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1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9초

Changes in the prevalence of anemia in Korean adolescents, 1998-2018

  • An, Jun Young;Hong, Yoo Rha;Kong, Seom Gim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4권2호
    • /
    • pp.86-92
    • /
    • 2021
  • Background: Anemia is an important health problem affecting approximately 25% of the global population. Although its prevalence is decreasing worldwide, few studies have examined the prevalence of anemia in Korean adolescents.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prevalence of anemia in Korean adolescents over the past 21 years using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Methods: We investigated the prevalence of anemia in adolescents aged 10-18 years for the period 1998-2018 according to sex, age, residential area, and household income. The effects of menarche age and menstruation were examined in female adolescents for the period 2001-2018. Results: Among the total 11,782 participants, the weighted prevalence of anemia was 4.0%. The prevalence of anemia in male participants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3.0% to 0.5%, P<0.001), whereas that in female participants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over time (from 7.9% to 8.5%, P=0.054). The average age at menarche was 12.4±0.0 years; the prevalence of anemia in females increased from age 13 years onward. Multivariate analysis revealed that anemia was more common in female than male participants (odds ratio [OR], 9.88; 95% confidence interval [CI], 7.19-13.57; P<0.001). In female adolescents, the prevalence of anemia increased with age (OR, 1.26; 95% CI, 1.15-1.38, P<0.001) and was 3.6 times higher after than before menarche (OR, 3.65; 95% CI, 2.21-6.05, P<0.001). Conclusion: Over the 21-year study period, the prevalence of anemia decreased among male adolescents but did not change in female adolescents. In female adolescents, age and menarche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risk factors that require continued attention.

한국국민건강영양조사 병합자료(1998년, 2001년, 2005년)를 이용한 소아청소년에서의 대사증후군 진단 요인의 기초 분석 (Preliminary analysis of metabolic syndrome components in Korean adolescents by using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pooling data (1998, 2001, and 2005))

  • 허경;박미정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12호
    • /
    • pp.1300-1309
    • /
    • 2008
  • 목 적: 본 연구는 국내 소아청소년의 대사증후군의 기준치 설정의 참고자료가 되고자 BMI, 혈압, 허리둘레, 중성지방, 중성지방, HDL-콜레스테롤, 공복혈당의 연령별, 성별 백분위수 분포를 분석하였다. 방 법: 1998년, 2001년 및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조사된 10-19세 연령 총 4,164명(남아 2,139명, 여아 2,02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신장, 체중, 허리둘레를 측정하였고 BMI, 혈압, 지질 농도와 혈당의 분포를 분석하였다. 결 과: BMI 는 여아 17세 90 백분위수에서, 남아 17세의 85 백분위수에서 성인 비만 위험군으로 정의하는 25 이상으로 측정되고 있었다. 허리둘레는 17세 이상 90 백분위수 남아 여아 모두에서 아시아 성인 복부비만의 기준치 이상이 측정되었다. 수축기 혈압은 남아 15세 이상 90 백분위수 이상, 13세 이상 95 백분위수 이상에서 성인 대사증후군의 진단 기준인 수축기 혈압 130 mmHg 이상이 측정되었고 이완기 혈압은 남아 17세 이상의 90 백분위수 이상, 15세 이상 95 백분위수 이상에서 80 mmHg 이상이었다. 혈장 중성지방은 NCEP-ATP III의 기준인 110 mg/dL 이상은 남아 여아 모두 75 백분위수에 해당하였고 IDF의 기준인 150 mg/dL 이상은 남아 여아 모두 90 백분위수에 해당하였다. HDL-콜레스테롤의 대사증후군 진단 기준인 40 mg/dL 이하는 남아에서 25 백분위수 이하가 여아에서 10 백분위수 이하가 해당되었다. 공복 혈당은 NCEP-ATP III 기준인 110 mg/dL 이상은 남아 여아에서 95 백분위수에 해당하였고 IDF 기준인 100 mg/dL 는 남아 여아 모두 90 백분위수에 해당하였다. 결 론: 한국 청소년 후기 남아에서 혈압, 허리둘레, 중성지방의 90 백분위수와 여아에서 허리둘레, 중성지방의 90 백분위 수치가 한국 성인 대사증후군의 기준치에 근접하여 매우 높았다.

우리나라 청소년의 일상식이섭취량 평가를 위한 반정량적 식품섭취빈도조사지의 개발 (Development of a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Assessing the Usual Dietary Intake of Korean Adolescents)

  • 이지은;김정현;정인경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21-134
    • /
    • 2010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the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SQFFQ) for assessing the usual dietary intake of Korean adolescents. For that, we used 24 hour recall data from the 2005 NHANES(the Third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cumulative percent contribution and cumulative multiple regression coefficients of 17 nutrients(energy, protein, fat, carbohydrate, fiber, calcium, phosphorus, iron, sodium, potassium, vitamin A, retinol, ${\beta}$-carotene, thiamin, riboflavin, niacin, vitamin C) of each food were computed. Among 687 food items, 265 food items were selected and grouped depending on similarities in ingredients, nutrient profiles, and/or culinary usage and re-added food items which were excluded for seasonal effect. Finally, total 19 food groups, 87 food items, were included in SQFFQ. Food intake frequency was quantified using nine categories. The portion size was classified depending on the average size of each selected food item. Each portion size was then categorized as one of three amounts: small (0.5 times), medium (1 times), and large (1.5 times). The SQFFQ covered 91.9% of the intake of 17 nutrients in 2005 NHANES and 86.6% in 2001 NHANES. Therefore, by testing the validity of developed SQFFQ using nutrient intakes, this list was valid to evaluate the usual daily intake in Korean adolescents.

기류 폐쇄(Airflow Limitation)의 유무와 호흡기 증상 및 검사실 성적에 관한 연구: 국가 단위 실태 조사 (Symptom Questionnaire and Laboratory Findings in Subjects with Airflow Limitation: a Nation-wide Survey)

  • 황용일;김영철;이재호;강민종;김동규;김수옥;장태원;이민기;안영수;유지홍;정기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3권6호
    • /
    • pp.480-485
    • /
    • 2007
  • 연구배경: 만성폐쇄성폐질환은 여러 중요한 사망 원인 중 전세계적으로 유일하게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는 질환이다 만성폐쇄성폐질환은 폐 이외의 다른 장기에도 영향을 끼치는 전신 질환으로 이해되고 있다. 본 연구는 폐활량 검사에서 기류 폐쇄 유무에 따른 호흡기 증상 빈도와 검사실 성적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1년 국민건강영양조사와 같이 시행된 국가 단위 만성폐쇄성폐질환 유병률 조사에 참여한 대상으로 연구가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폐활량 검사를 실시하여 GOLD 진단 기준으로 기류 폐쇄가 있는 대상과 없는 대상으로 구분하여 총 콜레스테롤, 혈액요소질소, 크레아티닌, 혈색소, 적혈구용적율, 공복 혈당, 고밀도 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의 평균값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 보았고 설문 조사를 통한 호흡기 증상의 빈도를 확인하였다. 결 과: 총 2,217명이 연구대상에 포함되었다. 이 중 GOLD 진단 기준에 따라 기류 폐쇄가 있는 대상이 288명, 기류 폐쇄가 없는 대상이 1,929명이었다. 호흡곤란을 느낀 적이 있다고 대답하였으나 기류 폐쇄의 유무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기류 폐쇄가 있는 연구 대상들은 기류 폐쇄가 없는 대상들보다 객담, 기침, 천명음 등의 증상을 더 많이 호소하였다. 폐기능이 나쁠수록 호흡기 증상을 호소하는 연구 대상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많았다. 혈색소, 적혈구용적률의 평균값은 기류 폐쇄가 있는 군에서 더 높게 측정 되었으며 고밀도 콜레스테롤의 평균값은 기류 폐쇄가 있는 군이 통계적으로 낮게 측정 되었다.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혈액요소질소, 크레아티닌, 공복 혈당의 평균값은 기류 폐쇄 유무에 상관 없이 양군간에 차이는 없었다. 결 론: 기류 폐쇄가 없는 연구 대상에 비해 기침, 객담, 천명음과 같은 호흡기 증상의 경험 빈도가 많았고 혈액 검사에서 혈색소, 적혈구용적률의 평균값은 컸으며 고밀도 콜레스테롤의 평균값은 낮았다. 운동시 호흡곤란의 빈도,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공복 혈당, 총 콜레스테롤, 혈액요소질소, 크레아티닌의 평균값은 기류 폐쇄의 유무와 상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