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Teeth

검색결과 6,129건 처리시간 0.04초

대상자 특성에 따른 비만유형과 치주질환의 관련성 (Relationships between Obesity Types and Periodontiti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Subjects)

  • 공영미;한경순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79-286
    • /
    • 2012
  • 대상자 특성에 따른 여러 가지 비만유형과 치주질환과의 관련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2010년 3월 2일부터 6월 30일까지 서울, 인천, 경기 지역에 거주하며 자원봉사센터에 봉사자로 등록된 20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수집한 429명의 자료를 chi-square test,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그리고 Statistics were analyzed linear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 특성에 따른 비만유형과 치주질환의 관련성은 WHR에 의한 비만 판정 군이 정상 군에 비해 칫솔질 횟수에서 일일 2회에서는 2.22배(95% CI: 1.17-4.28), 3회에서는 3.34배(95% CI: 1.53-7.27) 높게 나타났고, 스트레스 자각수준에서 0-3점에서는 2.47배(95% CI: 1.09-5.59), 4-6점에서는 3.99배(95% CI: 1.75-9.08) 높게 나타났으며, 수면시간에서는 8시간 이상 군에서 4.20배(95% CI: 2.11-8.34) 높게 나타났다. 2. 치주질환과 관련성을 나타낸 비만유형은 WHR로 복부비만 군은 정상 군에 비해 치주질환에 이환될 가능성이 2.56배(95% CI: 1.587-4.138) 높았으며, BMI와 PBF에서는 유의한 관련성이 확인되지 않았다. WHR은 비만진단 지표 중 치주질환에 가장 영향력 있는 지표로 비만으로 판정 받은 경우 치주질환을 함께 가지고 있을 위험이 높아지므로 이들에 대한 정기적인 치주관리의 필요성은 더욱 강조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대도시지역 일부 초등학생의 치과용 아말감 충전치아와 요중 수은농도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Dental Amalgam Fillings and Urinary Mercury Concentration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a Metropolitan Area)

  • 정윤숙;사공준;안서영;이영은;송근배;최연희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53-258
    • /
    • 2012
  • 치과용 아말감은 수은, 구리, 아연, 은과 같은 여러 가지 금속으로 이루어진 합금으로 구성되었다. 아말감은 내구성과 진료 시 사용의 편리성과 경제적인 이유로 치과영역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고 효과적인 수복물질로 이용되었다. 하지만 수복물질로서의 대중성과 긴 역사에도 불구하고 아말감에 포함된 수은의 노출로부터 가져올 수 있는 잠재적 부작용 또는 합병증에 대한 염려로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특히 어린이들의 경우 수은의 독성에 대한 위험성이 더 높기 때문에 우리는 어린이에게서 치과용 아말감과 요중 수은농도의 관련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도시 지역 내 두 개 초등학교 1~4학년 재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구강검진과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구강검진 당일 채취한 소변시료를 이용하여 요중 수은농도를 분석하였다. 결과는 구강 내 아말감 충전치아가 없는 아동과 비교 했을 때 79개 이상, 10개 이상 갖는 아동의 요중 수은농도가 높아지는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어린이의 구강 내 아말감 충전치면수와 요중 수은농도는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유구치 인접면 우식 병소 진단에 있어 QraypenTM과 시진 및 구내 치근단 방사선의 비교 (Comparison between QraypenTM Imaging and the Conventional Methods of Visual Inspection and Periapical Radiography for Proximal Caries Detection in Primary Molars: An In Vivo Study)

  • 안소연;박소영;심연수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349-354
    • /
    • 2016
  • 2015년 실시한 국민구강실태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만 12세 아동들의 우식경험영구치지수(DMFT index)는 1.9로 주요 OECD 국가들의 평균인 1.6에 거의 근접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접면 우식증의 진단에 있어 새로 개발된 $Qraypen^{TM}$의 효능을 기존의 방법인 시진 및 구내 치근단 방사선 사진과 비교 평가하고, 임상 적용 시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차후 $Qraypen^{TM}$에 필요한 개선안을 제시함과 아울러 치아우식증의 예방 및 초기 우식증 재광화 방법에 대한 기초 연구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학교 구강검진을 목적으로 내원한 학령기의 혼합치열을 가진 32명의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구강검진 2회, 구치부 치근단 방사선 필름 판독 2회 그리고 구치부 인접면 $Qraypen^{TM}$ 이미지 판독 2회를 실시하고 비교한 결과 $Qraypen^{TM}$ 영상은 변연융선이 파괴되지 않은 유구치의 인접면 우식증의 탐지에 효과적이었다. 또한 방사선 촬영 결과와 비교해 보니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인접면 우식증이 상아질까지 진행되어 병소가 성숙하여야 뚜렷한 붉은색 형광을 관찰할 수 있었기에 우식 병소의 진행 정도와 붉은색 형광 발생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향후 발치된 치아를 사용하여 조직학적 검사를 병행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 결과 $Qraypen^{TM}$은 유구치의 육안으로 보이지 않은 인접면 우식증을 탐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유용하고 간편한 보조장비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극동산 뱀장어(Anguilla japonica) 인공 자어와 실뱀장어의 두부 변화 및 안구의 조직학적 변화 (Development Changes in the External Structure of the Head and the Histological Structure of the Eye in Artificially Reared Japanese Eel, Anguilla japonica, Leptocephalus and Glass Eel)

  • 김대중;이남실;이배익;김신권;김경길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0호
    • /
    • pp.1288-1294
    • /
    • 2013
  • 뱀장어 자어의 형태변화에 관한 연구는 자어의 인공사육을 위해 알아야 할 중요한 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두부의 형태학적 관찰과 함께, 부화 이후 변태 직후까지의 단계별 안구의 조직학적인 변화를 관찰하였다. 이들 결과로 부화 후 100일과 변태를 기점으로 상악과 하악의 발달에 큰 차이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치아는 실뱀장어로 변태하면서 퇴화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안구 망막에서의 조직학적인 주요 변화는 부화 100일 이후의 OPL (outer plexiform layer)과 ONL (outer nuclear layer)의 형성과 변태 이후 간상세포층의 변화이며, 안구의 각막은 부화 10일째 자어에서 관찰되지 않았지만 이후 모든 단계에서 관찰되었다. 실뱀장어의 양산을 위해 초기 자어의 발달에 관한 더 많은 정보가 필요하며, 본 결과가 자어의 인공사육시스템 안정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네 가지 형태의 비우식성 치경부 병소의 3차원 유한요소법적 응력분석 (Effects of occlusal load on the stress distribution of four cavity configurations of noncarious cervical lesions: A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study)

  • 전상제;박정길;김현철;우성관;김광훈;손권;허복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1권5호
    • /
    • pp.359-370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네 가지 형태의 비우식성 치경부 병소에 과다한 교합하중을 가했을 때 각 와동에 나타나는 응력 분포를 3차원적으로 조사하고자 하였다. 임상적으로 많이 관찰되는 다양한 형태의 병소 중 4가지 형태의 서로 다른 병소를 대표적으로 선택하여 발치된 상악 제2소구치에 3차원 유한요소 모형을 제작하였다. 형성된 모형에 협측교두와 설측교두에 500 N의 하중을 가한 후 치경부병소 첨부와 수직 절단면의 주 응력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서로 다른 네 가지 형태의 와동에서 응력분포 양상은 비슷했지만 응력의 크기가 서로 달랐다. 2. 최대치 응력은 근심협측 우각부에서 나타났으며, 또한 병소의 첨부에 응력의 집중을 보였다. 3. 하중 A에서는 주된 응력이 압축 응력이었고 하중 B에서는 주된 응력이 인장 응력이었다. 4. 이러한 하중 하에서 수복치료를 하지 않으면 와동의 크기는 점차 커지고 치아구조에는 유해하게 작용하리라 생각된다.

수복물의 미세누출도와 변연적합도 측정에 사용되는 방법 사이의 상관 관계 평가 (ESTIMATION OF RELATION BETWEEN TECHNIQUES OF DYE PENETRATION FOR MICROLEA-KAGE AND SEM EVALUATION FOR MARGINAL ADAPTATION OF THE RESTORATION)

  • 황순주;신동훈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1권5호
    • /
    • pp.337-343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색소 침투법을 이용한 5급 복합레진 수복물의 미세누출도와 주사전자 현미경을 이용한 변연적합도를 측정하고 두 방법 사이의 상관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발거된 사람의 대구치 20개의 협면에 고속의 330번 버를 이용하여 5급 와동을 (백아법랑경계부를 중앙으로 가로 4 mm, 세로 3 mm, 깊이 1.5 mm) 형성하고, 평가시 참고점으로 사용하고자 1/2번 원형 버로 6개의 함몰부를 만들었다.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단일 단계의 올인원 접착제인 Xeno III로 치면을 처리한 다음, 미세혼합형 복합레진인 Esthet X로 단일 충전하였다. 시편을 식염수에 1일간 보관한 후 Sof-Lex 시스템으로 마무리 및 연마하였다. 이후 5도와 55도에서 1000회 열순환시킨 다음, 50%질산은 용액을 이용하여 침투시켰다. 실리콘 고무 인상재와 폴리우레탄 모형재로 수복물 주변의 레진 복제물을 제작하고 금도금한 다음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외부 및 내부 변연부의 변연적합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참고점을 기점으로 수복물을 3분한 다음, 미세누출도를 측정하였다. 내부 및 외부 변연적합도와 미세누출도 평가법 사이의 상관관계는 Spearman's rho test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미세누출도와 각각의 외부 및 내부 변연 적합도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p <0.01). 2.내부와 외부의 변연 적합도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치과치료용 약물이 치수신경의 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ENTAL THERAPEUTIC AGENTS ON THE RESPONSE OF THE PULP NERVE)

  • 권오양;윤수한;이종흔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5권1호
    • /
    • pp.1-15
    • /
    • 1990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ental therapeutic agent on conduction velocity and threshold current of intradental A- and C-fibers in the cat. Inferior alveolar nerve of cat anesthetized with sodium pentobarbital was exposed and dissected until response of functional single pulp nerve until could be evoked by monopolar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crown of the lower left canine teeth. 10ms rectangular pulse was used to determine the threshold current and 1ms rectangular pulse was used to determine conduction velocity. After application of calcium chloride (1, 2, 6M), calcium hydroxide mixed with saline, potassium chloride (0.2, 0.8, 1.6M), eugenol, zinc oxide eugenol to the cavity on the labial surface, conduction velocity and threshold current of single pulp nerve unit were compared with the control. In 10 cats, 24 $A{\delta}$- and 11 C- pulp nerve units were recorded. The mean conduction velocities of $A{\delta}$- and C-fibers were 7.5m/sec (SD=5.8) and 1.2m/sec (SD=0.4), respectively. The mean threshold current was $12.3{\mu}A$ (SD=5.3) for $A{\delta}$-fibers and $24.9{\mu}A$ (SD=8.1) for C-fibers. 1, 2, 6M calcium chloride caused decrease of conduction velocity and remarkable increase of threshold current in $A{\delta}$- and C-fibers. The effect of calcium hydroxide mixed with saline was similar but smaller than calcium chloride solution. 0.2M potassium chloride had insignificant effect. In 0.8M potassium chloride, the threshold current was increased although conduction velocity was not affected. In 1.6M potassium chloride, the threshold current was increased and the conduction velocity was slowed down. Spontaneous activity was recorded frequently for first 5 min but gradually reduced both in $A{\delta}$- and C-fibers. Eugenol had irreversible effect on pulp nerve in that initially there were not certain changes in the conduction velocity and threshold current of $A{\delta}$- and C-fibers, but the responses to electrical stimulation were abruptly disappeared after sustained application and were not recovered. Contrary to eugenol, zinc oxide eugenol did not caused significant increase of the threhold current and caused time dependent decrease of the conduction velocity, and did not show any irreversible change.

  • PDF

수종(數種) 표면처리제(表面處理劑)에 의(依)한 상아질(象牙質) 표면(表面)의 형태(形態) 변화(變化)에 관(關)한 연구(硏究) (MORPHOLOGICAL CHANGES OF DENTIN SURFACE TREATED WITH VARIOUS DENTIN SURFACE CONDITIONERS)

  • 조진호;최호영;민병순;박상진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3권2호
    • /
    • pp.323-334
    • /
    • 198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effect of dentin surface conditioners on the dentin surfaces. Freshly extracted human molars were used in this study. They were stored at $4^{\circ}C$ saline solution before experiment. The crown portions of the teeth were cut in various directions by means of wet diamond point to expose dentin which include transverse, vertical oblique, horizontal and oblique cut to the long axis (Fig. 1). Each tooth was then mounted with self curing acrylic resin in brass ring to expose the flattened dentin surfaces. Final finish was accomplished by grinding the dentin specimens with wet No. 180 and No. 600 grit silicon carbide abrasive paper until a 6.0mm in diameter on a dentin surface was exposed without pulp exposure. The specimens were divided into 9 groups according to the modes of dentin treatment procedure. The following surface treatments were applied on these preparation surfaces; Group 1: unetched (control group) after finish with No. 600 silicon carbide abrasive paper. Group 2: etched with 30% phosphoric acid for 60s Group 3: etched with 10-3 solution for 60s Group 4: Cleaned with 5% NaOCl for 30s Group 5: applied Dentin Adhesit Group 6: cleaned with 5% NaOCl followed by applying the Dentin Adhesit$^{(R)}$ Group 7: applied Photo Bond on the unetched dentin followed by applying the Photo Clearfil Bright Group 8: Etched with 30% phosphoric acid followed by applying Photo Bond and Photo Clearfil Bright Group 9: etched with 10-3 solution followed by applying Photo Bond and Photo Clearfil Bright All the specimens were stored in $37^{\circ}C$ under 50% relative humidity for 24 hours before observations. The specimens in 7, 8, and 9 group, omitting the group 1 to 6, were demineralized in 10% HCl for 10s in order to observe the resin tags. All the specimens in each group were then dried at room temperature. The dried specimens were ion coated with Eiko ion coater (Eiko-engineering Co.), and observed in Hitachi S-430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Hitachi, Co. Tokyo) at 15KV.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1. The smear layers were still remained in group 1,2,4,5, and 6. 2. There is no effect of 5% NaOCl and 30% phosphoric acid on the changes of dentin morphology 3. The dentin treated with 10-3 solution, indicating the tubules opened when the smear layer and the dental plug dissolved. 4. In case of applying the bonding agents the resin tag was not formed at the deep area of dentinal tubules, but in case of applying the Dentin Adhesit$^{(R)}$ that was not.

  • PDF

와연형태(窩緣形態)에 따른 와연누출(邊緣漏出)에 관(關)한 실험적(實驗的) 연구(硏究) (A STUDY ON THE MARGINAL LEAKAGE OF RESTORATIONS WITH DIFFERENT CAVOSURFACE MARGINS)

  • 신한주;최호영;민병순;박상진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2권1호
    • /
    • pp.119-129
    • /
    • 198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arginal leakage of glass ionomer cement with different cavosurface margins. 192 class V cavities were prepared on freshly extracted non-carious teeth and glass ionomer cement were insert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instructions. Cavity preparations for this investigation were performed in four groups. The experimental specimens were made by packing the glass ionomer cement (Fuji Ionomer Type II G-C Co. Japan) into the prepared 192 cavities of four groups with different modes: Group I. - The 48 cavities with $90^{\circ}$ butt-joint cavosurface preparation and restored with glass ionomer cement. Group II. - The 48 cavities with butt-joint preparation modified by $135^{\circ}$ beveling the cavosurface in the dentin and restored with glass ionomer cement. Group III. - The 48 cavities with butt-joint preparation modified by cutting a chamfer in the dentin and restored with glass ionomer cement. Group IV. - The same 48 cavities as group I, and overfilled with glass ionomer cement beyond the cavosurface angle. And four groups above described divided into three subgroups by means of conditioning the cavity walls: Control group. - Glass ionomer cement filled in the prepared 64 cavities after being cleaned with a stream of tap water. Phosphoric acid treatment group. - Glass ionomer cement filled in the prepared 64 cavities after being conditioned with a 50% phosphoric acid. Citric acid treatment group. - Glass ionomer cement filled in the prepared 64 cavities after being conditioned with a 50% citric acid. All 192 specimens were immersed in the 2.0% basic fuchsin solution and subjected to thermal stress at one-minute intervals ($4{\pm}2^{\circ}C$ to $60{\pm}2^{\circ}C$) for 70 minutes before exposure to the dye. The specimens were sectioned ecclesiologically through the center of the restorations for different periods of immersion time, 24 hours, 7 days, 14 days 30 days. The sections were examined under a stereoscopic microscop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degree of marginal leakage in group II and III was greater than that in group I and IV. 2. The degree of marginal leakage in phosphoric acid treatment group was similar with that in control group. 3. The degree of marginal leakage in citric acid treatment group was less than that in control group. 4. In all groups, the degree of marginal leakage in phosphoric acid treatment group was greater than that in citric acid treatment group. 5. There is no statistical difference of the degree of marginal leakage according to the immersion time in the dye solution.

  • PDF

에스트로겐 호르몬 결핍 백서에서의 상아-치수 복합체의 변화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Estrogen Deficiency on Rat Pulpodentinal Complex)

  • 김미리;양원경;백진;김종진;김원경;이영규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0권5호
    • /
    • pp.402-408
    • /
    • 2005
  • 난소 절제술을 시행한 백서에서 에스트로겐 호르몬의 결핍으로 인한 상아-치수 복합체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30 마리의 암놈 Sprague-Dawley rats을 두 군으로 나누어 1 군은 Sham-surgery를 시행하였고, 2 군은 양측 난소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백서는 12주 뒤에 모두 희생시켜, 하악 치아와 인접한 치주조직을 포함하여 절제하였고, $10\%$ 중성 포르말린 용액에 고정하였다. 두 군의 차이점을 비교하기 위하여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고, osteonectin을 이용한 면역 화학 염색법을 시행하였다. 조직 형태학적 차이점을 측정하기 위하여 영상 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분석 방법으로는 Paired t-test를 사용하였다 (p < 0.05). Osteonectin을 이용한 면역 화학 염색 결과, 두 군간에는 유의성 있는 차이점이 존재하였다. 난소 절제술을 시행한 백서군에서는 전상아질층의 두께가 현저히 증가하였고, Sham-surgery 군에서는 전상아질 층과 치수 조직에서 osteonectin이 좀 더 특이적으로 염색되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결론지어보면, 백서에서 인위적으로 난소 절제술을 시행하였을 때 광화되지 않은 전상아질층의 두께가 증가하고, 치수 조직과 전상아질층내의 osteonectin 함량이 감소되며, 결국 에스트로겐 결핍은 조상아 세포의 기전을 변화시킨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