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LIS curriculum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18초

데이타베이스 실험검색을 통한 정보스캐닝에 관한 연구 (Information Scanning for DB Searching & Retrieval Services)

  • 유사라;박민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11-132
    • /
    • 2000
  • 본 연구는 과잉 공급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환경에서 정보를 효과적으로 검색하고 제공할 수 있는 정보 스캐닝 훈련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실제 검색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정보스캐닝과 그를 저해하는 요소를 조사하였다. 과학기술분야 전공 석 박사학위 이상의 검색 의뢰인을 이용자로 선정하고 문헌정보학 전공 4학년생이 검색자가 되어 검색을 진행하며 그 과정에서의 정보스캐닝을 모니터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검색에서 나타난 것은 검색자 대부분이 단순탐색이상의 검색을 요하는 전문분야 정보의뢰에 대해서는 탐색된 결과에 대한 중요성 판단과 선별에 필요한 정보 스캐닝을 제대로 해내고 있지 못했으며, 최종적으로 이용자에게 제공할 정보을 조직하거나 구성하는 역할을 충분하게 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검색전문가로서의 능력배양을 위해서는 특정 전문 주제에 대한 배경지식이 필요하며 그를 바탕으로 정보스캐닝 훈련이 주제별로 세분되어진 DB검색 실습으로 지원되어야 한다는 점이 실증적으로 지적되었다.

  • PDF

데이터사서의 핵심 역량 분석 연구 (An Examination of Core Competencies for Data Librarians)

  • 박형주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301-319
    • /
    • 2022
  • 최근 수십 년 동안 데이터 집약적인 연구 환경에서, 데이터 중심의 연구의 양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주요 연구 재단의 데이터 관리 정책이 변화되어 왔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연구데이터를 관리하고 공유하는 데 있어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사서는 데이터 관리 지침, 데이터 큐레이션, 데이터 시각화, 데이터 교육 및 훈련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사서는 데이터 서비스에서 전문가의 역할을 맡기 시작했다. 하지만, 데이터사서라는 새로운 전문직의 역할과 핵심 역량은 아직 명확하게 확립되지 않았다. 따라서, 데이터사서에 대한 핵심 역량을 식별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데이터사서 구직에 필요한 핵심 역량을 파악하고자 2017년부터 2021년까지 등록된 95개의 온라인 구인 광고를 바탕으로 채용 정보를 분석했다. 데이터사서의 핵심 역량은 기술, 커뮤니케이션 및 대인 관계, 교육/컨설팅, 서비스, 메타데이터, 도서관 경영, 데이터 큐레이션이었다. 기술 역량은 통계 소프트웨어, 컴퓨터 프로그래밍 활용 역량이 중요했다. 본 연구는 데이터사서의 핵심 역량과 구직에 필요한 요구 사항을 파악하는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고, 현장의 요구를 반영한 교과 과정 개발 및 개정에 활용될 수 있다.

주제전문사서와 주제전문서비스에 대한 인식제고를 위한 연구 - '의학용어와 MeSH', '보건의학정보원' 수강생 대상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Improving Perception of Subject-Special Librarian and Subject-Special Services: Focusing on Survey Targeting Students Who Take 'Medical Terms and MeSH' and 'Health & Medical Information Sources')

  • 오의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437-456
    • /
    • 2016
  • 본 연구는 주제전문사서 양성을 위하여 문헌정보학과의 교육과정에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는 필요성을 바탕으로, 이러한 교육이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인식을 제고시키고, 진로결정 의사능력을 강화하는데 도움이 될 것을 증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는 크게 두 가지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첫째, 대표적인 주제전문사서양성 사례들을 조사하였다. 둘째, 상명대학교의 '의학용어와 MeSH', '보건의학정보원'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주제전문사서와 주제전문서비스에 대한 인식 제고, 진로 결정능력 향상 등을 설문 조사하였다.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 대부분이 의학사서와 의학정보서비스의 필요성을 인지하고(88.7%), 의학사서의 역할을 이해하며(92.5%), 의학정보서비스의 유형과 기능에 대하여 더욱 잘 알게 되었으며(100%), 전문직으로써 의학사서에 대한 자부심을 더욱 더 자각하게 되었다(83%). 둘째, 의학도서관으로의 취업의사를 갖거나(45.3%) 의학정보서비스 업무 담당 의사를 보인(26.4%) 응답자는 앞의 다른 질문의 응답자 수보다 현저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과목 수강 여부, 수강 과목의 수, 학년에 따른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고, 의학사서와 의학정보서비스에 대한 이해도 면에서는 수강자가 비수강자보다 높았고, 의학사서 취업 의사에 있어서는 비수강자가 수강자보다 다소 높은 수준을 보여주었다. 넷째, 문헌정보학과 교육과정 안에서의 교육은 지식습득에는 효과적이지만 취업의사나 진로결정의 부분에서는 오히려 조심스러운 입장을 갖게 하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의학주제에 대한 어려움과 낯설음을 극복할 수 있도록 교과목을 개선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