명으로 불리어지지만 동일종이었다. 식용식물의 계절별 출현 종류수가 많은 계절은 가을, 봄, 여름, 겨울 순이었고 시중에 유통되고있는 식용식물의 식용부위는 잎, 어린순, 열매, 종자 뿌리, 줄기, 잎자루 순으로 나타났다.

팽이 신품종 '백이' 육성 (Breeding of a new cultivar of Flammulina velutipes: 'Baeke')

  • 임지훈;장갑열;오연이;오민지;이슬기;;공원식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99-303
    • /
    • 2018
  • 팽이의 신품종을 개발하기 위하여 모균주 ASI 4216(한솔)과 4217(백중)으로부터 단포자를 분리하여 단핵균주를 얻고 이들의 교잡을 통해서 꺽쇠연결체가 확인된 교잡주총 129점을 선발하였다. 교잡주를 대상으로 3회에 걸쳐 재배시험 결과, 고온에서 배양이 가능하며 수량성이 우수한 계통 'Fv14a51'을 최종선발되었으며, 생산력검정 시험을 통해 2017년 농작물 직무육성 품종 심의회에서 '백이'로 명명되었다. 주요 특성은 균사생장이 $30^{\circ}C$의 고온에서도 균활력을 유지할 정도로 강한 온도적응성 품종이고 대조품종에 비해 갓이 두껍고 대가 얇는 형태를 띠는 것 외에는 갓색깔이 순백색이며, 갓모영은 반구형, 수량은 $257.4{\pm}13.5g$으로 대조품종과 비교해서 대체적으로 유사하였다. RAPD primer을 통해 유전적 다형성을 검정한 결과, 대조구인 '오키노메구미', 2016년에 육성된 '백승'과 신품종이 유전적으로 구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전반적으로 '백이'는 수량과 품질이 외국품종과 거의 유사하였으며, 버섯의 균일한 형태로 상업적 가치가 있었다. 신품종의 현장실증을 확대하여 국산품종이 국내에 확산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