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Cultural Landscape

검색결과 1,006건 처리시간 0.025초

토지이용변화를 이용한 농촌경관 선호성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Landscape Preference in the Rural Settlement by Land Use Transition)

  • 서주환;최현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69-79
    • /
    • 1999
  • This study identifies the features of landscape elements on the fifteen districts with the idea of land use area and visual quantity of pictures by analyzing the air photo. Therefore, the sensibility of observer is comprehended through simulating the landscape evaluation and the landscape preference with using slide film. The study is divided into three periods to understand the transition of rural landscape as the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s have been changed. The first period is the New Community Movement which affected the rapid change of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s. The second and third periods are the prior and post time at the rearrangement of administration district in the Tae-Jeon Broad City.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lained below part; 1. The transition of rural landscape has been occurred as the land use pattern has been altered. The change of pattern has affected an increase of the natural space and the structure change of agricultural productive space. 2. In the regression analysis, the regression model of landscape preference and land use ratio show; Landscape preference = 3.632 - 11.618 (Residential Area) - 4.227 (Equipped Farm). The explanation variables defined as Residential Area and Equipped Farm, and the relationship of those factors shows negative. Therefore, the increase of other building will make the rural landscape lower and worse.

  • PDF

지리산 문화경관의 세계유산적 가치와 구성 (Value and Composition of Mt. Jiri's Cultural Landscape as a World Heritage)

  • 최원석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2-54
    • /
    • 2012
  • 지리산은 수많은 사람들이 살았던 오랜 생활문화의 터전으로서 많은 역사유적과 종교경관, 생활경관이 남아있다. 지리산의 문화경관은 산의 신령한 장소성과 사람의 생활문화터전이 통합된 새로운 지평의 산악문화경관의 개념을 제시한다. 지리산은 예부터 '신성한 어머니산'으로 여겨져 신성시 되고 많은 사람들이 거주하였다. 지리산에는 삼국시대의 산성과 가야 고분을 비롯한 각종 역사 유적이 남아 있고, 국가적인 산신제의가 행해진 곳으로 현재까지 '남악제'로 이어지고 있다. 불교 사찰에는 수많은 문화재가 있고, 현재까지 불교신앙이 성행하여 살아있는 문화전통을 유지한다. 그리고 다양한 풍수경관이나 다랑이 논 등의 생활경관도 함께 존재하면서 역사, 종교문화 등과 어울려 지리산 문화경관의 모자이크를 이루고 있다.

  • PDF

국립중앙극장 리모델링 조경설계 (Landscape Design for Remodeling of the National Theater of Korea)

  • 김신원;이시영;조광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74-81
    • /
    • 2002
  • Ihis landscape design was proposed for the Remodeling for the National Theater of Korea Competition. Today, the National Theater of Korea, located in Jangchoongfong, Joong-gu, Seoul, asks plans for renovation. The landscape design for the remodeling of the theater is conducted as part of comprehensive programs for its renovation. The Government sought design proposals through a design competition in April, 2002. The authors proposed a landscape design for remodeling the National Theater of Korea and won first place in the competition. The landscape design covers the following a survey of the present status, a site analysis, a schematic design, and design, development. In the authors'design, heavens, humans, earth and nature are symbolically expressed within the site. The outdoor spaces of the National Theater of Korea are organically composed of the following low spaces : 1) a field of creation; 2) a field of recreation; 3) a field of meeting; and 4) a field of contemplation. The field of creation consists of a main entrance, spaces for public performance and plays, spaces with symbolic water features, and resting areas. The field of recreation is composed of various exhibition spaces. The field of meeting consists of traditional Korean-style gardens and an outdoor cafeteria. The field of contemplation features lawns, grasses and trees, and provides an area for pedestrian strolling. The outdoor spaces of the National Theater of Korea would produce an atmosphere suited to a cultural and artistic place. In the spaces, people would perceive a unique sense of place through various types of fountains, pergolas, columns, walls, light poles and bollards. An example of the true meaning of a cultural space and a resting place is provided in these spaces. The renovated National Theater of Korea would be a new type of theater with regional context, cultural meaning, spatial identity, various amenities with symbolic images, function and beauty.

A Study on the Vernacular landscape Pattern of Nagan Walled Town(낙안읍성) in Suncheon

  • Shin, Sang-Sup;Park, Jae-Hyun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09-116
    • /
    • 2004
  • Nagan walled town is located on an axis connecting symbolic places, which is a lucky place from the Fengshui point of view because a mountain sits to the rear and a body of water sits to the front. It represents the environmental development of cultural space by blending folk belief, religion, social systems, adminstration facilities and living culture buildings. Therefore, it has a sustainable cultural view connected with a formed or formless religious view and an artificial view (walls, government buildings, living houses, cultivated lands, etc.) in a natural landscape. Environmental design techniques, enlarging the meaning and value of living on a mental level, can be found in the arrangement of space composition and settlement of Nagan walled town. The organised spaces of government and residential areas were constructed within the wall with the view of searching for lucky places (from best, better and good places) in order to construct ecological networks according to the outlooks of space and settlement.

문화재 수리의 조경분야 공종 분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andscaping Repair Work Classifications in Cultural Heritage Industry)

  • 김민선;이재용;김충식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59-66
    • /
    • 2022
  • 본 연구는 문화재 수리에서 조경분야의 독자성을 확보하고 업역을 정립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조경수리 공종 분류 제시를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현재 문화재수리 표준시방서는 식재공사 중심으로 조경수리 공종을 명시하였고 품셈은 조경분야를 포함하지 않고 있다. 다만 건설산업의 조경공사 시방서와 품셈을 준용하도록 하여 문화재 수리에서 조경수리 공종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알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실제 시행된 문화재수리 사업의 내용을 토대로 조경수리 공종을 파악하였다. 과거 1961년부터 1980년에는 수목식재뿐만 아니라 다양한 조경시설도 조경수리로 명시되었고 이 공종들 모두 현재 건설산업의 조경공사 공종으로도 정립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2018년부터 2020년의 3년간 문화재를 대상으로 한 실시설계용역 입찰공고서에 명시된 공종 중 건축물보수 및 단청, 식물보호, 보존처리 분야 공종을 제외하고 종합한 결과 총 20개의 공종이 확인되었다. 20개 공종 모두 건설산업의 조경공사 공종에 해당하였다. 따라서 조경수리 공종은 건설산업 조경공사 공종 분류를 토대로 하되 문화재 공간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부지조성 및 대지조형, 식재공사, 시설물공사, 포장공사, 생태조경공사, 식생유지관리의 총 6개로 분류하였다. 국내 산업의 한 분야로 조경이 정착해가던 시기에 이미 다양한 조경시설도 건축분야 수리가 아닌 조경수리로 시행되었으므로 이 시설을 모두 포함하여 조경수리 공종이 문화재 시방서에 구체적으로 명시되어야 할 것이다.

고도(古都) 경주의 역사문화환경지구 내 상업가로경관 디자인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mercial Streetscape Design Guideline of the Historic and Cultural Environmental Districts in Ancient Capital Gyeongju)

  • 현택수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87-94
    • /
    • 201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townscape design guideline that harmonized with a historic landscape via condition investigation and landscape analysis of the cultural /commercial environment district where an improvement is a necessity. The followings are the conclusions: 1.To enhance the identity of Gyeongju, should pursue diversity in unity by making the image of architectural landscape a similar peculiarity. 2.The central commercial district where the tradition is valued and contemporary figures meet the tradition needs a landscape formation by CONTEXT. 3.Since a characteristic of the target area is a regional commercial center, to reduce its congestion, reforming the area to simple environment is required. 4.Induce buildings located on the streets with cultural properties to have Korean traditional tiled roof in order to fit in with their surroundings. 5.Make it a rule to partition a wall into tripartition, the wall surface exposed should be the same finishing materials. 6.Consider the visual aspect of pedestrians and a building's width, the recommendable height of the facade should be 3~3.6m. 7.For the design archetype of cornice, four traditional types based on Korean traditional eaves are suggested. 8.The design of signboards should break existing square-shapes, and seek a design to take advantage of icons that historicity and traditionalist of the city are expressed.

미국 농촌역사경관의 국가문화재 등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ational Register of Rural Historic Landscapes in U.S.A.)

  • 박익수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9-18
    • /
    • 2009
  • The recent interest in historic protection of rural landscape concentrates on the cultural landscape. Historic rural landscape properties in the United States America have protected in the national historic preservation system as National Register of Historic Places to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the national identity and economy. This Paper focuses on research of the National Register of historic rural landscape and applicability to Korea. The work reviews published research report, related regulations and related Bulletins. Some works were conducted by online research including a review of related webpage. The Historic Rural Landscapes in U.S.A are identified and evaluated as historically significant districts, sites, structure, objects, and buildings according to the National Resister Criteria. Those were managed as National Register of Historic Places and National Historic Landmarks in National Resister. Government provides national preservation system and tax incentive for historic preservation of rural historic Landscapes.

  • PDF

An Elementary Introduction on Parks and Green Space Planning that Keep in Step with Urban Development

  • Jing Zhang;Jun Li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International Edition
    • /
    • 제2호
    • /
    • pp.45-50
    • /
    • 2004
  • Confronting with series of environmental problems. caused by urbanization and the constantly improving consciousness of the entire society towards environmental protection, it has become an inevitable trend to develop parks and green space planning that guided by the principle of 'respecting nature, preferring ecology' and integrate function, arts and culture of landscape design. Aiming at specific project, humanized design should be laid stress on. With fundamental functional construction serving as the base, the reflection of cultural content and regional landscape as the characters, using various landscape gardening elements reasonably to enrich space design as well as highlighting leisure and sport function and following the concept 'human-centered', parks and green space filled with natural vitality and cultural spirit can be constructed, people, city and the nature could develop together in harmony.

  • PDF

청송군 이전리 당산숲의 경관 특성 및 보전 방안 (Characteristics of the Dangsan Forests at Ijeon-ri, Cheongsong-gun and Perspectives on Conservation Scheme)

  • 최재웅;김동엽;이상영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06-115
    • /
    • 2014
  • 수백 년 전부터 농촌마을 주민들이 조성, 관리해 온 전통마을숲인 당산숲은 한국을 대표하는 전통 문화경관이며 국가적 문화자산이다. 문화유산은 진정성 유지와 함께 지속가능한 관리체계를 갖추어야 그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다. 현재, 규모가 큰 소수의 당산숲은 문화재청에 의해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으나, 규모가 작거나 알려지지 않은 많은 당산숲은 방치되거나 소멸 위기를 맞고 있다. 이제 당산숲은 전통적인 한국 농촌마을의 특징을 결정짓는 핵심 경관자원으로서, 그 위상이 정립되어야할 때이다. 청송군 이전리의 두 개 자연마을은 작은 당산숲을 보호, 관리하고 있으며 그곳에서 당산제를 지낸다. 마을 위쪽에는 명승 제105호인 주산지가 있고 마을주민들은 주산지 물로 농사를 짓고 있다. 이 연구는 이전리 두 개 마을의 농경지, 하천 및 주산지를 포함한 당산숲 경관 특성을 고찰한 것이다. 또한 지속가능한 관리체계를 위한 농촌경관 보전 방법론으로, '농업경관생태 보전지역' 설정 등을 고찰하였다. 주목받지 못한 채 방치되고 있는 이전리 두 개 마을의 당산숲과 농촌경관 특성이 올바로 이해되고 관리된다면, 국가문화자산인 당산숲의 위상을 높이고, 농촌마을 활력 증진에 기여하는 사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의 문화경관, 그 실체, 변화와 새로운 패러다임에 의한 가치 평가 (Cultural Landscape of Korea, Its Entity, Changes and Values Evaluation from New Paradigm)

  • 이창석;유영한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4권5호
    • /
    • pp.323-332
    • /
    • 2001
  • 문화경관은 인간의 자연자원이용과 그에 대한 자연의 반응이 조화롭게 어우러져 생긴 산물이다. 자연은 인간의 삶을 보장하기 위하여 그 생존에 필요한 자원 뿐만 아니라 생활에 필요한 자원도 공급하고 있다. 인간은 자연이 주는 이러한 혜택을 이용하여 문명화를 진전시켜 왔다. 얼마전까지 인간과 자연 사이의 관계는 조화의 관계를 유지하여 지속가능한 자원이용을 보장받아 왔고, 우리는 문화경관의 존재를 통하여 그 사실을 발견하고 있다. 그러나 급속도로 진행된 경제성장과 그것에 기인한 개발중심의 논리는 지구환경위기, 각종 자원고갈의 위기, 더 나아가 인간의 정신적 빈곤현상까지 몰고 왔다. 이러한 시점에서 인간과 자연 사이의 조화로운 관계의 전형인 문화경관을 대상으로 그 성립배경과 기능을 검토하고, 새로운 패러다임을 토대로 그 가치를 점검하는 것은 건강한 사회와 경제를 실현하기 위한 새로운 전략을 창조하는데 가치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문화경관의 성립배경을 검토하였고, 생태적, 경제적 측면에서 그것의 효용과 가치 그리고 문화전승의 장으로서 그 활용방안을 검토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