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Medical Practice

검색결과 2,507건 처리시간 0.032초

탈접착 후처치시 핸드피스(handpiece) 속도가 치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ison study of the effects of handpiece speed on teeth in debonding procedure)

  • 박수병;김구호;하만희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83-91
    • /
    • 2004
  • 본 연구는 탈접착 후처치시 사용된 핸드피스(handpiece)속도에 따른 처치 효율성과 환자 불편감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발거된 소구치(50개)에 브라켓을 접착하고 제거한 후 tungsten carbide bur를 장착한 저속 핸드피스와 ultra-fine diamond finishing bur를 장착한 고속 핸드피스로 각각 25개씩 탈접착 후처치를 시행했으며, 이때 각 실험군내 치아의 진동정도와 치수강내 온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후 각 실험군(저속, 고속 핸드피스군)에서 임으로 10개씩의 치아를 선택하여 주사전자현미경으로 법랑질 표면에 대한 평가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저속 핸드피스를 사용한 레진 제거시 다양한 진폭의 치아 진동이 고속 핸드피스를 이용한 경우보다 많이 나타났다. 2. 고속 핸드피스를 이용한 경우의 치수강내 온도변화가 저속 핸드피스를 사용한 경우보다 유의성 있게 높았으며, 레진 제거 시간 역시 두 배정도 길게 걸렸다. 3. 레진 제거 후 법랑질 표면에 대한 주사전자현미경상은 고속 핸드피스를 사용한 경우에서 절흔들(notches)과 잔여레진들이 저속 핸드피스를 사용한 경우보다 많은 것을 보여주었다.

다양한 교정용 미니 스크류의 인공 피질골 두께에 따른 삽입 토오크와 Pull-out 강도 비교 (Evaluation of Insertion of torque and Pull-out strength of mini-screws according to different thickness of artificial cortical bone)

  • 송영윤;차정열;황충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7권1호통권120호
    • /
    • pp.5-15
    • /
    • 2007
  • 본 연구는 스크류의 역학적인 특성을 알아보고자 세 종류의 self-drilling형의 교정용 미니 스크류 (Type A; 순수한 원통형, Type B; 내경이 증가하는 구간이 있는 부분적인 원통형, Type C; 원통형과 원추형이 함께 있는 복합형)를 피질골의 두께를 다르게 설정한 인공골 시편에 삽입하였다. 일정한 회전 속도와 수직력을 부여할 수 있는 구동식 토오크 시험기(Biomaterials Korea, Seoul, Korea)를 이용하여 삽입 토오크를 측정하고 만능시험기(Instron 3366, Instron, Norwood, MA, USA)를 이용하여 Pull-out 강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피질골 두께의 증가에 따른 최대 삽입 토오크(maximum insertion torque) 값은 Type A는 차이가 없는 반면(p > 0.05), Type B와 Type C에서는 유의한 증가가 관찰되었다 (p < 0.05). 모든 피질골 두께에서 Type C > Type A > Type B의 순으로 최대 삽입 토오크 값이 크게 나타났다 (p < 0.05). Pull-out 강도는 모든 경우에 Type A가 Type B와 Type C보다 낮게 측정되었다 (p < 0.05). Type별로 피질골 두께와 최대 삽입 토오크, Pull-out 강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p < 0.05). 이상의 결과는 미니 스크류 식립을 위한 디자인 선택 시 식립부위의 피질골 두께를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Self-Efficacy as a Predictor of Self-Care in Persons with Diabetes Mellitus: Meta-Analysis

  • Lee, Hyang-Yeon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1087-1102
    • /
    • 1999
  • Diabetes mellitus, a universal and prevalent chronic disease, is projected to be one of the most formidable worldwide health problems in the 21st century. For those living with diabetes, there is a need for self-care skills to manage a complex medical regimen. Self-efficacy which refers to one's belief in his/her capability to monitor and perform the daily activities required to manage diabetes has be found to be related to self-care. The concept of self-efficacy comes from social cognitive theory which maintains that cognitive mechanism mediate the performance of behavior. The literature cites several research studies which show a strong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self-care behavior. Meta-analysis is a technique that enables systematic review and quantitative integration of the results from multiple primary studies that are relevant to a particular research question. Therefore, this study was done using meta-analysis to quantitatively integrate the results of independent research studies to obtain numerical estimates of the overall effect of a self-efficacy with diabetic patient on self-care behaviors. The research proceeded in three stages : 1) literature search and retrieval of studies in which self-efficacy was related to self-care, 2) coding, and 3) calculation of mean effect size and data analysis. Seventeen studies which met the research criteria included study population of adults with diabetes, measures of self-care and measures of self-efficacy as a predictive variable. Computation of effect size was done on DSTAT which is a statistical computer program specifically designed for meta-analysis. To determine the effect of self-efficacy on self-care practice homogeneity tests were conducted. Pooled effect size estimates, to determine the best subvariable for composite variables, metabolic control variables and component of self-efficacy and self-care, indicated that the effect of self-efficacy composite on self-care composite was moderate to large. The weighted mean effect size of self-efficacy composite and self-care composite were +.76 and the confidence interval was from +.66 to +.86 with the number of subjects being 1,545. The total for this meta-analysis result showed that the weighted mean effect sizes ranged from +.70 to +1.81 which indicates a large effect. But since reliabilities of the instruments in the primary studies were low or not stated, caution must be applied in unconditionally accepting the results from these effect sizes. Meta-analysis is a useful took for clarifying the status of knowledge development and guiding decision making about future research and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self-care in patients with diabetes. It, thus, provides support for nurses to promote self-efficacy in their patients. While most of the studies included in this meta-analysis used social cognitive theory as a framework for the study, some studies use Fishbein & Ajzen's attitude model as a model for active self-care. Future research is needed to more fully define the concept of self-care and to determine what it is that makes patients feel competent in their self-care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elf-efficacy can promote self-care. Future research is needed with experimental design to determine nursing interventions that will increase self-efficacy.

  • PDF

최근 5년간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소아치과의 환자 분포 및 치료 경향 (The Distribution of Patients and Treatment Trends in the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Yonsei University Dental Hospital for Last 5 Years)

  • 강정민;이효설;최형준;최병재;손흥규;이제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34-144
    • /
    • 2014
  • 본 연구는 환자분포 및 치료경향을 조사하여 소아치과의 변화하는 진료 양상을 알기 위해 시행하였다. 2008년 1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전자의무기록을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초진환자와 비선택 진료의사 1인당 환자 수는 감소하였고 외국인 환자수가 급증하였다. 신환은 만 0~2세의 연령층이 가장 많았고, 내원 주소는 치아우식증, 외상, 부정교합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수복치료의 분포 결과 복합레진 수복, 아말감 수복, 치면열구전색술은 감소하였고, 자가중합형 글라스아이오노머, 예방적 레진수복이 증가하는 추세였다. 다내원근관치료가 감소하고 당일발수 근관 충전이 증가했으며, 치수복조술과 치수절단술과 같은 보존적 치수치료의 비율이 증가하였다. 환자의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 진정법을 선택하는 경우가 증가하였으며 아산화질소의 이용이 주를 이루었다. 내원 환자의 분포 및 특성을 파악하고, 최신 치료 경향을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요구에 부합하는 적절한 치료계획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의사 대상 불면증 치료 현황 조사 연구 (Survey of Insomnia Treatment Status for Doctors)

  • 최연선;이미현;최재원;김수현;김지철;이유진
    • 수면정신생리
    • /
    • 제23권2호
    • /
    • pp.77-83
    • /
    • 2016
  • 목 적 : 본 연구는 1차 및 2차, 3차 의료기관에 종사하는 의사 10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불면증 환자의 치료 실태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총 102명의 정신건강의학과 및 타과 전공 의사들이 설문에 참여하였고, 분석에 포함된 설문조사 대상자는 100명이었다. 결 과 : 실제 치료 장면에서 가장 자주 사용되고 있는 치료는 약물학적 치료였으며, 수면위생 교육과 인지행동 치료 등의 비약물학적 치료도 시행이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비약물학적 치료를 시행하더라도 그 효과에 대한 만족도는 높지 않았다. 의사가 보기에 불면증 환자들의 비약물학적 치료에 대한 관심은 일정 수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에 대한 식견이나 의식 수준은 아직 미흡한 것으로 보고되었고, 치료의 실행도 충분히 적절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는 않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추가적으로 의료진이 생각하는 불면증 환자의 적정 진료를 위해 요구되는 점에 대해서도 탐색하였다. 결 론 : 본 연구는, 치료적 개입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정보를 획득하지는 못했다는 점, 환자를 대상으로도 설문을 실시하지는 못했다는 점 등의 제한점을 지니고 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면증 치료의 개선과 변화를 위해 필요한 현황 조사를 면밀히 실시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결론적으로 다수의 의사들이 불면증의 비약물학적 치료가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나 진료 현실에서 적용하기 힘든 부분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불면증에 대한 적정 치료를 위해 비약물학적 치료를 위한 진료 여건 개선 및 의사대상 교육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병원 학대피해아동보호팀의 아동학대 사망사건 개입경험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Intervening Work Experiences of Hospital-Based Child Protection Team on Child Abuse Death Cases)

  • 김경희;이희연;정익중;김지혜;김세원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5권4호
    • /
    • pp.61-88
    • /
    • 2013
  • 이 연구는 아동학대 예방과 개입의 큰 축을 담당하는 병원 학대피해아동보호팀의 아동학대 사망사건 개입경험을 탐색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전국적으로 등록된 62개 병원 학대피해아동보호팀과 접촉하였고, 최종적으로 아동학대 사망사건을 경험한 5개 병원 학대피해아동보호팀 구성원들(의료사회복지사와 의사)과의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질적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팀의 개입에도 불구하고, 학대 피해 아동이 매우 위중한 상태에서 병원에 도착했거나, 보호자의 거짓말이나 치료 거부로 인한 치료적 대응의 지연 때문에, 아동의 사망 진행을 막기 어려웠던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학대피해아동보호팀의 의심과 개입을 통해 사망 원인이 학대임을 밝혀낸 것은 팀 활동의 의미 있는 성과로 간주되었다. 이 과정에서 신고의무자 역할에 대한 인식 부족과 부담은 의료진의 적극적인 개입을 막는 장애물이며, 개입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학대 인과관계 규명에 필요한 증거자료의 확보가 중요하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대 상황에 대한 조기 발견과 증거 확보 조치, 사망 원인 규명을 위한 실천적 및 정책적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 PDF

유사의료/보완의료에 대한 보건의료정책학적 고찰 (A Critical Review on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Pseudo-medicine/Quackery: Implication on Health Policy)

  • 한동운;황정혜
    • 의료법학
    • /
    • 제11권2호
    • /
    • pp.113-145
    • /
    • 2010
  • Nowadays, it is surely the quack which stands as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problematic. the quack has been a consistent target of contested public protection strategies in the past few centuries in many countries. Recently,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CAM) is increasingly utilized and accepted by patients and providers throughout the health care system in the world, most accounts attribute this growing acceptability to the shortcomings of conventional medicine, the appeal of CAM's core beliefs, and the growing body of research indicating that CAM actually works. However, the governments of western countries have called for measures to ensure that the public are protected from incompetent and dangerous practitioners. Common to these controversies has been a suggestion to ban, exclude or limit the medical practice of those deemed to be damaging rather than improving the health of individuals as a measure of public protection. This article describes the experiences of western counties' health care system which is moving in a more pluralistic direction. By examining the ways in which regulatory efforts in the countries have come to address what is invariably described as a growing interest in CAM, this study show how the problem of CAM/quackery today is increasingly located in an ethical field of practitioner competency, qualifications, conduct, responsibility and personal professional development, regardless of the form of therapy in question. Many countries developed a series of measures and strategies to contain the acceptance of CAM groups, such as insisting on scientific evidence of safety and efficacy, resisting integration of CAM with conventional medicine and opposing government support for research and education. In a sense, those countries' movements serve to protect not only patients, but the dominant position of medicine and its allied professions, and to maintain existing jurisdictional boundaries within the healthcare system. The popular support for CAM will require that health professional stakeholders continue to address the challenges this poses, and at the same time protect their position at healthcare system. To cope with the quack, professional body, public sector and health authorities should consider the safety of consumers of healthcare and responding to the demands of the community for CAM therapies as well as the claims of the established healthcare professions. Finally, some implications for future health care were suggested.

  • PDF

한국인에서 면역글로불린-저항성 가와사키병 환자의 예측 (Prediction of Intravenous Immunoglobulin Nonresponse Kawasaki Disease in Korea)

  • 최명현;박청수;김동수;김기환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1권1호
    • /
    • pp.29-36
    • /
    • 2014
  •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면역글로불린-저항성 가와사키병의 예측 인자를 찾고 점수화된 예측 모델을 만들고자 하는 것이다. 방법: 2009년 1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세브란스 어린이 병원에서 가와사키병으로 진단된 57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군과 검증군으로 나누었고, 각 군들은 면역글로불린-반응성과 저항성으로 나누었다. 실험군에서 면역글로불린의 예측 인자를 찾았고, 점수화된 예측모델을 만들었다. 그리고 외적, 내적 타당성 검증을 시행하였다. 결과: 남성, 경부림프절종대, 손과 발의 변화, 혈소판, 총빌리루빈, 젖산탈수효소, CRP가 면역글로불린-저항성 가와사키병의 예측 인자로 나타났다. 점수화된 예측 모델을 만들었고, 민감도와 특이도가 실험군에서는 52.5%와 82.4%, 검증군에서는 37.8%와 81.8%로 나타났다. 결론: 우리의 점수화된 예측 모델은 한국 환자에 적용하였을 때 높은 특이도와 낮은 민감도를 갖는다.

3차원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차폐체 제작 및 유용성 평가 (Usefulness Evaluation and Fabrication of the Radiation Shield Using 3D Printing Technology)

  • 장희민;윤준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1015-1024
    • /
    • 2019
  • 최근 의료분야에서 X선은 질병의 진단 및 치료영역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영상의학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X선의 이용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지만, X선은 방사선 피폭의 단점을 가지고 있다. 방사선피폭을 방어하기 위해 임상에서는 납 방호도구를 사용하지만 납은 중금속으로 분류되어 납중독 등 인체에 유해한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FDM(Fused Deposition Modeling)방식의 3차원 프린터의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한 차폐체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필라멘트의 선감약계수를 확인하기 위해 PLA, XT-CF20, Wood, Glow, Brass를 이용해 팬텀을 제작 하고, CT scan을 하였다. 그리고 100 × 100 × 2 mm 크기의 차폐 시트를 모델링하고, 진단용 X선발생장치와 조사선량계를 이용하여 선량 및 차폐율을 측정하였으며, 납 방호도구와의 차폐율을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Brass의 CT number가 가장 높게 측정되어 Brass를 이용하여 차폐시트를 제작하였으며, 진단용 X선발생장치로 확인한 결과 100 kV, 40 mAs 조건으로 X선 조사 시 6 mm 두께의 차폐시트에서 차폐율이 90 % 이상으로 측정되어 apron 0.25 mmPb보다 차폐율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3차원 프린팅 기술로 제작한 차폐체가 진단용 X선 영역에서 높은 차폐율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납 방호도구와의 비교를 통하여 납을 대체하여 방사선 방호도구로서의 가능성을 알 수 있었다.

사회학 분야의 연구데이터 특성과 지적구조 규명에 관한 연구 (An Investigation on Characteristics and Intellectual Structure of Sociology by Analyzing Cited Data)

  • 최형욱;정은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09-124
    • /
    • 2017
  • 여러 학문 분야에서 데이터의 공유와 재이용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다른 연구자의 데이터를 다시 연구에 사용하고 인용을 부여하는 관행이 서서히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이러한 변화를 반영하여 톰슨로이터는 Data Citation Index(DCI)라는 데이터인용 색인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를 2012년부터 제공하기 시작하였다. DCI는 모든 학문의 전 영역에서 데이터의 인용 현황을 저널의 논문과 유사하게 집계한다.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인용이 활발한 사회학 분야의 인용된 연구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분야의 특성과 지적구조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논문인용을 기반으로 한 사회학 분야의 지적구조와 비교하였으며, 사회학 분야의 연구데이터의 특성과 고유한 지적구조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한 데이터는 두 종류로 수집하였다. 첫째는 DCI에서 'Sociology'로 주제 검색을 수행하여 총 8,365건의 인용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둘째로, 논문 인용 분석과의 비교를 위해서 Web of Science에서 'Sociology'로 주제 검색을 수행하여 총 12,132건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이 두 데이터를 활용하여 저자키워드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수행한 결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사회학 분야는 2영역 15군집으로 구성된 반면, 논문을 기반으로 한 사회학 분야는 3영역 17군집으로 나타났다. 내용적인 특성을 살펴보면, 전통적으로 사회학의 지적구조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는 논문 기반 사회학과 달리 사회학 분야의 연구데이터는 의학 분야와의 활발한 접목을 찾아볼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공중보건과 심리학이 중심 영역인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