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Wooden Construction

검색결과 177건 처리시간 0.026초

백제석탑(百濟石塔)과 신라석탑(新羅石塔)의 비교론적(比較論的) 고찰(考察) (A Comparativ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between Paekche and Silla Style Stone Pagodas)

  • 천득염;한승훈;김진숙
    • 건축역사연구
    • /
    • 제4권1호
    • /
    • pp.93-112
    • /
    • 1995
  • The wooden pagoda was first appeared in about late 4th century in Korea. And between the late 6th century and the eary 7th centry, the multistoried wooden pagoda was replaced with the stone pagodas, in order to improve their stability and durability. In Three-kingdom and Unificated-Silla period, there are two types of stone stupas in Korea. The one is Paekche(百濟)style, and the other is Silla(新羅) style stone pagoda. These two styles are basically different in each part like podium, roof stone, body stone, structure and the others. Two types of stupas are distributed in two regions which devided into the East(Silla territory) and West(Paekche territory) in the Korean peninsular. The origin of the Korean stone pagoda can be traced to the Paekche dynasty and Silla dynasty. The former were the result of the careful study of their skillful wooden pagodas, where the latter were actualy originated from copying their sundried brick pagodas with stone. Two important pagodas of the primitive stage are the stone pagoda of Miruksa(彌勒寺) temple in Iksan and Bunhwangsa(芬皇寺) temple in Kyungju. These two pagodas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in the style of their construction. Silla style have sharp straight lines and short distance between roof stone and eaves. They give us strong as well as intelletural feeling. Howerever, Paekche style has curved lines and dull angles of cutting area of stone, they give us soft feeling.

  • PDF

백제의 심초 및 사리봉안 (A Study on the Simcho of Wooden Pagodas in Baekjae)

  • 정자영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1권1호
    • /
    • pp.109-125
    • /
    • 2008
  • 최근 들어 삼국~통일신라시대 목탑지 발굴조사가 증가되고 목탑 조영과 관련된 자료들이 새롭게 확인되어 이 분야의 연구 진전을 가져오게 되었다. 즉, 지금까지 우리나라 목탑 연구는 평면형태, 축기부 축조기법, 사리장엄구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나 이러한 신자료의 확보를 통해 기단 구축과정 및 변천과정 더 나아가 목탑 복원 등의 연구가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중국과 일본 등지에서도 동일한 맥락을 보이는 탑지가 조사되어 한 중 일 고대 목탑 비교 연구도 가능하게 되었다. 이 글에서는 삼국시대 중 가장 많은 목탑이 조사 된 백제 목탑을 주요 대상유적으로 삼았으며, 목탑 가운데 심초와 사리기 봉안 장소에 대해 중점적으로 검토해 보았다. 그 결과 심초는 지하 ${\rightarrow}$ 반지하 ${\rightarrow}$ 지상으로 그 위치가 점차 변해가는 양상이 파악되었는데, 백제 목탑은 군수리사지, 능산리사지(A.D. 567), 왕흥사지(A.D. 577) 목탑 조영시 기인 6세기 중반까지 심초가 지하에 안치되다가 이후 반지하식, 지상식으로 구축된 것으로 판단되며, 제석사지(A.D. 639)나 황룡사지(A.D. 645) 목탑 조영시기인 7세기 전반기에 지상식으로 고착화 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사리기는 초창기에 심초 이외의 장소에 봉안되다가 점차 심초 내부인 사리공에 안치되는데, 사리공 안치 위치도 심초 남쪽 가장자리에 위치하던 것이 점차 중심부로 옮겨지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특히, 이 가운데 왕흥사지 축조 시기인 6세기 중반에 가서야 심초에 사리공이 결합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일본에서 확인된 비조사(飛鳥寺 A.D. 588) 심초 보다 약 11년 정도 앞서는 것이며 중국에서 조사된 영녕사(永寧寺 A.D. 516)나 조팽성 불사(趙彭城 佛寺 A.D. 535~561) 목탑 심초에서도 그 유례를 찾아 볼 수 없어 왕흥사지 심초가 이런 유형으로는 현재까지 가장 이른 것으로 볼 수 있다.

방염처리 방법에 따른 단청목재의 방염 및 내후특성 (Flame Retardant and Weather Proof Characteristic of Dan-Chung Treated Wooden by Flame Retardant Performance)

  • 박철우;홍상완;이종균;임남기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22-130
    • /
    • 2013
  • 최근 목조문화재를 화재로부터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방법 중 방호대상물인 목재 표면에 직접 적용하는 방염 처리가 있으며, 이는 화재를 사전에 차단하지 못했을 경우 재료에 대한 불꽃의 저항능력을 확보하여 연소를 지연시킴으로서 화재를 예방하고 또한 재실자의 피난시간을 확보하는 것으로서 생명 및 재산을 보호함으로써 소방기본법의 목적과 그 뜻을 같이 한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방염제를 목조문화재의 단청면에 분사하여 사용할 경우 일정시간이 지나면 단청의 퇴색, 백화현상, 수분흡수 등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문화재 손실 위험성 또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현행 목조문화재를 방염처리 할 경우 현장 시공 시 시간 경과 후에도 단청과 목재에 문제발생이 없어야 하며, 지속가능한 방염효과 기술의 확보가 선결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 최근 주로 사용되고 있는 방염제 종류에 따른 목재의 방염성능의 평가분석을 통하여 방염제를 단청표면에 분사하여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단청과 목재에 문제발생이 없으며, 방염효과가 지속가능한지에 대한 정밀분석으로 방염처리 품질 및 성능을 확인하여 목조문화재에 적합한 방염처리방법 선정에 대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갑사대웅보전(道岬寺大雄寶殿)의 조영(造營)에 관한 연구(硏究) -전통중층목조건축의 주칸설정과 상층체감기법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Main Sanctuary of Dogapsa Temple -Focused on Establishing Bay of columns and Setback Technique in Upper Stories of Traditional Architecture with Multi Roof-)

  • 신웅주;이봉수;박강철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45-54
    • /
    • 2011
  •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architectural features and changes of the main building of Dogapsa temple which is multi roofs wooden structure are as follows. The passage comparing 'Dogapsa' of <>, account of Lee Ha Gon's trip as the literature showing the appearance of Dogapsa temple in the early 18th century to Borimsa through verse of 'Dutacho' was noticeable. Dogapsa temple at Yeongam was distant over 100 ri from Borimsa temple at Jangheung and it was considered that there were many temples at Mt. Wolchul, Yeongam and there were also many temples to be comparable with it. But, Dogapsa temple was compared to Borimsa temple because verses 'many-storied building is high and immense' of 'Dogapsa' at <> and 'Dogapsa is lower than Borimsa at Jangheung' at 'Dutacho' of <> were interpreted as the existence of multi roofs Buddhist temple which had something in common with Dogapsa and Borimsa and was comparable to them. According to existing materials, it was assumed that the main building of Dogapsa was burnt through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the 52nd year of the sexagenary cycle (Eulmyooebyeon, 1555) and Jungyujaeran (1597), but record of major history of the main buildings of Dogapsa and Borimsa indicated that multi roofs wooden structure of the two temples were built at the same period. Since multi roofs wooden structure of main building of Borimsa was rebuilt in 1692, these buildings existed from the early 18th century to middle 18th century.

중국(中國) 원대(元代) 목조건축(木造建築)의 구조(構造)와 결구특성(結構特性)에 관한 연구(硏究) - 섬서성(陝西省) 한성(韓城)지역의 원대건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Structure Characteristics and Construction Systems of Wooden Buildings of the Yuan Dynasty - Focused on the buildings of the Yuan Dynasty in the Hancheng territory -)

  • 서동천;한동수
    • 건축역사연구
    • /
    • 제14권3호
    • /
    • pp.23-37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cient architectures of the Yuan Dynasty(元代). The result is expected to efficient for a basic data to research history of the Koryo(高麗) architectures.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architecture of the Yuan dynasty in Hancheng city, because the buildings of the Yuan Dynasty were remained in Hancheng city(韓城) of Shanxi province(陝西) in the largest numbers through all China territory. And the study was especially analyzed in the angle of the system of wooden structures among various architectural points. It was looked into, in large, views of form of whole structure and, in detail, joining method of detail par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es of the Yuan Dynasty in Hancheng city were summarized as follow a reduction of the unit size, a shifting of columns, a removal of columns and a simplicity of ornaments. These are different with architecture of other empire periods. Also, these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tradition at architectures. This study of the Yuan's architectures of Hancheng is expected to be the basis of the advanced study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Koryo(高麗) architectures and Yuan(元) architectures.

  • PDF

기능에서 상징으로: 평양역사 건설, 1907-1958 (From the Functional to the Monumental: The Construction of the Pyongyang Station, 1907-1958)

  • 박동민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4호
    • /
    • pp.115-126
    • /
    • 2019
  • Construction of the Pyongyang Railroad Station began in 1907 as an important foothold for the Japanese colon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further invasion of Manchuria. As Pyongyang gradually grew in size and political significance, the Pyongyang Station came to have two responsibilities: Fulfill its functional role and serve as a monument to the growing dignity of the city. This study argues that the Pyongyang Station, newly rebuilt in 1958, was the first building to solve the demands for both functional expansion and the pursuit of monumentality. Stylistically, the original single-story wooden building became a three-story classical masonry building. The stylistic change symbolizes the political shift by which the building was reconstructed. The simple wooden building built by the Japanese, representing Pyongyang's status as a colonial provincial town, was transformed into an imposing gateway for the capital city of a newly born socialist state. Socialist Realism, correctly described by its slogan "socialist in content and national in form," harmoniously blended classical architecture, socialist symbols, and Korean local motif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llustrates the historical changes and continuity of the Pyongyang Station from 1907, when it was first built, through the "liberated space" to the postwar reconstruction period of the 1950s.

중국 당(唐).송(宋) 목조건축의 하앙 결구기법 변천 연구 (The Study of the Techniques of the Xia-ang Structure in China during the Tang and Song Dynasty)

  • 장헌덕
    • 건축역사연구
    • /
    • 제20권6호
    • /
    • pp.115-129
    • /
    • 2011
  • The bracket sets which are supporting the weight of the roof, has to meet both requirements which are structural functions and act as an ornamental element. Therefore the bracket sets differ in many types from time and space and has done an important role in the history of architecture with many studies being presented. The first form of the bracket set has been found in the bronze table relics in zhong shan wang ling (中山王陵). Through the Eastern Han dynasty (A.D. 25-220) it became more specific in the shique (石闕) and huaxiangshi (畵像石) in the Han dynasty (206 B.C.-A.D. 220). Afterwards, as Buddhism was introduced to China, the bracket construction techniques shown in the Mogao Caves, Yungang Grottoes, and Longmen Grottoes has given much help for understanding the building techniques of wooden architecture. Especially the Xia-ang structure seen in the Mogao caves shows a vast development in wooden structure and a typical building would be the main hall of Fo Guang Shan monastery in Mt. Wutaishan from the Tang dynasty (A.D. 618-907). This accumulated techniques is inscribed in the 'Ying Zao Fa Shi (營造法式)' wooden structure designs which was published during the Northern Song dynasty (A.D. 960-1127) and many buildings were constructed following this technique after the publication. During this period, it is assumed that Baek-jae (B.C.18-A.D.660) in the Korean peninsula also used the Xia-ang technique, but there havn't been many studies on this field. In this thesis it is introducing the development of the building techniques and structural features of the Xia-ang wooden architecture during the Tang and Song dynasty.

순창 운림리 농소고분 출토 목관 칠 분석을 통한 제작방법 연구 (Lacquer Layers and Making Methods of the Wooden Coffin Excavated from the Nongso Tomb of Unrimri, Sunchang in Korea)

  • 이혜연
    • 보존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55-362
    • /
    • 2017
  • 순창 농소고분은 적성면 운림리 일대와 내월리 농소마을을 둘러 형성된 구릉지 능선에 위치하고 있다. 고분의 토광은 비교적 깊은 곳에 조성되어 도굴의 피해가 없었으며 전체적으로 다량의 숯으로 채워져 있어 목관이 비교적 좋은 상태로 출토되었다. 고분 구조 및 매장시설, 출토 유물, 방사선탄소연대 측정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농소 고분의 축조시기는 고려시대 후기부터 조선 초기까지로 추정하고 있다. 농소고분에서 출토된 목관은 목곽과 목관의 2중 구조로 목관 외면에 두껍게 옻칠을 하고 금색 문자와 흰색 문양으로 장식되었다. 안료 분석 결과 금색 문자는 금(Au), 흰색 문양은 은(Ag)이 주요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칠 막은 안료 층, 황갈색 층, 검은 층의 3개 층으로 관찰되었다. 검은 층은 그을음과 같은 검은 물질로 목재 바탕의 밑칠로 사용되었다. 황갈색 층은 옻칠로서 정제칠로 추정된다. 목관 칠막 분석을 종합하면 칠 제작방법은 금박을 이용하는 방법과 금분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추정된다. 안료 형태 및 내부 구조상으로는 금박이 유력하지만 표현된 글자의 형태를 보면 금분을 이용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향후 금박과 금분을 이용한 재현실험을 통하여 제작방법을 확인한다면 고분 축조 당시 칠기 제작기술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OSB 대체용 국내산 합판의 못 접합부 전단내력 성능 (Shear Strength of Nailed Connection of Domestic Plywood as a Substitute for OSB)

  • 서진석;황성욱;황권환;정기영;정하현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0권4호
    • /
    • pp.287-29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 목조건축에서 벽구성 재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수입 OSB(배향성 스트랜드보드)를 국산 합판으로 대체하기 위해 OSB와 국산 합판의 못 접합부 전단성능을 비교 검토하였다. 주부재(잣나무)와 측면부재(OSB 합판)의 섬유 방향성(평행 직각)에 따른 전단성능은 합판에서 현저하였다. 결과, OSB와 합판 모두 현행 국내 기준인 못 접합부 기준 허용전단내력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표면층에 MLH(열대산 활잡목)를 사용하고 7ply 구성한 합판(P-4 type)은 OSB보다 섬유방향에 관계없이 큰 전단성능을 나타냈다. 전반적으로 측면부재로서 합판을 사용할 경우 주부재에 대하여 섬유방향을 직교되도록 구성할 경우, 평행방향 구성보다 큰 전단성능을 발휘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오에스비에 대한 각종 부재의 못전단성능 (Nail Shear Performance of Structural Members with OSB)

  • 황권환;박문재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6권4호
    • /
    • pp.66-76
    • /
    • 2008
  • 최근 국내에서 급격히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낙엽송과 북미산 SPF(spruce-pine-fir) 규격재의 구조부재로서의 이용에 있어서 가장 간단하면서 많이 이용되는 파스너(fastener)인 못을 이용한 접합에 대해 그 전단성능을 검토하였다. 못접합은 특히 경골목구조(light frame construction)에서는 최적의 시공법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북미와 일본을 중심으로 못접합부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어 왔다. 현재 국내의 경골목구조와 기둥-보 공법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는 구조부재(축재와 면재)의 못을 이용한 못접합부에 대해 그 전단성능의 기초적인 검토를 행하였다. 못접합부는 면재를 개입한 상태에서 주부재와 측면부재의 방향성에 따라 구분하여 주부재의 방향, 측면부재의 방향, 못의 종류에 따라 전단시험을 행하여 각각의 방향에 따른 못접합부의 전단성능을 비교 검토하였다. SPF 스터드재에 있어서는 낙엽송 집성재나 낙엽송 소재에 비해 못의 종류, 주부재와 면재의 방향성에 따른 전단성능의 차이가 현저하게 나타났다. 또한, 항복내력 및 최대내력과 접합계수와의 관계는 부재간의 배치상태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