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Cosmetics

검색결과 1,590건 처리시간 0.024초

황사, 연무, 박무 현상이 미세먼지 화학조성에 미치는 영향: 2014년 제주도 고산지역 측정 (Influences of Asian Dust, Haze, and Mist Events on Chemical Compositions of Fine Particulate Matters at Gosan Site, Jeju Island in 2014)

  • 송정민;부준오;양승혁;이재윤;김원형;강창희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67-81
    • /
    • 2016
  • In order to examine the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chemical compositions in accordance with the different meteorological conditions, $PM_{10}$ and $PM_{2.5}$ were collected at Gosan site of Jeju Island in 2014, and then their ionic and elemental species were analyzed. The concentrations of nss-$SO{_4}^{2-}$ and $NH_4{^+}$ were respectively 4.3 and 3.3 times higher in fine particle mode ($PM_{2.5}$) compared to coarse particle mode ($PM_{10-2.5}$), however $NO_3{^-}$ concentration was 1.6 times higher in coarse mode compared to fine particle mode. During Asian dust days, the concentrations of nss-$Ca^{2+}$ and $NO_3{^-}$ increased highly as 7.7 and 4.5 times in coarse particle mode, and 3.0 and 4.9 times higher in fine particles, respectively. Especially, the concentrations of the crustal species (Al, Fe, Ca, K, Mn, Ba, Sr, etc.) indicated a noticeable increase during the Asian dust days. For the haze days, the concentrations of secondary pollutants increased 2.2~2.7 and 2.9~6.0 times in coarse and fine particles, respectively, and they were 0.8~1.1 and 1.8~2.4 times, respectively, during the mist days. The aerosols were acidified largely by sulfuric and nitric acids, and neutralized mainly by ammonia in fine particle mode during the haze days, but neutralized by calcium carbonate in coarse particle mode during the Asian dust days. The clustered back trajectory analysis showed that the concentrations of nss-$SO{_4}^{2-}$, $NO_3{^-}$, and $NH_4{^+}$ were relatively high when the inflow pathway of air mass was from the southern part of China.

자외선 차단제품에서 자외선차단지수(SPF)와 자외선A차단등급(PA)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Sun Protection Factor(SPF) and Protection Factor of UV-A(PA) in Sunscreen)

  • 연제영;서정민;배준태;이청희;이상길;표형배;홍진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22-43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자외선 차단제품에서 오일의 극성도, 에멀젼의 종류, 제품의 점도, 증점제의 종류 그리고 광안정제 등이 자외선 차단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해 보았다. 그 결과 오일의 극성도가 높으면 자외선 차단 효과는 높게 측정되었으며(Butyloctyl salicylate: SPF 44.10, PA 7.93), 반대로 오일의 극성도가 낮으면 자외선 차단 효과는 낮게 측정되었다(Dimethicone: SPF 16.40, PA 5.57). 에멀젼의 종류는 O/W 에멀젼보다 유기 자외선 차단제가 외상에 존재하는 W/O 에멀젼에서 자외선 차단 효율이 더 높게 측정되었다. 제품의 점도는 높아질수록 자외선 차단 효율이 비례적으로 상승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증점제의 종류 및 유화입자 크기는 자외선 차단 효과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았다. 또한 광안정제의 함유 여부도 자외선 차단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 중의 하나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자외선 차단제의 추가적인 증량이 없어도 자외선 차단 효율을 더 높일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앞으로 자외선 차단제품 개발 시 경제적 효율성을 높이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뷰티 인플루언서 특성이 20-30대 여성 소비자의 메이크업행동 및 색조화장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Beauty Influencer's Characteristics on Makeup Behavior and Color Cosmetics Purchase Intentionin Young Female Consumers aged 20-30s)

  • 박아름;이재남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1093-1106
    • /
    • 2021
  • 본 연구는 뷰티 인플루언서 마케팅의 중요한 소비계층인 20-30대 여성 소비자를 대상으로 뷰티 인플루언서의 특성이 메이크업행동과 색조화장품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뷰티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색조화장품 마케팅 및 시장 확대에 도움이 되는 기초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설문지는 서울 및 수도권 지역에 총 563부를 배포하였으며, 최종 531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인구통계학적 특성(연령별)에 따른 뷰티 인플루언서 특성의 영향 요인은 신뢰도, 전문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뷰티 인플루언서 특성의 하위요인별 신뢰도와 전달능력은 모든 메이크업행동에 정(+)의 영향, 전문도는 베이스 메이크업에만 정(+)의 영향, 색조화장품 구매의도에는 신뢰도, 전달능력, 매력도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신뢰도가 가장 큰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뷰티 인플루언서 특성을 바탕으로 소비자와 소통·공감하고, 보다 다양한 메이크업 및 색조화장품 관련 정보를 더욱 정직하게 전달함으로써 장기적인 관계 유지를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니파팜, 몰로키아, 핑거루트 추출물의 화장품 소재로서의 기능적 특성 분석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the Extracts from Nipa Palm, Molokhia, and Finger Root for Cosmetic Ingredients)

  • 전유진;이소현;허소정;진병석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821-829
    • /
    • 2019
  • 본 연구는 니파팜(nipa palm), 몰로키아(molokhia) 및 핑거루트(finger root) 추출물들이 기능성 화장품의 천연 활성원료로 적용이 가능한지를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추출물들은 에탄올로 가열 환류, 여과, 농축 및 동결 건조 등의 공정을 통해 얻어졌다. 적분구가 장착된 UV-vis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추출물의 자외선 흡수 및 차단 효과를 살펴보았다. DPPH 라디칼 소거능 분석 실험을 통해, 추출물 간의 항산화 활성 및 그의 안정성을 비교하였다. 또한,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Folin-Ciocalteu시약을 사용하여 정량화하였다. 추출물의 항균 활성은 황색포도상구균(그람양성)과 대장균(그람음성)에 대한 디스크 확산 시험으로 조사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콜라게나아제 활성저해 분석시험을 통해 추출물의 주름방지 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들에서 니파팜 추출물은 항산화제 및 주름 방지제로, 핑거루트 추출물은 선 스크린제 및 항균제로 화장품에 사용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국가 연구개발(R&D) 과제 기반 화장품 연구개발 동향 분석 (Analysis of Cosmetics Research and Development Trends based on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s)

  • 이도연;김근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825-841
    • /
    • 2024
  • 본 연구는 국가 연구개발(R&D) 과제 데이터를 기반으로 국내 화장품 산업의 연구개발 동향을 분석하여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2019년부터 2023년까지의 화장품 관련 국가 R&D 과제 데이터를 활용하여 연도별, 주요 수행 주체, 지역적 특성, 주요 부처, 주요 기능 및 효능별 R&D 현황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고찰함으로써, 중소기업 R&D의 방향성 및 전략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화장품 산업은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다양한 기능성 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특히 친환경적이고 지속 가능한 소재 개발에 큰 비중을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적으로는 경기도와 충청북도에서 R&D 활동이 가장 활발하며, 이는 지역 산업의 R&D 역량이 높음을 반영한다. 본 연구는 국가 R&D 과제 데이터 기반의 체계적인 R&D 종합 분석을 통해 화장품 산업의 최근 동향을 파악하고, 중소기업의 시장 경쟁력 강화 및 지속 가능한 성장 전략 수립에 필요한 근거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중소기업 뿐만 아니라 정책 입안자에게도 유용한 정보와 통찰을 제공하여, 화장품 산업의 발전을 위한 정책 수립 및 실행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뷰티케어용 세라믹소재기술 동향 (Trend of Ceramic Materials Technology for Beauty-care)

  • 장정호
    • 세라미스트
    • /
    • 제21권3호
    • /
    • pp.302-308
    • /
    • 2018
  • This work reported the trends of bioceramic materials for beauty-care applications with the several represent examples - tone-up, sun-care and anti-pollution cosmetics. The development of cosmetic techniques was discussed and reviewed with various ceramic hybrid materials. Moreover, we also reported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functional cosmetics with silicified liposome particles as a good make-up material for controlled release with natural compounds. The homogeneous loading and highly controlled-release formulation with porous and silicified ceramic liposome ceramic materials were discussed.

Purchasing and Using Behaviors on Cosmetics According to Women′s Consumption Propensity

  • Park, Hyo-Won;Kim, Yong-Sook
    • 한국복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식학회 2003년도 International Costume Conference
    • /
    • pp.82-82
    • /
    • 2003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purchasing and using behaviors of cosmetics according to women's consumption propensity. A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used and the subjects were 600 women of 20s and 30s in Jeonbuk Province. The data collecting periods were July, 2003. Means, percentages, and frequency were calculated. And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one-way ANOVA, and Chi-square test were done by use of SPSS PC (Ver. 10.0).

  • PDF

중국 소비자 소비성향이 한국화장품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inese Consumer The Propensity For Consumption Purchase Intention)

  • 장 하이쿠어;요금격;배기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413-426
    • /
    • 2021
  • 본 논문 실증분석을 통해 중국 소비자 소비성향이 한국화장품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에 따라 연구의 진행을 위해 수집된 설문지 414개에 대해 SPSS Statistics 24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중국 소비자의 소비성향의 하위요인인 유행 추구성향, 브랜드 추구성향, 가격 추구성향, 품질추구성향이 모두 중국 소비자가 한국 화장품에 대한 신뢰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도출하였다. 가격추구성향은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다른 요인들이 3가지의 소비자 구매의도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 소비자가 한국 화장품에 대한 신뢰는 구매의도에 유의한(+)영향을 미친다. 셋째, 신뢰가 유행추구성향과 구매의도 사이에 완전 매개효과가 있고 브랜드추구성향, 품질추구성향과 구매의도 사이에 부분 매개효과로 나타난 반면에 가격추구성향과 구매의도 사이에 매개효과가 없다. 넷째, 한국의 국가이미지가 신뢰와 구매의도의 관계에 조절효과가 없다.

소비자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화장품 구매행동 - 중국과 한국의 여대생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Lifestyle and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 - Focused on the Comparison of Korean and Chinese Female College Student -)

  • 김주호;손주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1104-1115
    • /
    • 2008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differences in lifestyle affect the consumer decision making process on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We conducted a survey on 210 female college students to gather the data needed. Through this study we were able to distinguish five different type of lifestyles; the confident, the charismatic, the vogue pursuing, the competitive, and the sociable. We also found out that the consumers of Korea and China with different lifestyles act differently throughout the decision making process. Chinese consumers were more influenced by advertising than Korean consumers.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also showed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cosmetic prices, purchasing motivations, types of cosmetics, and where it was made from. Both Chinese and Korean consumers are influenced by salesperson more than any other marketing variables at point of purchas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help marketer make successful marketing strategy for cosmetics business in China.

메이크업 화장품에서 수용성 크롬의 안전성 평가 (Safety Evaluation of Water-soluble Chromium in Makeup Products)

  • 정혜진;주경미;김영소;박정은;박진희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1권1호
    • /
    • pp.15-21
    • /
    • 2005
  • There is now a growing concern about the possible toxicity of heavy metals in cosmetics. Heavy metals can be used as cosmetic ingredients or may be present as low level impurities in some of the raw materials. Chromium derivatives are used as pigments in cosmetics. Chromium is essential and toxic trace elements. Chromium may cause skin allergy. However, the regulations related to cosmetic products give no limit values for Chromium. Hexavalent chromium is significantly more toxic than trivalent chromium. Hexavalent chromium may present a carcinogenic risk at high concentration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onsider oxidation state of chromium when analyze chromiu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concentrations of water-soluble trivalent and hexavalent chromium in samples of makeup products, and to assess the safety of cosmetics on the basis of animal sensitization tests using guinea pig. The present study of chromium in 48 makeup products of 12 manufacturers provides a basis for assessing safety of makeup products. Water-soluble hexavalent chromium was not detected in any product. Water-soluble trivalent chromium was detected in only 9 eye shadows out of 48 makeup products, and could not be quantified 3 out of 9 eye shadows. The highest level of water-soluble trivalent chromium was about 10 mg/kg in spite of 90,000 mg/kg of total chromium. The results of animal sensitization tests show that 200 mg/kg of trivalent chromium and 5 mg/kg of hexavalent chromium have no harmful effect. No cross-reaction among these metals was found. Accordingly, the concentrations of water-soluble chromium in makeup products seemed to be safe. The overall results indicate that chromium in cosmetics probably have no significant toxicological effects. However, It is necessary to set guidelines on the maximum permissible concentration of water-soluble chromium in cosme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