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Red Pine Stand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3초

소나무림 숲가꾸기 종류가 소나무재선충병의 제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n Control of Pine Wilt Disease (Bursaphelenchus xylophilus) by Thinning Methods in Red Pine(Pinus densiflora) Forest)

  • 전권석;김철수;박남창;허태철;홍성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0권2호
    • /
    • pp.165-171
    • /
    • 2011
  • 소나무재선충병 방제법 중 임업적 방제법을 개발하기 위한 일환으로 위생간벌, 간벌, 어린소나무 가꾸기가 소나무재선충병의 제어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야외 그물망 케이지에 소나무재선충을 보유한 솔수염하늘소를 방사하였다. 대조구, 위생간벌, 간벌 처리구 모두에서 공시목의 50% 이상이 고사되었으며, 처리구 간에는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처리구 내 방치한 숲가꾸기 산물이 소나무재선충병을 확산시키는 촉매제로 작용하였다. 어린 소나무림 가꾸기의 경우 산물을 방치한 처리구가 공시목의 고사율이 90% 이상으로 가장 높았으며, 산물을 케이지 밖으로 들어낸 처리구와 숲가꾸기를 하지 않고 솔수염하늘소의 성충을 방사한 처리구에서는 10% 내외의 고사율을 나타내었다. 솔수염하늘소 우화 당년도인 4월에 위생간벌, 간벌을 실행한 장령목의 벌근에서는 솔수염하늘소의 유충이 출현하지 않았으나, 솔수염하늘소의 우화 당년도인 5월에 숲가꾸기 한 어린나무의 벌근에서는 유충이 출현하였다. 본 실험 결과, 장령 소나무림과 어린소나무림 내에 소나무재선충병이 만연하고 있는 임분의 경우 솔수염하늘소의 우화 당년도인 4월과 5월에 실행한 숲가꾸기는 소나무재선충병의 제어에 아무런 효과가 없었으며 방치한 숲가꾸기 산물은 오히려 소나무 재선충병을 확산시키는 촉매제로 작용하였다.

솔잎혹파리가 소나무생장(生長)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關)한 연구(硏究)(III) -직경생장저해(直徑生長沮害)- (Studies on the Effects of the Pine Needle Gall Midge,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on the Growth of the Red Pine, Pinus densiflora S. et Z.(III) -Radial Growth Impact-)

  • 박기남;현재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5권1호
    • /
    • pp.48-53
    • /
    • 1984
  • 과거(過去)에 솔잎혹파리 피해(被害)를 받은 바 있는 충청남도(忠淸南道) 서천군(舒川郡) 비인(庇仁)과 피해(被害)를 받지 않은 충청남도(忠淸南道) 홍성군(洪城郡) 장곡(長谷) 자생(自生)하고 있는 13년생내외(年生內外) 소나무의 연륜(年輪)을 Duff와 Nolan(1953)의 방법(方法)으로 비교(比較)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건전(健全)한 소나무연륜(年輪)의 사선계열(斜線系列)에서 하나의 생장(生長) Pattern이 발견(發見)된다. 그러나 수선계열(垂線系列)을 위시(爲始)한 각(各) 계열(系列)에서 나무가 성장(成長)함에 따라 연륜폭(年輪幅)이 점차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도 볼 수 있었다. 2) 솔잎혹파리로 인(因)한 연륜생장저해(年輪生長沮害)는 수간기부(樹幹基部)의 수평선계열(水平線系列)에서는 발견(發見)되지 않았으나 기타계열(其他系列)에서는 모두 쉽게 식별(識別)해낼 수 있었다. 3) 경미(輕微)한 피해(被害)를 받았을 때나 생장저해(生長沮害)가 발생(發生)하는 초년도(初年度)를 판단(判斷)하기 위하여는 사선계열(斜線系列)이 가장 유용(有用)할 것으로 고찰(考察)되었다.

  • PDF

소나무 임분밀도관리도 작성 및 실용성 검정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tand Density Management Diagram for Pinus densiflora Forests in Korea)

  • 박준형;이광수;유병오;박용배;정수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5권3호
    • /
    • pp.342-350
    • /
    • 2016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소나무림의 체계적인 경영계획 수립 및 관리목표 달성을 위해 지침이 될 수 있는 임분밀도관리도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임분밀도관리도를 구성하는 5개의 모형을 추정하기 위하여 분석에 이용된 총 조사 표본점 수는 1,886plot이었으며, 각 표준지는 소나무의 흉고단면적이 75%이상 점유하는 임분에서 추출되었다. 유의수준 5%에서 $X{^2}_{(0.05)}$ 적합도를 검정하였으며, 허용오차율은 20% 수준으로 나타났다. 모형의 표준편차는$34.59m^3{\cdot}ha^{-1}$이었으며, 허용오차율의 최소치는 16.59%, 변동계수는 22.11%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작된 소나무 임분밀도관리도는 밀도관리의 경로별 수확량과 솎아베기 과정을 예측할 수가 있어 산림경영에서 목적하는 생산재의 양과 형질에 따른 경영계획 수립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자연생유령 소나무림내 초본층의 종다양도와 생태적지위량에 대하여 (Species Diversity and Niche Breadth of the Herb Layer Communities in Young Open Natural Pinus densiflora Stands)

  • 오규칠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7권4호
    • /
    • pp.18-22
    • /
    • 1974
  • Counts of herb stems were made with each systematic grid sized 10cm by 1300cm within six apparently homogeneous herb layers under the open young Japanese red pine, Pinus densiflora, stands. The stands had often been subjected to strong human interferences such as burning, cutting, grazing, and denuding since human settlement until the conservation scheme practiced in these stands for last decade. In addition, amounts of loss of ignition and field capacity were determined to detect soil heterogeneity among and within the stands. The values of information measure of diversity(H), and Hurlbert's probability of interspecfic encounter(Δ), obtained here do not show any consistent correlation. The amount of interspecific competetion(Δ1), the ratio of interspecific to intraspecific competetion(Δ4), Levin's niche breadth(Sh), and species evenness(V), increase, while the amount of intraspecific competetion decrease, as the soil factors become favorable. One stand examined does not follow the above trends, which is more young and shows strong within site heterogeneity of the soil factors. The stand includes pioneer species which is not detectable without detailed observation. It is argued that in stable or favorable environment more intense interspecific competetion and less intraspecific competetion might occur, but this situation does not necessarily always bring smaller niche breadth. In this connection, the results support Hurlbert's contention that the two components of diversity should be analyzed separately.

  • PDF

강원도산(江原道産) 소나무천연림생태계(天然林生態系)의 Biomass 및 Net Primary Production에 관(關)한 연구(硏究) (Biomass and Net Primary Productivity of Pinus densiflora Natural Ecosystem in Kangwondo, Korea)

  • 이수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1권1호
    • /
    • pp.74-81
    • /
    • 1985
  • 강원도산(江原道産) 소나무천연림(天然林)의 생산성(生産性)을 파악(把握)하기 위하여 10본(本)의 표본목(標本木)을 벌도(伐倒)하고 각(各) 부위별(部位別) 및 총(總) biomass와 biomass 추정방정식(推定方程式) 모형으로는 $Wt=aD^bH^c$가 가장 적합(適合)하였다. 2) 임분(林分) biomass 추정량(推定量)은 지상부(地上部) 총량(總量)이 198.82 t/ha였으며 부위별(部位別)로는 수간목부(樹幹木部)가 136.82 t/ha, 생지부(生枝部)가 32.81 t/ha, 수피부(樹皮部)가 10.72 t/ha 엽량(葉量)이 9.07 t/ha 죽은가지가 7.30 t/ha 였다. 3) 순생산량(純生産量)은 지상부총량(地上部總量)이 15.87 t/ha/yr였으며 부위별(部位別)로는 수간목부(樹幹木部)가 7.04 t/ha/yr., 생지부(生枝部)가 4.91 t/ha/yr., 엽량(葉量)이 2.21 t/ha/yr., 소지(小枝)가 1.13 t/ha/yr., 수피(樹皮)가 0.52 t/ha/yr 였다. 4) Leaf efficiency는 1.876으로서 연간지상부(年間地上部) 총생산량(總生産量) 15.87 t/ha/yr와 비교적 잘 연관되어 있다.

  • PDF

자연림 군집형 분류에 의한 교란의 정도와 임분 발달 사이의 관련성 검토 (The Evaluation of Correlation between Disturbance Intensity and Stand Development by Natural Forest Community Type Classification)

  • 김지홍;황광모;김세미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9권3호
    • /
    • pp.219-225
    • /
    • 2013
  • The correlation between disturbance intensity and stand development was evaluated on the basis of natural forest community type classification in areas of Baekhaksan (more disturbed area) and Hwangaksan (less disturbed area). The vegetation data were collected by point-centered quarter sampling method, and they were subjected to cluster analysis for classifying community types and to analysis of species composition and species diversity for reviewing ecological characteristics. By the method of cluster analysis, natural forests of Baekhaksan were classified into Quercus forest community, Pinus densiflora community, Q. variabilis community, and Q. mongolica community. Those of Hwangaksan were divided into P. densiflora community, Q. mongolica community, Q. forest community, and Mixed mesophytic community. It is presumed that more developed and less disturbed forest area shows multiple species community pattern and more diversified structure than less developed and more disturbed forest area. In Korean peninsula, the abundance of red pine may play an important indicator to estimate the developmental pattern of the forest after artificial disturbance. The overall evaluation indicated that less disturbed Hwangaksan area had more developed stand pattern with mixed mesophytic community, more complicated species composition, and higher species diversity than Baekhaksan area.

Review on the succession process of Pinus densiflora forests in South Korea: progressive and disturbance-driven succession

  • Choung, Yeonsook;Lee, Jongsung;Cho, Soyeon;Noh, Jaesang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4권3호
    • /
    • pp.126-142
    • /
    • 2020
  • Background: Most of the Pinus densiflora forests, occupying the largest area, have been restored in South Korea since the 1970s. As young pioneer forests, the succession process is under way. Since the forests are distributed nationwide and are vulnerable to disturbances, the process may differ depending on the geography and/or site conditions. Therefore, we reviewed the direction, the seral communities, and the late-successional species of progressive and disturbance-driven succession nationwide in the cool-temperate zone through meta-analysis and empirical observations. Main text: As a result of a meta-analysis of the direct succession and vertical structure, we found that the P. densiflora forest is in a directionally progressive succession, changing to the broadleaved forest after forming a mixed forest with its overwhelming successor, Quercus species (particularly Q. mongolica and Q. serrata). In dry stands in a relative sense, the Quercus species was favored occupying over 80% of the abundance of the succeeding species. Therefore, in dry stands, it is presumed that Quercus-dominated stage would last for a long time due to the current dominance and long life span, and eventually, it settles as Quercus-broadleaved forest with a site change. Contrary to this, it is presumed that in mesic stands where Quercus species do not occur or have low abundance, the late-successional broadleaved species settle early to form a co-dominant forest with multiple species. Due to geographical limits, the species composition of the two late-successional forests is different. Disturbances such as insect pests and fire retrogressed vulnerable P. densiflora forest for a while. However, it was mostly restored to the Quercus forest and is expected to be incorporated in the pathway of the dry stand. Conclusions: We revealed the succession process of P. densiflora forests according to geography and moisture and found that stand moisture had a decisive effect on the species and abundance of the successor. Although the P. densiflora forest is undergoing structural changes, the forest is still young; so within a few decades, physiognomy is not likely to change. Therefore, the decrease in the forest area may be due to other causes such as disturbances and forest conversion rather than due to succession.

소나무 모수림 시업지의 임분구조 및 치수생육특성 (Stand Structure and Sapling Growth Characteristics of Korean Red Pine Stands Regenerated by the Seed Tree Method)

  • 이대성;최정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4호
    • /
    • pp.678-688
    • /
    • 2021
  • 본 연구는 소나무 모수작업에 따른 천연갱신 조성방안 및 산림시업지침을 마련할 수 있도록 2001년 실시된 소나무 천연하종갱신 시업지를 대상으로 작업 후 18년이 경과한 시기에 표준지조사를 실시하고 임분현황 및 치수생육상태를 분석하여 생장특성 및 임분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는 강원도 춘천시 동산면 원창리 내 강원대학교 학술림에 위치하고 있으며, 설치된 모수시험림에서 2018년 11월 조사된 흉고직경, 수고, 수관급, 수간형질, 수령, 수고생장량 등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 시 흉고단면적, 재적, 형상비와 더불어 임분상대밀도, 임목축적도 등의 추가인자를 산출하여 시업지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잔존모수는 58본/ha으로 임목축적도 17.7%이었으며, 치수는 2,330본/ha으로 임목축적도 79.0%로 진단되었다. 치수의 수령은 2001~2007년에 발아분포를 보이고 있었는데 대부분은 15~16년생에 속하였다. 치수 생육상태는 흉고직경 10 cm, 수고 8 m로 파악되었다. 수관급이 우세할수록 흉고직경과 수고가 더 크게 나타났으며, 분산분석 및 Duncan 다중비교검정에서도 수관급별 차이는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하였다(p<0.0001). 형상비는 80~90% 범위에 많이 분포하였으며, 95%이상 대부분 치수의 형질은 수간이 곧고 분지가 없으며, 초두부가 부러지지 않고 병해충의 피해가 없는 양질의 형태로 파악되었다. 치수의 평균 연년수고생장량은 1년생 21.9 cm, 5년생 43.3 cm, 10년생 54.3 cm, 15년생 64.3 cm이었으며, 전체적으로 수령증가에 따라 생장량이 우상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분산분석 결과, 수관급별 연년수고생장량에서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며, 회귀분석의 파라미터 추정치는 수령이 증가하거나 수관급이 우세할수록 연년수고생장량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도시(都市) 내(內) 고립(孤立) 림지(林地)의 소나무림(林)에 대(對)한 생태학적(生態學的) 진단(診斷) (Ecological Diagnosis on Korean Red Pine (Pinus densiflora Seibold & Zucc) Stands in Isolated Urban Forest)

  • 조현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4호
    • /
    • pp.419-424
    • /
    • 2007
  • 도시림은 도시생태계의 생물종다양성 유지와 증진에 많은 기회를 제공한다. 본 연구는 군락 및 경관생태학적 방법으로 서울, 인천, 대구, 울산, 그리고 청주 등 5개 도시역의 고립 임지 내 소나무림의 현존 상태를 진단하여 효율적인 보전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5개 조사지역은 각각 나름대로의 지역적 특성을 나타내고 있었는데, 소나무림의 임분 동태에서 보면 모든 지역에서 소나무 유식물의 발생이 오래전 단절된 상태로 나타났다. 종다양성 지수에 있어서는 청주가 평균 1.8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대구는 1.35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외래종 비율은 대구가 15.8%로 가장 높은 반면, 청주가 4.9%로 가장 낮게 나타나 종다양성과는 상반된 경향을 보였다. 식생 경관분석 결과, 소나무 패치의 복잡성 정도 즉 프랙탈 지수에 있어서는 대도시보다 중소도시에서 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성은 없었다. 소나무 패치의 복잡성은 종다양성 및 종풍부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외래종 비율과는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보면, 도시 내 고립 임지의 소나무림을 재생하기 위해서는 군락과 경관생태학적 정보에 의거한 생태학적 관리와 더불어 신중한 인공갱신 전략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적송림(赤松林)에 있어서의 성장인자간(成長因子間)의 상관(相關) (Relation between crown-length, tree-height, diameter Clear-bale length and the longest branch length in a Pinus densiflora stand)

  • 임경빈;박명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7-32
    • /
    • 1966
  • Taking an opportunity of the application of clearcutting method, 140 red pine (Pinus densiflora Sieb. et Zucc.) trees grown at Chon-nam province, the southern part of South Korea, were fellen and the tree height, clear-bole length, D.B.H. diameter at base(0.2m above from the ground line) and the length of the longest branch were measured. The correlation between factors mentioned were analys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correlation between crown length and tree height (r=0.821) was sinificant. 2.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iameter at base and D.B.H. was highly significant (r=0.961). D.B.H. can be calculated from multiplying the diameter at base by 0.88. 3. A weak relation between D.B.H and tree height was abserved. 4.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ree height and clear-bole-length was calculated, but it was not sharp between D.B.H. and the length of the longest branch. 5. The height, basal area, D.B.H. and volume increment by tree class calculated from the data of the stem analysis are presented (Tab. 3~10).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