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Braille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1초

자동 역점역을 가능하게 하는 한글점자 부호체계의 개선 (Improvement of korean Braille-Code System for Automatic Reverse Braille Translation)

  • 길태영;김석일;김홍기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5권3호
    • /
    • pp.703-714
    • /
    • 1998
  • 기존의 점자 부호 체계에서 한글문장을 점자문장으로 번역하는 작업은 1 : 1의 대응관계가 있으므로 아무런 문제를 야기시키지 않는다. 그러나 점자문장을 한글문장으로 번역하는 작업은 점자부호와 한글부호간의 1 : N의 대응관계로 인하여 피할 수 없는 오류를 파생시킨다. 분석 결과, 점자 부호 체계에서는 한글 초성과 숫자와의 충돌, 한글 종성과 문장부호와의 충돌, 한글 소괄호 열기와 소괄호 닫기 부호를 동일한 부호로 처리하는 것, 영문 열기 및 닫기 부호와 한글 종성과의 충돌 등이 번역 오류의 중요한 원인임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충돌을 해소하기 위한 역점역 규칙을 제정하여, 일차적으로 역점역시에 발생하는 애매성을 앞, 뒤 문맥에 따라 해결할 수 있는 경우에는 원래의 점자 부호를 사용하도록 하고, 만일 이 방법으로 해결되지 않을 경우에는 역점역시에 충돌을 근본적으로 방지하는 확장 점자 부호를 사용하도록 하였다. 여러 가지 파일에 대한 실험 결과, 기존의 점자 부호체계에서의 오류발생율이 평균 25%이었음에 비하여 확장된 점자 부호체계에서는 번역에 따른 오류가 발견되지 않았다.

  • PDF

시각장애인을 위한 도서관의 구성요소분석 (A Study for the Factors that Affect the Library Services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 전재봉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24권
    • /
    • pp.139-169
    • /
    • 1993
  •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crutinize and analyze various factors in numerous aspects of two different library systems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namely braille library and a special section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in the public library system. The analyses may provide theoretical and conceptual framework on which strategies to enhance services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is to be developed.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seeks (1) to examine a linkage between the degree of maintenance of staffs, collections, and equipment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s of librarians and (2) to come up with more effective mechanisms of welfare services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in each library system. This research is qualitative-descriptive and uses interview method. Fourteen libraries throughout the nation (4 public libraries with a reading room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and 8 braille libraries) which had been in operation more than one year were selected as subjects for the research. Findings and results of the analyse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re seems to be general consensus that each of public and braille library has significant but, to a certain extent, different roles to play in order to enhance library services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Recruitment of qualified librarians, increase of the volume of collection, and enlargement of reading room space are noted as immediate concerns for the former. For the latter, it was suggested that increase of the number of staff for publishing, securing more equipments for pulication in braille, and wider scope as well as more variety of publications are the pressing problems at hand. 2. Both public and braille library employ one librarian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who is required to have educational background in library science and special education. In addition, one must have competence in reading braille types. 3. Majority of reading rooms in those libraries is so small in physical aspect that size and number of seats are 66m2 and 15 seats respectively because circulation services are mainly in use due to the problem of inaccessibility which is commonly suffered by the visually handicapped. 4. Library services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are heavily concentrated upon the large urban area. In fact, most of braille libraries are located in Seoul whereas a reading room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in the public library system are exclusively placed in the large cities such as Inchon, Taejon, and Taegu. 5. All of the public library is neither equipped with necessary facilities to publish in braille nor secured supporting instruments which may facilitate library use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On the contrary, most of braille libraries are equipped with arrangements to publish in braille despite supporting devices are gererally lacking. 6. Consequently, provision of services In the public library is largely confined to reading and circulation of materials purchased from braille libraries while major task of braille libraries centers around publication and distributions of the reading materials in braille.

  • PDF

정보매체의 변동과 점자도서관 서비스 개선책 - '부산점자도서관' 사례연구 - (The Improvement of the Braille Library Services through New Media)

  • 최정태;백수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93-118
    • /
    • 1999
  • 본 연구는 점자도서관의 정보매체 변화에 따른 서비스 변화양태 및 문제점을 한 사례도서관을 통하여 밝혀 내고, 정보화 시대에 점자도서관이 나아 가야할 방향과 서비스 개선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국내 점자도서관의 현황과 실태를 살펴보고 특히, 부산 점자도서관을 사례로 하여 자료, 시설 및 설비, 직원의 세가지 측면에서 문제점을 진단하고 발전방향과 서비스 개선책을 도모하였다.

  • PDF

역사적 흐름 속에서의 공공도서관과 점자도서관 - 일본의 역사적 배경과 도서관의 변천을 중심으로 - (Libraries in the Current of History - The Japanese Historical Context for the Changes in Braille and Public Libraries -)

  • 김지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13-132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의 점자도서관을 깊게 이해하는 데 있다. 즉 기존의 점자도서관 연구처럼 점자도서 관만을 관찰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배경의 흐름과 그에 따른 공공도서관의 변화라고 하는 객관적인 시점, 점자도서관을 벗어난 외부의 시점에서 점자도서관을 바라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일본의 초기 점자 도서관은 공공도서관의 성립과 그 목적이 같고 역할도 같았으나, 전쟁이라는 사회적 배경을 지나면서 도서관과는 전혀 다른 복지적인 방향으로 역할이 이루어졌고, 시각장애인이용자의 독서권운동이 일어난 1970년을 기점으로하여 점자도서관의 도서관적 역할을 재고하며, 도서관적 모습을 되찾으려는 움직임을 볼 수 있었다.

  • PDF

사물인터넷 기반의 점자 표출 시스템 구현 (Implementing Braille Display System Based on the IoT)

  • 박승빈;김봉현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29-35
    • /
    • 2023
  • 점자는 시각장애인이 살아가면서 의사소통하거나 시각적 자료의 정보를 습득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필수적인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시각장애인들의 점자 해석률은 5%로 미미한 수치를 보인다. 그래서 시각장애인 도서관은 시각장애인들을 위한 각종 정보들을 얻을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자료를 제작하고 이를 해석하기 위한 보조공학기기도 보유한다. 하지만, 점자책을 구매해서 해석하기에는 점자책의 출판율도 너무 부족하고, 점자 해석률이 너무 낮은 수치고 보조공학기기를 구매하기에는 가격도 너무 비싸고 속도도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시각장애인들이 정보를 얻기 위해 사용하는 기존의 방법들과 더불어 도움을 주기 위해 아두이노로 점자를 표출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점자 표출은 파이썬과 아두이노 간 시리얼 통신을 통하여 한글 데이터를 파이썬 측에서 송신하고 데이터를 수신한 아두이노에서는 한글 데이터를 프로그램 내 배열에 있는 데이터들과 비교하여 해당 한글 데이터의 점자 값들을 가져온다. 여기서 점자 값은 점자일람표 기준으로 하얀색 원, 검은색 원을 이용해 서보모터 모터를 몸통과 수직이거나 수평으로 제어하면서 점자를 표출하였다.

시각장애인을 위한 도서관의 운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ibrary Management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137-161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provides the conceptual and practical framework on the strategy to enhance services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in the braille librarie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questionnaires, the interview, and the observation of the data collection techniques are used in the study, and the braille libraries throughout Korea which are in operation are selected as subjects for the research and surve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Most of the braille libraries, about 70%, are located in Seoul. It thus appears that this geographical unbalance cause the visually handicapped inconvenience in use, who is especially living at the regions where no braille library is located nearby. 2.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the library services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first of all, the limited scope of the subject as well as the poor volume of the collections should be resolved as soon as possible. 3. Most of the libraries are neither equipped with necessary facilities to publish in braille nor secured the supporting instruments which facilitate to use library services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satisfactorily. 4. The collections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consist of the brailles and the recordings mainly. Because the visually handicapped is difficult to access and visit at the libraries alone, these materials are generally circulating rather outward by postal service than inward. 5. The qualified staff who has the very responsible position for reading and circulation is required to have educational background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o have passions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and to have abilities to understand and translate the materials in braille.

  • PDF

Design of Braille cell Setting Actuators for the Application in the Braille Mouse Concept

  • Nobels, Tiene;Allemeersch, Frank;Hameyer, Kay
    • KIEE International Transaction on Electrical Machinery and Energy Conversion Systems
    • /
    • 제4B권1호
    • /
    • pp.12-19
    • /
    • 2004
  • Refreshable Braille displays have already been developed in the past, but they remain quite bulky and expensive. Small displays contain only a single or a few Braille cells, with pins pushing into the fingertips. However, they are not as successful as larger displays because the skin is more sensitive to lateral movement than to orthogonal pressure. This, paper presents the design of linear electromagnetic actuators, which allows a considerable reduction in size and cost for such refreshable Braille displays. Different actuator concepts are compared. A new actuator is proposed and optimised by means of finite element simulations, which are verified with measurements on a prototype.

시각 장애인을 위한 효율적인 휴대용 점자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fficient Portable Braille Point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Persons)

  • 황호영;서효중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1-7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효율적인 휴대용 점자 시스템을 제안하였으며, 그 설계 및 구현을 설명한다. 시각 장애인이 정보화 기기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용 정보화 기기의 구축, 장애를 고려한 접근성 보장, 교육 지원 등 세 가지 조건이 만족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위의 세 가지 조건을 요구사항으로 정의하고, 이 조건들을 만족하도록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에서는 PC에 저장되어 있는 문서나 웹 페이지를 점자와 한글간의 변환 규칙에 따라서 구현한 알고리즘을 통해 데이터를 변환하고, 변환된 데이터를 휴대용 점자 디바이스에게 전송한다. 그리고 휴대용 점자 디바이스는 전자석의 원리를 이용하여 점자를 표현한다.

  • PDF

시각장애자를 위한 정보서비스에 관한 연구 - 한국의 점자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nformation Services for Blind People - Focused on Braille Libraries in Korea -)

  • 김지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15-230
    • /
    • 2002
  • 정보기술의 발달과 인터넷의 보급 등 이른바 IT대혁명으로 시각장애인의 정보환경이 변화하면서, 점자도서관의 위치가 흔들리고, 점자도서관의 존재여부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왜냐하면 반드시 점자도서관을 통하지 않고도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경로가 생겼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제까지 선행된 시각장애인의 정보서비스에 관한 연구들에서는 이러한 환경변화에 따른 서비스의 변화내용은 찾아볼 수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각장애자에게 있어서 점자도서관의 위치와 그 의미를 확고히 하고자, 정보환경의 변화에 따른 점자도서관의 서비스 변화의 동향을 분석한 후, 점자도서관 서비스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한국의 점자도서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인터넷과 직접, 간접적으로 관련된 점자도서관서비스의 동향이 여러면에서 보였으며. 이러한 동향을 바탕으로 인터넷을 활용한 점자도서관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넷상의 정보유통을 보조하는 기능 둘째, 인터넷을 이용하여 종래의 서비스 질을 향상시키고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 셋째, 인터넷과 관련된, 점자도서관 본래의 기능 이외의 기능, 이러한 기능들은 시각장애인이 다른 경로를 통해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하더라도, 점자도서관이 반드시 필요한 충분한 이유가 된다. 그러므로 정보환경이 변화한다 하더라도, 시각장애자에게 있어서 점자도서관의 위치는 더욱 확고해질 것이며, 존재의 중요성이 더욱 강화된다고 할 수 있다.

  • PDF

OpenCV를 활용한 음료 제품 점자 표기 개선 방안 (An Improvement Method for the Braille Labeling of Beverage Products Using OpenCV)

  • 최효현;문수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년도 제66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0권2호
    • /
    • pp.447-448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대중의 참여를 통해 캔 음료 제품의 점자 표기 실태를 파악하고, 음료 제조사가 이를 개선하도록 유도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캔 음료 상단에 표기된 점자를 촬영한 이미지에서 OpenCV를 통해 점자의 윤곽을 검출하고, 검출된 윤곽의 좌표를 계산하여 점자를 국문으로 번역하는 모듈을 개발한 후 서버에 이식한다. 서버와 통신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소비자가 점자 이미지를 서버에 업로드하고, 점자의 인식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점자 표기가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 해당 제품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도록 하고, 제조사 별로 제보된 횟수의 순위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소비자는 올바른 점자 표기를 제공하지 않는 제조사를 파악할 수 있으며, 제조사는 이를 의식하고 점자 표기를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한다.

  • PDF